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포 가는 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삼포 가는 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줄거리

2. 문학적 평가

본문내용

설었다. 옆에서 잠자코 듣던 영달이가 말했다.
"잘됐군. 우리 거기 가서 공사판 일이나 잡읍시다."
그때에 기차가 도착했다. 정씨는 발걸음이 내키질 않았다. 그는 마음의 정처를 방금 잃어버렸던 때문이었다.
어느 결에 정씨는 영달이와 똑같은 입장이 되어버렸다.
기차는 눈발이 날리는 어두운 들판을 향해서 달려갔다.
문학적 평가
이 소설에서 "삼포"란 어느 특정한 지명이면서 동시에 어느 곳에나 있고 보편적인 지명이다. 마치 60년대 김승옥이 ' 무진기행'에서 "무진"이란 지명이 그러했던 것과 엄밀히 대등되고 있다. "삼포" 그것은 톱과 망치가 든 배 낭을 짊어지고 공사판을 찾아가는 건강한 노동자들의 여로와 그 여로가 계속되는 지명인 것이다. 이 사실은 산업화에로의 가속에 서 비롯된 70년대 한국 사회의 여러 문제점이 지닌 구조와 대등된다.
이 소설은 70년대 초에 산업화 과정의 부산물로 생긴 밑바닥 인생들의 비애와 고향 상실을 다루고 있다. 73년 '신동아'에 발표 되었다. 이 시대의 황폐함과 궁핍함이 "영달"과 "정씨" 같은 부랑 노동자와 "백화" 같은 술집 작 부의 모습으로 드러나면서 일정한 시대적 전형성을 획득하고 있다.
이 소설의 본질적 형식은 "旅路"이며, 그 여로는 근원적인 존재의 고향을 향한 동경의 열정이다. 따라서 그 열정의 강렬성과 맹목성에 의해 허무가 상대적으로 증대되어 대립한다. 찾던 길이 나타났을 때 여행은 끝나버렸던 것이 그 필연이다. ' 삼포 가는 길'은 이러한 소설의 내적 형식의 불변성을 보여 주는 작품이면서, 그 결말에서 길은 나타나지 않았고 여행은 여전히 계속됨을 암시하고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3.10.23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79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