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은이
2. 손창섭 소설의 문체적 특징
3. 줄거리
4. 중요지문
5. 주제
6. 구성
7. 배경
8. 시점
9. 등장 인물과 인물의 묘사방법
10. 문학적 평가
11. 연구 활동
2. 손창섭 소설의 문체적 특징
3. 줄거리
4. 중요지문
5. 주제
6. 구성
7. 배경
8. 시점
9. 등장 인물과 인물의 묘사방법
10. 문학적 평가
11. 연구 활동
본문내용
모멸과 반항적 태도를 드러내 보인다. 이는 그녀의 삶의 폐쇄성과 비 정상성을 암시한다. 이러한 삶의 자세는 그녀가 다리 불구이며 전쟁에 의해 고향이라는 낙원을 잃어버린 현실과 관련된다.
3. 실존주의적 인간관의 입장에서 이 작품의 인물 성격을 설명해보자.
실존주의에서는 인간은 세상에 내던져져 방황을 잃고 절대적 가치도 잃은 존재로 파악된다. 이러한 인간에 대한 부정적 시각은 손창섭 소설의 인물의 공통된 특질이다. 이 소설에 동옥이나 동욱은 그러한 속성을 잘 보여준다.
4. 이 작품에서는 등장 인물 사이의 대화가 직접 인용되지 않고 모두 간접 화법으로 처리되고 있다. 이것과 작품 전체의 분위기 와의 관련을 생각해보자.
작가가 사건을 형상적으로 제시하기보다는 화자의 의식을 중시하여 간접 화법으로 대화를 처리하고 있다. 이는 부정적인 인간관 을 표현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동욱 남매의 비정상적이고 불구적인 삶은 무기력한 원구의 눈에 비친 외면적 사실과 그의 의식 에 의해 진술됨으로써 더욱 암울한 것으로 되고, 작품의 분위기 또한 활기를 잃고 우울하며 절망적인 느낌을 주게 된다.
특히 '것이다'의 빈번한 사용은 사건의 추이를 간접적으로 제시하고 독자들의 정서환기를 목표로 하고 있다.
5. 손창섭을 전후 문학의 대표적 작가로 평가하는 이유를 생각해 보자.
전후 한국 소설은 서구의 전후 문학과 비슷한 양상을 띤다. 특히 전쟁을 체험한 이후 전쟁이 작품의 제재로 등장하기도 하고 전 쟁의 체험과 관련된 인간 존재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이 시기 소설의 한 경향을 이룬다. 손창섭은 전쟁 이후의 소설에 나타나는 부정적이고 불구적인 인간상을 그리는 경향의 작가를 대표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6. 이 작품에는 6 25전쟁의 참상이 간접적으로 여러 곳에 묘사되어 있다. 보기들을 모두 찾아 내어 그것이 반영하고 있는 당시 사회상을 정리해 보고, 그 실상을 살리기 위한 작가의 자유롭고 풍부한 상상력이 어떻게 개입되고 있나 알아보자.
어두운 방에 쓰러져 가는 목조 건물
기독교 가정에서 성장했을 뿐 아니라 몇몇 교회에서 다년간 찬양대를 지도해 온 동욱의 과거를 원구는 생각하며, 요주음은 교회 에 나가지 않느냐고 물어보았다. 동욱은 멋적게 씽긋 웃고 나서 이따금 한 번씩 나가노라고 하고 그런 때는 견딜 수 없는 절망감 에 숨이 막힐 것 같은 날이라는 것이었다.
동욱은 아마 십중 팔구 군대에 끌려나갔을 거라고 하고 동옥은 아이들처럼 어머니를 부르며 가끔 밤중에 울기에 뭐라고 좀 나무 랐더니 그 다음날 저녁에 어디론가 나가 버렸다는 것이다. ……(중략)……한편 병신이긴 하지만 얼굴이 고만큼 뻔뻔하고서야 어 디가 몸을 판들 굶어 죽기야 하겠느냐고 주인 사나이는 지껄이는 것이었다.
