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목차
1.그림의 법칙(Grimm`s Law)
2.버너의 법칙(Verner`s Law)
3.인도-유럽어족(The Indo-European Family of Languages)
4.게르만어파(Germanic)
5.인도-유럽어와 게르만어의 차이
6.앵글로 색슨족의 영국 도래
7.스칸디나비아 사람들의 침입
8.영어의 시대 구분
9.고대영어의 방언
10.고대 영어의 발음과 철자
11.고대 영어의 성
12.지시사와 정관사
13.명사의 굴절
14.강변화 명사
15.약변화 명사(nama `name`, oxa `ox`)
16.`i`모음변이(umlaut)
17.인칭 대명사
18.동사
19.강변화 동사(예 : bind/an `bind`)
20.명령(현재 시제만 있음)
21.비정형
22.강변화동사의 7개의 부류(root vowel의 pattern에 의해서 나눔)
23.약변화동사의 3부류
24.과거-현재동사(preterit-present)
25.변칙동사 b on `be`, d n `do`, g n `go`
26.켈트어의 영향
27.라틴어의 영향
28.노르만 정복이 영어에 미친 영향
29.영어가 재정립하게 된 사회, 정치적 요인
30.13C 영어와 프랑스어
31.14C의 상황
32.15C의 상황
33.중세영어시기(1100∼1500) : 영어의 대변화의 시기
34.중세 영어 철자
35.ME의 발음의 변화
36.형용사의 굴절의 변화
37.대명사의 굴절의 변화
38.지시대명사와 정관사
39.인칭대명사
40.동사의 굴절의 변화
41.강변화 동사
42.약변화 동사
43.동사의 활용
44.프랑스어의 영향
45.ME의 라틴어 차용어
46.네덜란드어, 저지 독일어 차용어
47.ME의 방언
48.표준 영어의 등장과 런던 방언
2.버너의 법칙(Verner`s Law)
3.인도-유럽어족(The Indo-European Family of Languages)
4.게르만어파(Germanic)
5.인도-유럽어와 게르만어의 차이
6.앵글로 색슨족의 영국 도래
7.스칸디나비아 사람들의 침입
8.영어의 시대 구분
9.고대영어의 방언
10.고대 영어의 발음과 철자
11.고대 영어의 성
12.지시사와 정관사
13.명사의 굴절
14.강변화 명사
15.약변화 명사(nama `name`, oxa `ox`)
16.`i`모음변이(umlaut)
17.인칭 대명사
18.동사
19.강변화 동사(예 : bind/an `bind`)
20.명령(현재 시제만 있음)
21.비정형
22.강변화동사의 7개의 부류(root vowel의 pattern에 의해서 나눔)
23.약변화동사의 3부류
24.과거-현재동사(preterit-present)
25.변칙동사 b on `be`, d n `do`, g n `go`
26.켈트어의 영향
27.라틴어의 영향
28.노르만 정복이 영어에 미친 영향
29.영어가 재정립하게 된 사회, 정치적 요인
30.13C 영어와 프랑스어
31.14C의 상황
32.15C의 상황
33.중세영어시기(1100∼1500) : 영어의 대변화의 시기
34.중세 영어 철자
35.ME의 발음의 변화
36.형용사의 굴절의 변화
37.대명사의 굴절의 변화
38.지시대명사와 정관사
39.인칭대명사
40.동사의 굴절의 변화
41.강변화 동사
42.약변화 동사
43.동사의 활용
44.프랑스어의 영향
45.ME의 라틴어 차용어
46.네덜란드어, 저지 독일어 차용어
47.ME의 방언
48.표준 영어의 등장과 런던 방언
본문내용
함
wage ==> gage
warranty ==> guarantee
3 j[ ]와 ch[ ] ==> [ ]와 [ ]로 변함
현재의 영어단어 charge, change, chamber, chase는 음의 변화X
chamois, chouffer, cheuron, chic의 ch음은 [ ]
