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①SUM
②SUMIF
③SUMPRODUCT
④ABS
⑤ INT : 가장 가까운 정수로 내린다(무조건 정수)
⑥TRUNC
⑦MOD
⑧RAND ,RANDBETWEEN
⑨ROUND
⑩ROUNDDOWN
⑪ROUNDUP
⑫SUBTOTAL
⑬AND
⑭IF
⑮NOT
16.OR
17.HLOOKUP
18.MATCH
19.INDEX
20.LOOKUP
②SUMIF
③SUMPRODUCT
④ABS
⑤ INT : 가장 가까운 정수로 내린다(무조건 정수)
⑥TRUNC
⑦MOD
⑧RAND ,RANDBETWEEN
⑨ROUND
⑩ROUNDDOWN
⑪ROUNDUP
⑫SUBTOTAL
⑬AND
⑭IF
⑮NOT
16.OR
17.HLOOKUP
18.MATCH
19.INDEX
20.LOOKUP
본문내용
얻고자하 는 벡터(result-vector)에서 동일한 위치의 값을 찾아 기록한다.
LOOKUP함수 사용시는 반드시 look_vector로 올림차순으로 정렬되어야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다.
문법 : LOOKUP(lookup_value,lookup_vector,result_vector)
인수 : * lookup_value : lookup_vector에서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검색 조건. 즉, 사원 명부에서 비교하여 찾을 값으로 사번으로 찾고자 할 때는 사 번, 이름으로 찾고자 할 때는 이름이 있는 셀을 선택한다
숫자, 문자열, 논리값 또는 값을 가리키는 참조 영역을 인수로 지정할 수 있다.
* lookup_vector : 하나의 행이나 열이 들어 있는 영역으로서 검색하려는 데이 터들이 포함된 데이터 표의 영역. 즉, 사원명부에서 사번으로 찾고자 하면 사번이 있는 열에서 데이터 전체의 영열을 지정 한다.
* result_vector : 하나의 행이나 열이 들어 있는 영역으로서 데이터 검색 결과 가 포함된 데이터 표의 영역이며 lookup-vector와 크기가 동 일하여야 한다. 즉, 사원 명부에서 얻고자하는 데이터가 들어 있는 부서영역을 말한다.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lookup_vector 에서 lookup_value를 찾지 못하면 lookup_vector 중 lookup_value 바로 앞(왼쪽 또는 위쪽) 셀의 위치에 해당하는 result_vector의 값을 찾아 기록한다. 따라서, lookup_value가 lookup_vector의 첫 번째 기록된 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N/A 오류가 나타난다.
LOOKUP함수 사용시는 반드시 look_vector로 올림차순으로 정렬되어야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다.
문법 : LOOKUP(lookup_value,lookup_vector,result_vector)
인수 : * lookup_value : lookup_vector에서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검색 조건. 즉, 사원 명부에서 비교하여 찾을 값으로 사번으로 찾고자 할 때는 사 번, 이름으로 찾고자 할 때는 이름이 있는 셀을 선택한다
숫자, 문자열, 논리값 또는 값을 가리키는 참조 영역을 인수로 지정할 수 있다.
* lookup_vector : 하나의 행이나 열이 들어 있는 영역으로서 검색하려는 데이 터들이 포함된 데이터 표의 영역. 즉, 사원명부에서 사번으로 찾고자 하면 사번이 있는 열에서 데이터 전체의 영열을 지정 한다.
* result_vector : 하나의 행이나 열이 들어 있는 영역으로서 데이터 검색 결과 가 포함된 데이터 표의 영역이며 lookup-vector와 크기가 동 일하여야 한다. 즉, 사원 명부에서 얻고자하는 데이터가 들어 있는 부서영역을 말한다.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lookup_vector 에서 lookup_value를 찾지 못하면 lookup_vector 중 lookup_value 바로 앞(왼쪽 또는 위쪽) 셀의 위치에 해당하는 result_vector의 값을 찾아 기록한다. 따라서, lookup_value가 lookup_vector의 첫 번째 기록된 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N/A 오류가 나타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