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단계별 성장 발달의 평균 달성기준과 대상 아동과의비교
2. 고위험 신생아
2. 고위험 신생아
본문내용
주경에 항문과 직장을
분리하는 막이 흡수되거나 배출구
가 항문이 되는데 이것이 그대로
흡수되지 않고 존재하여 항문과
직장에 열려있지 않아 생긴다.
·수술전: 위 내용물 흡인 및 금식
비경구적 수분 공급한다.
·수술후: 항상 외음부가 청결하도
록 하며 배변 즉시 처리해 준다.
측위 및 앙와위를 취해 준다.
선천성 식도
폐색증
식도
기관루
(TEF)
태생기 약4~6주경에 위장과 호흡
계가 분리되는데 이 시기에 이상
이 온 것으로 약 30~59%에서 심
장이나 비뇨기계의 기형을 동반하
고 있다. 약 90%가 기관과 누공
을 형성하고 있는 식도기관루다.
·가장 중요한 치료목표는 흡인성 폐렴의 예방과 외과적 치료를 통한 기형의 교정이다.
·수술전:금식하고 수분공급 시작,
보육기 간호시행하며 산소공급
하므로써 호흡확보 및 유지
·수술후:체온조절, 적정한 산소
및 습도제공, 체위배액, 비구강
분비물 흡인, 체위변경
선천성 횡경막
탈장
횡격막의 형성과정과 복강내 환원의 시간적 차이 때문에 기형이 초래되는데 가장 흔한 것이 횡격막 후측방의 Bochdalek공을 통한 것으로 위, 소장, 대장 혹은 비장 등이 흉곽내로 밀려 올라와 있다.
수술전:
·복압상승을 예방하기 위해 울음 을 예방한다.
·흡인과 산소공급을 시행한다.
·정맥내로 수액을 공급한다.
·체위는 반좌위가 적당하다.
수술후:일상적인 수술후 간호를 시행하며 정서적 지지를 제공한다.
제대탈장, 복벽균열복벽
개열증
제대탈장은 복벽 중앙부 결손으로
재대환을 통하여 복강내 장기가
밖으로 탈출하고 얇은 복막으로
형성된 막에 의해 둘러싸인 것을
말한다. 제대는 낭의 중앙부에
위치해 있는 것이 복벽균열과의
차이점이다.
복벽균열 및 복벽개열증은 목막의
낭이 없으며, 배꼽 오른쪽 아래에
위치해 있으며 주로 소장이 탈출
되는 경우가 많다.
·외과적 교정이 필수적이다.
·낭 부위가 건조해지지 않도록
소독된 생리식염수로 드레싱
해준다.
·감염을 예방한다.
·구강으로 수유는 금지한다.
내 용
정 의
간 호
응급
수술을 요하는 선천성 기형
(신생아 Big 5)
선천성 장폐색증
선천성 거대
결장
장의 일부에서 부적절한 운동으로
인해 야기되는 기계적 폐색증을
말한다.
이는 신생아 장 폐색증의 기장
흔한 원인으로 약 80%가 남아에게 호발하며 흔한 발생부위는
직장 및 하부 S자 결장이다.
·선천성 기형을 가진 부모의
적응과정을 돕는다.
·모아애착 형성을 돕는다.
·내,외과적 중재로 인한 준비를
한다.
·퇴원후 결장루 간호를 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폐쇄나협착
회장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
으로 그외 십이지장이나 공장,
결장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태생기의 장간막 혈관 이상으로
인한 장괴사에 따른 2차적 병변이라고 추측한다.
·외과적 수술이 필요하다.
·수술전: 수술을 위한 최적의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상태를
유지한다.
·수술후: 가능한 빠른 수술부위의
회복과 합병증 예방에 힘쓴다.
태변성
장
폐색증
췌장효소 결핍을 가진 낭종성
섬유증(cystic fibrosis)의 한 증상
으로 회장이 태변덩이로 막혀
초래되는 폐색증이다.
삼투압이 높은액(gastrografin)으로 관장치료를 시도하고 여의치 않으면 외과적 수술을 해야 한다.
장이상회전 중장염전증
정상적으로 태생기 약 6주경이 되면 중장의 급격한 발육으로 복강 밖으로 소위 생리적 탈장이 일어난다.
태아 창자가 (태생4∼10주)에서
복강내로 들어오면서(태생10∼12
주) 순차적인 회전과 고정이 되는
데 이 과정이 제대로 안 된 상태
를 장 이상회전이라고 한다.
중장 염전은 초응급 수술을
요하며 2시간 이내에 수술을 위한
집중적인 소생숙이 실시되어야
한다.
분리하는 막이 흡수되거나 배출구
가 항문이 되는데 이것이 그대로
흡수되지 않고 존재하여 항문과
직장에 열려있지 않아 생긴다.
·수술전: 위 내용물 흡인 및 금식
비경구적 수분 공급한다.
·수술후: 항상 외음부가 청결하도
록 하며 배변 즉시 처리해 준다.
