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1) ACT와 DBT의 공통점
(2) ACT와 DBT의 차이점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1) ACT와 DBT의 공통점
(2) ACT와 DBT의 차이점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않는 편이며, ACT는 내담자를 상담하는 전문가가 명상에 익숙해져야만 내담자에게 치료를 위한 기본적인 명상을 가르칠 수가 있다는 점에서 결이 다르다. 마음챙김 기법은 ACT와 DBT의 유일한 구성요소는 아니며 상담자들은 마음챙김 명상 실습을 통해 확장된 경험을 기대하지 않는다. 두 가지 치료법은 서로 공통적인 내용인 수용과 마음챙김 관점이 바탕이 되고 부정적인 정서를 제거하는 것이 아닌 강렬한 감정 완화와 받아들임에 목적을 두고 있다. 우울과 불안으로 힘들어하는 내담자들이 큰 감정의 파동과 감당하지 못할 충동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치료법이다. 이 치료법들을 통하여 내담자들이 자신들이 정의한 의미 있고, 보람된 삶을 달성한다는 최종 목표에 따른 대안을 제시 할 수 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Hayes SC.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relational frame theory, and the third wave of behavioral and cognitive therapies. Behav Ther 2004;35:639-65
[네이버 지식백과]수용전념치료[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受容專念治療]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아동및청소년을위한제3물결의 행동치료:과정, 도전및미래의방향 Karen M. O’Brien, BA, Christina M. Larson, BA, and Amy R. Murrell, Ph.D., University of North Texas
4. 출처 및 참고문헌
Hayes SC.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relational frame theory, and the third wave of behavioral and cognitive therapies. Behav Ther 2004;35:639-65
[네이버 지식백과]수용전념치료[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受容專念治療]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아동및청소년을위한제3물결의 행동치료:과정, 도전및미래의방향 Karen M. O’Brien, BA, Christina M. Larson, BA, and Amy R. Murrell, Ph.D., University of North Texa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