jabot, rougr의 j음은 [ ] ==> 음이 변한 후 영어에 들어옴
4 고대 프랑스어의 이중모음 ui ==> 강세가 첫째음 u에 있음
+- 앵글로 노르만어 : 강세는 그대로 보존, i는 사라지고 u[y]만 남음
| ME때 이 [y]는 u, ui, ew로 철자
| [y]음은 강세의 위치의 변화없이 [u] 또는 [iu]
| ex) fruit는 앵글로 노르만어 기원
+- 파리방언 : ui의 강세의 위치가 i로 옮겨감
ex) fruit의 프랑스 발음이 전혀 다름
5 이중모음 ei - 노르만 방언 : 그대로 보존
- Central French : ei ==> oi
ex) leal, real(앵글로 노르만어 leial, reial)의 기원 : 노르만 방언
loyal, royal은 oi음을 지니고 있어 프랑스어 기원
- 1250∼1400 초서 사망 : 약 1C반 동안 영어가 프랑스어를 차용한 비율이 가장 높음(약 절반 가량의 프랑스어) ==> 모든 분야에서 영어가 프랑스어를 대신하 는 시기
ME의 라틴어 차용어
- 제 3기의 라틴어 영향 : 노르만 정복의 영향으로 라틴어가 ME에 영향을 미침
- ME의 라틴어 차용어 : 대중성이 적음, 문어를 통해 들어옴(프랑스어와 성격이 다름)
당시 : 구어 14, 15C : 라틴어 차용이 많음
ex)allegory, genius, gesture, history, intellect, legal, necessary, project, rational
- 라틴어는 직접 차용과 간접 차용(프랑스어를 통해)이 있었다.
- aureate diction : 15C 시인들과 산문 작가들이 문체를 화려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한 언어(흔히 볼 수 없는 유별난 단어를 라틴어에서 차용 ==> 문체에 도입)
이런 용어 사용 ==> 신기함 상실 ==> 일상 언어
ex) laureate, mediation, oriental, prolixity
- 영어에 동의어가 풍부한 이유 : 라틴어, 프랑스어, 자국어의 요소가 혼합
- 영어 : 대중적, 문학적, 학문적 동의어
ex) rise-mount-ascend, ask-question, fear-terror-trepidation,
==> 첫째 요소 : 영어, 둘째 요소 : 프랑스어, 셋째 요소 : 라틴어
생생하고 강한 힘을 지닌 단어 <-----+ 학문적, 문어적 어감 <--+
플라망어, 네덜란드어, 저지 독일어 차용어
플라망어, 네덜란드어, 저지 독일어 :점차적으로 영어에 들어옴
이들 국가들과의 교류
중세 말 : nap, lighter, rover, mart
후 : duck, boom, gin, dollar
네덜란드 차용어(미술) : easel, landscape
네덜란드 이민을 통한 차용어 : bowery, boodle
ME의 방언
- ME 시기가 끝날 무렵까지 표준어로 인정받을 만한 언어가 없음
- ME의 중요한 방언 : 북부방언, 동중부방언, 서중부방언, 남부방언
- 구별 : 발음, 어휘, 굴절의 특성(동사의 현재 직설법 복수 어미)
북부방언
동중부방언
서중부방언
남부방언
명사의 복수 어미
-s
-s
-s, -n
-s, -n
직설법 현재 인칭어미 단수 1인칭
-e
-e
-e, -ie
-e, -ie
2인칭
-es
-est
-est, -iest
-est, -iest
3인칭
-es
-e , -es
-e , -ie , -es
-e , -ie
복수
-es
-en
-en, -es, -i(e)n,
-e , ie
현재분사
-and
-ende
-ende
-ende, -inde
대명사 주격 단수 1인칭
ic, I
ic, I
Ich, ic, I
ich, I
여성 단수 주격
scho
sche
ho
sche
she, he
hue, ho
heo, he
ho, hue,
hi
복수 주격
ai
thai
ei, they
ei
ai
he, hi