측위 및 앙와위를 취해 준다.
선천성 식도
폐색증
식도
기관루
(TEF)
태생기 약4~6주경에 위장과 호흡
계가 분리되는데 이 시기에 이상
이 온 것으로 약 30~59%에서 심
장이나 비뇨기계의 기형을 동반하
고 있다. 약 90%가 기관과 누공
을 형성하고 있는 식도기관루다.
·가장 중요한 치료목표는 흡인성 폐렴의 예방과 외과적 치료를 통한 기형의 교정이다.
·수술전:금식하고 수분공급 시작,
보육기 간호시행하며 산소공급
하므로써 호흡확보 및 유지
·수술후:체온조절, 적정한 산소
및 습도제공, 체위배액, 비구강
분비물 흡인, 체위변경
선천성 횡경막
탈장
횡격막의 형성과정과 복강내 환원의 시간적 차이 때문에 기형이 초래되는데 가장 흔한 것이 횡격막 후측방의 Bochdalek공을 통한 것으로 위, 소장, 대장 혹은 비장 등이 흉곽내로 밀려 올라와 있다.
수술전:
·복압상승을 예방하기 위해 울음 을 예방한다.
·흡인과 산소공급을 시행한다.
·정맥내로 수액을 공급한다.
·체위는 반좌위가 적당하다.
수술후:일상적인 수술후 간호를 시행하며 정서적 지지를 제공한다.
제대탈장, 복벽균열복벽
개열증
제대탈장은 복벽 중앙부 결손으로
재대환을 통하여 복강내 장기가
밖으로 탈출하고 얇은 복막으로
형성된 막에 의해 둘러싸인 것을
말한다. 제대는 낭의 중앙부에
위치해 있는 것이 복벽균열과의
차이점이다.
복벽균열 및 복벽개열증은 목막의
낭이 없으며, 배꼽 오른쪽 아래에
위치해 있으며 주로 소장이 탈출
되는 경우가 많다.
·외과적 교정이 필수적이다.
·낭 부위가 건조해지지 않도록
소독된 생리식염수로 드레싱
해준다.
·감염을 예방한다.
·구강으로 수유는 금지한다.
내 용
정 의
간 호
응급
수술을 요하는 선천성 기형
(신생아 Big 5)
선천성 장폐색증
선천성 거대
결장
장의 일부에서 부적절한 운동으로
인해 야기되는 기계적 폐색증을
말한다.
이는 신생아 장 폐색증의 기장
흔한 원인으로 약 80%가 남아에게 호발하며 흔한 발생부위는
직장 및 하부 S자 결장이다.
·선천성 기형을 가진 부모의
적응과정을 돕는다.
·모아애착 형성을 돕는다.
·내,외과적 중재로 인한 준비를
한다.
·퇴원후 결장루 간호를 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폐쇄나협착
회장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
으로 그외 십이지장이나 공장,
결장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태생기의 장간막 혈관 이상으로
인한 장괴사에 따른 2차적 병변이라고 추측한다.
·외과적 수술이 필요하다.
·수술전: 수술을 위한 최적의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상태를
유지한다.
·수술후: 가능한 빠른 수술부위의
회복과 합병증 예방에 힘쓴다.
태변성
장
폐색증
췌장효소 결핍을 가진 낭종성
섬유증(cystic fibrosis)의 한 증상
으로 회장이 태변덩이로 막혀
초래되는 폐색증이다.
삼투압이 높은액(gastrografin)으로 관장치료를 시도하고 여의치 않으면 외과적 수술을 해야 한다.
장이상회전 중장염전증
정상적으로 태생기 약 6주경이 되면 중장의 급격한 발육으로 복강 밖으로 소위 생리적 탈장이 일어난다.
태아 창자가 (태생4∼10주)에서
복강내로 들어오면서(태생10∼12
주) 순차적인 회전과 고정이 되는
데 이 과정이 제대로 안 된 상태
를 장 이상회전이라고 한다.
중장 염전은 초응급 수술을
요하며 2시간 이내에 수술을 위한
집중적인 소생숙이 실시되어야
한다.
추천자료
유아교육기관운영
유아교육-기관
[생물학] 프라더윌리 증후군(Prader-Willi syndrome)에 대하여
요로감염 case study
영유아의 말하기 능력의 발달과정과 놀이 활동
아동발달 핵심체크문제집
아동발달 요점정리
생의주기 및 발달단계 전체 과정에 대한 이론과 자신의 견해를 적을 것
생의주기 및 발달단계 전체과정에 대한 이론과 자신의 견해
★ 아동건강교육 - 아동건강교육의 중요성, 프로이드의 성격발달이론에 근거한 아동의 정신건...
<소아>요로감염 케이스A+++(연구의 필요성 부터~문헌고찰,병태생리,간호사정,간호진단 및 느...
인지발달 이론과 정신분석 이론의 유아기 특징을 기술하고 유아를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 [유...
[식사요법] 식사요법(식이요법)의 의의(정의), 올바른 식사지침 및 식사구성(식단구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