앞의 인용문에서처럼 작가는 주인공 원구가 전쟁을 치른 뒤 교회에 나가지 않으면, 가끔 교회에 나가면 절망감을 느끼는 것으로 그려 놓고 있는 바, 전쟁이 희망과 이상을 빼앗아 가버렸음을 암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도깨비들이 방만이를 들고 나올 것 같은 집을 소설 속의 공간으로 설정함으로써, 전쟁이 남겨 놓은 폐허와 허무 의 식을 상징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또한 지체 장애자를 주인공으로 등장시킴으로써 전후 세대의 정신적, 물질적 상처를 드러내기 도 하는 것이다.
7. 작품 속의 집 주인인 '사나이'와 동옥, 그리고 원구의 관계를 생각하게 될 대, 동옥을 한 시대, 사회의 희생자라고 치고, 집 주인과 원구가 각자 동옥에 대해서 갖고 있는 관계로 보아 어떤 사회적인 의미를 지닌 인물인지 알아보자.
집 주인은 동옥의 비극적 삶에 대해 동정이나 관심을 보이지 않는 비인간적 인물로, 비정하고 메마른 사회상을 상징적으로 보여 준다. 반면에 원구는 동옥의 가출에 깊은 자책감을 느끼는 인물로, 비정한 현실 속에서 희망과 구원의 상징으로 등장하고 있다.
8. 손창섭의 작품에는 지체 장애자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이 지체 장애자들이 실존한 구체적인 인물이기보다 손창섭의 상상 력에서 태어난 상상의 인물이라고 할 때, 6 25 및 그 전후 시대와 사회 현실 속에서 그 지체 장애자가 어떤 의미를 가지겠는가 생각해 보자.
원치 않던 동족 상잔의 비극적 체험을 겪고 난 한국의 전후 사회는 인간성에 대한 회의, 허무주의, 무기력, 패배감으로 특징지 워진다. 손창섭의 소설에 등장하는 지체 장애자들 역시 자신의 삶을 결정할 수 있는 의지적 존재가 아닌 비극적이고 무기력한 인 물들로서 6 25로 인한 정신적, 물질적 외상의 전후 사회를 상징하고 있다.
3. 실존주의적 인간관의 입장에서 이 작품의 인물 성격을 설명해보자.
실존주의에서는 인간은 세상에 내던져져 방황을 잃고 절대적 가치도 잃은 존재로 파악된다. 이러한 인간에 대한 부정적 시각은 손창섭 소설의 인물의 공통된 특질이다. 이 소설에 동옥이나 동욱은 그러한 속성을 잘 보여준다.
4. 이 작품에서는 등장 인물 사이의 대화가 직접 인용되지 않고 모두 간접 화법으로 처리되고 있다. 이것과 작품 전체의 분위기 와의 관련을 생각해보자.
작가가 사건을 형상적으로 제시하기보다는 화자의 의식을 중시하여 간접 화법으로 대화를 처리하고 있다. 이는 부정적인 인간관 을 표현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동욱 남매의 비정상적이고 불구적인 삶은 무기력한 원구의 눈에 비친 외면적 사실과 그의 의식 에 의해 진술됨으로써 더욱 암울한 것으로 되고, 작품의 분위기 또한 활기를 잃고 우울하며 절망적인 느낌을 주게 된다.
특히 '것이다'의 빈번한 사용은 사건의 추이를 간접적으로 제시하고 독자들의 정서환기를 목표로 하고 있다.
5. 손창섭을 전후 문학의 대표적 작가로 평가하는 이유를 생각해 보자.
전후 한국 소설은 서구의 전후 문학과 비슷한 양상을 띤다. 특히 전쟁을 체험한 이후 전쟁이 작품의 제재로 등장하기도 하고 전 쟁의 체험과 관련된 인간 존재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이 시기 소설의 한 경향을 이룬다. 손창섭은 전쟁 이후의 소설에 나타나는 부정적이고 불구적인 인간상을 그리는 경향의 작가를 대표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6. 이 작품에는 6 25전쟁의 참상이 간접적으로 여러 곳에 묘사되어 있다. 보기들을 모두 찾아 내어 그것이 반영하고 있는 당시 사회상을 정리해 보고, 그 실상을 살리기 위한 작가의 자유롭고 풍부한 상상력이 어떻게 개입되고 있나 알아보자.
