목차
1. 경도의 정의
1.1 경도와 강도의 차이
1.2 경도를 측정하는 이유
2. 경도기의 종류
3. 실험적 결과값 및 계산 결과값의 비교
4. 실험 고찰
5. 참고 문헌
1.1 경도와 강도의 차이
1.2 경도를 측정하는 이유
2. 경도기의 종류
3. 실험적 결과값 및 계산 결과값의 비교
4. 실험 고찰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
여기서 HB : 브리넬 경도 (Kgf/mm2)
P : 하중 (Kgf, N)
D : 강구의 직경 (mm)
d : 자국의 직경(mm)
이 경우 HB의 수치는 보통 단위를 명기하진 않지만 흔히 응력단위를 사용한다. 또 자국의 깊이를 h(mm)라 하면 알래와 같이 된다.
P
HB = ──────
πDh
그러나 실제 자국의 단면형상을 기하학적으로 정확한 구면이 되지 않고, 국부적인 변형이 생기기 때문에 하중을 가한 부분의 v이가 측정하는 깊이와 일치하지 않는 불합리한 점이 있다.
4) 로크웰 시험
로크웰 경도시험에서는 압인된 깊이를 측정한다. 우선 압입자를 표면에 접촉시키고 가벼운 초기하중을 작용시킨후에 시헌하중을 가한다. 로크웰 경도값은 초기하중과 시허하중으로 인하여 생긴 압입자국의 깊이차로 나타낸다. 사용되는 압입자의 재질 및 형상과 사용하중의 크기에 따라 로크웰 경도를 나타내는 여러 가지 척도들이 상ㅇ되고 있다.
5) 쇼어시험과 모스시험은 일반적으로 긁기 시험과 반발시험으로 불린다.
3. 실험적 결과값 및 계산 결과값의 비교
● 비커스 경도기의 실험식
1.854 P
HV = ───────────(kG/mm2)
L2
L : 압입자국의 대각선 평균길이(mm)
◆ 실험값 [하중 : 300g]
실험
대각선 길이 (㎛)
실험적 Hv
계산적 Hv
L 1
L 2
평균
실험1
51.01
51.75
51.38
210
210.689
실험2
51.64
51.71
51.675
208
208.290
실험3
50.31
50.14
50.225
220
220.491
평균
50.986
51.2
51.09
213
213.088
4. 실험 고찰
경도기가 우리에게 준 값과 우리가 대각선의 길이를 측정하여 평균을 낸 후 식에 대입해 계산한 값은 같은 값이 나왔다. 이는 경도기도 위의 식으로 계산하여 결과값를 나타낸 것이라 볼 수 있다.
비록 3번 밖에 실험을 하지 않아서 시편에 대한 경도값의 측정에는 오차가 잇다고 보이지만, 직접 경도기를 다루어 보는데 의의가 있는 것 같다.
5. 참고 문헌
Hardness testing, "Metals Handbook" 9th ed, vol 8
Mott B.W "Micro-indentation Hardness testing"Butterworth & Co (Publishers)
Tabor. D "The Hardness of Metals" Oxford Universsity Press,New York,1951
여기서 HB : 브리넬 경도 (Kgf/mm2)
P : 하중 (Kgf, N)
D : 강구의 직경 (mm)
d : 자국의 직경(mm)
이 경우 HB의 수치는 보통 단위를 명기하진 않지만 흔히 응력단위를 사용한다. 또 자국의 깊이를 h(mm)라 하면 알래와 같이 된다.
P
HB = ──────
πDh
그러나 실제 자국의 단면형상을 기하학적으로 정확한 구면이 되지 않고, 국부적인 변형이 생기기 때문에 하중을 가한 부분의 v이가 측정하는 깊이와 일치하지 않는 불합리한 점이 있다.
4) 로크웰 시험
로크웰 경도시험에서는 압인된 깊이를 측정한다. 우선 압입자를 표면에 접촉시키고 가벼운 초기하중을 작용시킨후에 시헌하중을 가한다. 로크웰 경도값은 초기하중과 시허하중으로 인하여 생긴 압입자국의 깊이차로 나타낸다. 사용되는 압입자의 재질 및 형상과 사용하중의 크기에 따라 로크웰 경도를 나타내는 여러 가지 척도들이 상ㅇ되고 있다.
5) 쇼어시험과 모스시험은 일반적으로 긁기 시험과 반발시험으로 불린다.
3. 실험적 결과값 및 계산 결과값의 비교
● 비커스 경도기의 실험식
1.854 P
HV = ───────────(kG/mm2)
L2
L : 압입자국의 대각선 평균길이(mm)
◆ 실험값 [하중 : 300g]
실험
대각선 길이 (㎛)
실험적 Hv
계산적 Hv
L 1
L 2
평균
실험1
51.01
51.75
51.38
210
210.689
실험2
51.64
51.71
51.675
208
208.290
실험3
50.31
50.14
50.225
220
220.491
평균
50.986
51.2
51.09
213
213.088
4. 실험 고찰
경도기가 우리에게 준 값과 우리가 대각선의 길이를 측정하여 평균을 낸 후 식에 대입해 계산한 값은 같은 값이 나왔다. 이는 경도기도 위의 식으로 계산하여 결과값를 나타낸 것이라 볼 수 있다.
비록 3번 밖에 실험을 하지 않아서 시편에 대한 경도값의 측정에는 오차가 잇다고 보이지만, 직접 경도기를 다루어 보는데 의의가 있는 것 같다.
5. 참고 문헌
Hardness testing, "Metals Handbook" 9th ed, vol 8
Mott B.W "Micro-indentation Hardness testing"Butterworth & Co (Publishers)
Tabor. D "The Hardness of Metals" Oxford Universsity Press,New York,1951
추천자료
냉간 가공된 황동의 재결정 및 입자 크기에 따른 경도 변화
STC3과 SCM440의 로크웰경도jo
대학물리실험 예비실험보고서 - 지자기의 수평 성분
0.01M EDTA 표준용액의 조제와 물의 경도 측정post
압연 전/후의 경도 변화
주철의 미세조직과 경도측정
식수의 경도 측정 예비
[신소재공학] Al-Cu의 석출경화에 따른 경도측정
[금속재료공학] Al 7075 가공조건에 따른 조직관찰, 경도, 충격 시험
마이크로 비커스 경도 시험
[슈미트해머 시험] 콘크리트 압축강도 추정을 위한 반발경도 시험방법
재료 시험 및 검사 (결과 보고서) 비커스 경도계, 시험 시편
[실험보고서] Cr 폐수처리실험 결과보고서 - 실험목적, 실험원리, 실험방법,결과, 고찰
탄소강의 조직 관찰 및 경도 측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