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의학(Forensic Medicine)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법의학의 정의

2. 법의학의 연혁

3. 법의학적 검사의 대상
1) 생체 검사
2) 시체 검사
3) 물체 검사
4) 현장 검사
5) 서류 검사

※법의학적 적용의 실례
1. 친자감별

2. 화성 부녀자 연쇄 강간 살인사건

3. 삼풍백화점 사건

4. 서해 페리호 사건

본문내용

9일째인 28일에 실종 시체 2구가 인양되어 사망자 수는 291명으로 늘었으며, 유족측에서 실종 신고한 사람 중 1명만이 확인되지 않은 상황이었다. 사고 후 24일째인 11월 2일, 마침내 최종 부유 시체가 인양됨으로써 실종자를 모두 찾았다. 이로써 총 292명의 사망자와 생존자 70명을 포함하여 총 362명의 생사가 확인된 것이었다.
이들 실종 시체의 수색 현황에 의하면, 바다 밑으로 가라앉았던 익사체들이 부패되면서 부력에 의하여 물의 비중보다 가벼워짐으로써, 사고 후 6일째인 10월 15일부터 10일째인 10월 19일 사이에 가장 많은 61구의 부유 시체가 발견되었다. 그러나 그 뒤로는 사고 후 13일째에 1구, 15일째에 2구, 19일째에 2구, 마지막 24일째에 1구 등 모두 6구가 인양되었다.
결과적으로 바닷물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여름철보다 익사체의 부패가 느리게 진행되었고, 시체의 부유 속도도 전체적으로 느린 경향을 보인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사고 후 13-24일 후까지도 부유 시체가 발견된 점으로 보아 개인에 따라 부패의 진행 속도에 차이가 있으며, 주변 수온의 차이, 수질, 환경 및 기타 조건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여진다.

키워드

법의학,   ,   의학,   법률,   응용의학

추천자료

  • 가격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3.10.19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70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