he
ai, ei
heo
hii, hi
heo
대격
thaym
eym
hem
hem, hom
ham, hom
- ME방언의 일반적인 특징
·북부방언 : OE의 를 지님. 현재 스코틀랜드에서 stane과 hame형태
OE의 cw를 qu, qhu로 철자
현재분사와 동사 직설법 현재 어미 -and, -es
·햄버강 남쪽 : OE의 는 로 발전(st n, h m ==> stone, home)
현재분사의 어미와 동사의 현재 직설법 어미
-inde와 -e , -ie 또는 eth
어두의 f, s는 남부에서 v, z로 유성화
·중부방언 : 현재분사 어미와 동사 현재 복수 인칭어미 -ende, -en
·후기 ME에서 중부와 남부에서 -ing어미 발생
북부와 남부 사이에 방언적 차이 뚜렷
남부 ch는 북부에서는 k에 해당
ex) bench와 benk, church와 kirk
표준 영어의 등장과 런던 방언
14C 말 ; 지역 방언의 다양성으로부터 한 문자어가 나옴
15C에 일반적인 승인을 받기 시작
==> 공인된 표준어가 됨(동중부 지역 방언, 특히 런던 방언이 큰 기여)
이러한 결과를 낳게 한 원인
1. 중부 방언으로서의 이 지대의 영어는 남쪽(보수적)과 북쪽(급진적)의 극단적인 차이 사이의 중간적인 위치를 차지
2. 지역적으로 가장 넓고, 인구가 가장 많음
3. Oxford와 Cambridge 대학이 이 지역에 있음
+-----> 지성의 중심지
: 켐브리지가 동중부 방언을 보급하는데 큰 역할을 함
4. 런던의 중요성 : 영국의 정치적, 상업적 중심지
법정과 최고 재판소가 있음
사회적, 지성적 활동의 촛점
지방 사람들이 여러 가지 일로 끊임없이 왕래하며 서로 상호 적으로 런던 영어를 주거니 받거니 함
==> 표준 영어의 역사는 런던 영어의 역사라고 할 수 있음
15C 후반 : 대부분의 지역에서 런던 표준어가 받아들여짐
1476년 인쇄술 도입 : 런던 영어의 보급에 중요한 역할
16C 런던 영어의 사용 ==> 관례화, 원칙화
wage ==> gage
warranty ==> guarantee
3 j[ ]와 ch[ ] ==> [ ]와 [ ]로 변함
현재의 영어단어 charge, change, chamber, chase는 음의 변화X
chamois, chouffer, cheuron, chic의 ch음은 [ ]
jabot, rougr의 j음은 [ ] ==> 음이 변한 후 영어에 들어옴
4 고대 프랑스어의 이중모음 ui ==> 강세가 첫째음 u에 있음
+- 앵글로 노르만어 : 강세는 그대로 보존, i는 사라지고 u[y]만 남음
| ME때 이 [y]는 u, ui, ew로 철자
| [y]음은 강세의 위치의 변화없이 [u] 또는 [iu]
| ex) fruit는 앵글로 노르만어 기원
+- 파리방언 : ui의 강세의 위치가 i로 옮겨감
ex) fruit의 프랑스 발음이 전혀 다름
5 이중모음 ei - 노르만 방언 : 그대로 보존
- Central French : ei ==> oi
ex) leal, real(앵글로 노르만어 leial, reial)의 기원 : 노르만 방언
loyal, royal은 oi음을 지니고 있어 프랑스어 기원
- 1250∼1400 초서 사망 : 약 1C반 동안 영어가 프랑스어를 차용한 비율이 가장 높음(약 절반 가량의 프랑스어) ==> 모든 분야에서 영어가 프랑스어를 대신하 는 시기
ME의 라틴어 차용어
- 제 3기의 라틴어 영향 : 노르만 정복의 영향으로 라틴어가 ME에 영향을 미침
- ME의 라틴어 차용어 : 대중성이 적음, 문어를 통해 들어옴(프랑스어와 성격이 다름)
당시 : 구어 14, 15C : 라틴어 차용이 많음
ex)allegory, genius, gesture, history, intellect, legal, necessary, project, rational
- 라틴어는 직접 차용과 간접 차용(프랑스어를 통해)이 있었다.