어두운 방에 쓰러져 가는 목조 건물
기독교 가정에서 성장했을 뿐 아니라 몇몇 교회에서 다년간 찬양대를 지도해 온 동욱의 과거를 원구는 생각하며, 요주음은 교회 에 나가지 않느냐고 물어보았다. 동욱은 멋적게 씽긋 웃고 나서 이따금 한 번씩 나가노라고 하고 그런 때는 견딜 수 없는 절망감 에 숨이 막힐 것 같은 날이라는 것이었다.
동욱은 아마 십중 팔구 군대에 끌려나갔을 거라고 하고 동옥은 아이들처럼 어머니를 부르며 가끔 밤중에 울기에 뭐라고 좀 나무 랐더니 그 다음날 저녁에 어디론가 나가 버렸다는 것이다. ……(중략)……한편 병신이긴 하지만 얼굴이 고만큼 뻔뻔하고서야 어 디가 몸을 판들 굶어 죽기야 하겠느냐고 주인 사나이는 지껄이는 것이었다.
앞의 인용문에서처럼 작가는 주인공 원구가 전쟁을 치른 뒤 교회에 나가지 않으면, 가끔 교회에 나가면 절망감을 느끼는 것으로 그려 놓고 있는 바, 전쟁이 희망과 이상을 빼앗아 가버렸음을 암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도깨비들이 방만이를 들고 나올 것 같은 집을 소설 속의 공간으로 설정함으로써, 전쟁이 남겨 놓은 폐허와 허무 의 식을 상징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또한 지체 장애자를 주인공으로 등장시킴으로써 전후 세대의 정신적, 물질적 상처를 드러내기 도 하는 것이다.
7. 작품 속의 집 주인인 '사나이'와 동옥, 그리고 원구의 관계를 생각하게 될 대, 동옥을 한 시대, 사회의 희생자라고 치고, 집 주인과 원구가 각자 동옥에 대해서 갖고 있는 관계로 보아 어떤 사회적인 의미를 지닌 인물인지 알아보자.
집 주인은 동옥의 비극적 삶에 대해 동정이나 관심을 보이지 않는 비인간적 인물로, 비정하고 메마른 사회상을 상징적으로 보여 준다. 반면에 원구는 동옥의 가출에 깊은 자책감을 느끼는 인물로, 비정한 현실 속에서 희망과 구원의 상징으로 등장하고 있다.
8. 손창섭의 작품에는 지체 장애자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이 지체 장애자들이 실존한 구체적인 인물이기보다 손창섭의 상상 력에서 태어난 상상의 인물이라고 할 때, 6 25 및 그 전후 시대와 사회 현실 속에서 그 지체 장애자가 어떤 의미를 가지겠는가 생각해 보자.
원치 않던 동족 상잔의 비극적 체험을 겪고 난 한국의 전후 사회는 인간성에 대한 회의, 허무주의, 무기력, 패배감으로 특징지 워진다. 손창섭의 소설에 등장하는 지체 장애자들 역시 자신의 삶을 결정할 수 있는 의지적 존재가 아닌 비극적이고 무기력한 인 물들로서 6 25로 인한 정신적, 물질적 외상의 전후 사회를 상징하고 있다.
추천자료
[영화감상문] 제8요일
여자가 원하는 스타일의 남자
제품디자이너 나오토 후카자와
내인생의 영화, 감독, 배우
김소월의 생애와 시
(감상문)지금 만나러 갑니다(여성학의 이해)
영화분석/음향 - 화려한휴가
꽃들의 꽃말과 꽃말의 유래
[예술] 비디오아트
이형기 시인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가라 영화 분석
국순당 우국생 마케팅 4P,STP,SWOT분석과 국순당 새로운 마케팅전략제안과 국순당 향후방향...
유아 과학 활동 - 지구과학(비, 바람)의 특징과 비, 바람 프로젝트 및 실제 활동
유아교육개론 C형 유아교육의 교수학습 원리와 유아교육기관의 시설과 환경 (유아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