- aureate diction : 15C 시인들과 산문 작가들이 문체를 화려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한 언어(흔히 볼 수 없는 유별난 단어를 라틴어에서 차용 ==> 문체에 도입)
이런 용어 사용 ==> 신기함 상실 ==> 일상 언어
ex) laureate, mediation, oriental, prolixity
- 영어에 동의어가 풍부한 이유 : 라틴어, 프랑스어, 자국어의 요소가 혼합
- 영어 : 대중적, 문학적, 학문적 동의어
ex) rise-mount-ascend, ask-question, fear-terror-trepidation,
==> 첫째 요소 : 영어, 둘째 요소 : 프랑스어, 셋째 요소 : 라틴어
생생하고 강한 힘을 지닌 단어 <-----+ 학문적, 문어적 어감 <--+
플라망어, 네덜란드어, 저지 독일어 차용어
플라망어, 네덜란드어, 저지 독일어 :점차적으로 영어에 들어옴
이들 국가들과의 교류
중세 말 : nap, lighter, rover, mart
후 : duck, boom, gin, dollar
네덜란드 차용어(미술) : easel, landscape
네덜란드 이민을 통한 차용어 : bowery, boodle
ME의 방언
- ME 시기가 끝날 무렵까지 표준어로 인정받을 만한 언어가 없음
- ME의 중요한 방언 : 북부방언, 동중부방언, 서중부방언, 남부방언
- 구별 : 발음, 어휘, 굴절의 특성(동사의 현재 직설법 복수 어미)
북부방언
동중부방언
서중부방언
남부방언
명사의 복수 어미
-s
-s
-s, -n
-s, -n
직설법 현재 인칭어미 단수 1인칭
-e
-e
-e, -ie
-e, -ie
2인칭
-es
-est
-est, -iest
-est, -iest
3인칭
-es
-e , -es
-e , -ie , -es
-e , -ie
복수
-es
-en
-en, -es, -i(e)n,
-e , ie
현재분사
-and
-ende
-ende
-ende, -inde
대명사 주격 단수 1인칭
ic, I
ic, I
Ich, ic, I
ich, I
여성 단수 주격
scho
sche
ho
sche
she, he
hue, ho
heo, he
ho, hue,
hi
복수 주격
ai
thai
ei, they
ei
ai
he, hi
he
ai, ei
heo
hii, hi
heo
대격
thaym
eym
hem
hem, hom
ham, hom
- ME방언의 일반적인 특징
·북부방언 : OE의 를 지님. 현재 스코틀랜드에서 stane과 hame형태
OE의 cw를 qu, qhu로 철자
현재분사와 동사 직설법 현재 어미 -and, -es
·햄버강 남쪽 : OE의 는 로 발전(st n, h m ==> stone, home)
현재분사의 어미와 동사의 현재 직설법 어미
-inde와 -e , -ie 또는 eth
어두의 f, s는 남부에서 v, z로 유성화
·중부방언 : 현재분사 어미와 동사 현재 복수 인칭어미 -ende, -en
·후기 ME에서 중부와 남부에서 -ing어미 발생
북부와 남부 사이에 방언적 차이 뚜렷
남부 ch는 북부에서는 k에 해당
ex) bench와 benk, church와 kirk
표준 영어의 등장과 런던 방언
14C 말 ; 지역 방언의 다양성으로부터 한 문자어가 나옴
15C에 일반적인 승인을 받기 시작
==> 공인된 표준어가 됨(동중부 지역 방언, 특히 런던 방언이 큰 기여)
이러한 결과를 낳게 한 원인
1. 중부 방언으로서의 이 지대의 영어는 남쪽(보수적)과 북쪽(급진적)의 극단적인 차이 사이의 중간적인 위치를 차지
2. 지역적으로 가장 넓고, 인구가 가장 많음
3. Oxford와 Cambridge 대학이 이 지역에 있음
+-----> 지성의 중심지
: 켐브리지가 동중부 방언을 보급하는데 큰 역할을 함
4. 런던의 중요성 : 영국의 정치적, 상업적 중심지
법정과 최고 재판소가 있음
사회적, 지성적 활동의 촛점
지방 사람들이 여러 가지 일로 끊임없이 왕래하며 서로 상호 적으로 런던 영어를 주거니 받거니 함
==> 표준 영어의 역사는 런던 영어의 역사라고 할 수 있음
15C 후반 : 대부분의 지역에서 런던 표준어가 받아들여짐
1476년 인쇄술 도입 : 런던 영어의 보급에 중요한 역할
16C 런던 영어의 사용 ==> 관례화, 원칙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