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원리
3. 시약 및 기자재
4. 실험방법
5. 참고문헌
2. 실험원리
3. 시약 및 기자재
4. 실험방법
5.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다.
⑤ 배지가 완전히 녹을 때까지 충분히 가열한다. 한천 덩어 리가 없어질 때를 완전히 녹은 것으로 간주한다.
⑥ 시험관에 일정량씩 분주한 다음 면적으로 단단히 막는다. 멸균하는 동안 배지가 끓어 넘치기 때문에 배지 용량이 시험관 크기의 1/2이상을 넘어서는 안된다.
⑦ 오토클레이브에 배지를 넣은 시험관을 넣고 121℃ 15분 간 멸균한다.
⑧ 멸균이 끝난 후 시험관을 꺼내어 시험관 위쪽을 높여 누 인 다음 배지를 굳힌다. 이때 배지는 밑쪽에 10㎜정도의 고층을 만들도록 하여 사면을 만드는 것이 좋다. 또한 배 지 목적에 따라 고층 정도를 높인 반사면배지를 만든다.
3. 시약 및 기자재
(1) 균주 : Escherichia Coli
(2) 시약 : Tryptone, Yeast extract, NaCl,
Acid or Alkali, 증류수
(3)기자재 : Autoclave, Incubator, Petridis, Testtube,
Micropipette/Tip, Flask(100㎖)/Silistopper,
Microcentrifugetube, 백금이
4. 실험방법
(1) 멸균
1) 배지가 담긴 플라스크의 마개는 종이나 알루미늄박으로 싸서 너무 젖지 않도록하고, 시험관의 나선형 뚜껑은 약간 느슨하게 닫는다.
2) 멸균 tape를 붙인다.
3) 고압증기멸균기 내에 증류수가 충분한 가를 확인한 후, 멸균 대상물을 넣고 뚜껑을 닫아 멸균한다.
4) 멸균기내 압력과 온도가 떨어졌는가를 확인한다.
5) 멸균기내 수증기는 배기구를 통하여 배출하고 배기구를 닫는다.
6) 멸균기 뚜껑을 열고 내용물을 꺼낸다. 특히, 시험관은 어느 정도 식은후 나선형 뚜껑을 닫는다.
(2) 순수배양법
1) 도말평판법
① 불꽃으로 살균한 백금이를 한두 차례 흔든후 백금이로 배양액을 한번 떠서 평판배지의 한쪽에 도말한다.
② 백금이를 다시 불꽃으로 달구어 살균하고, 균이 접종되 지 아니한 평판배지 표면에 살짝 대어 식힌 후, 앞서 도 말한 부분의 끝 쪽에서 다시 여러 차례 도말한다.
③ ②의 과정을 두 차례 더 반복하여 도말을 완결한다.
④ 도말이 끝난 평판배지는 항상 뒤집어 37℃에서 12∼16 시간 정도 배양하여 관찰한다.
2) 주입평판법
① 시험관에 든 한천배지를 45∼50℃로 유지시켜 둔다.
② 불꽃에 달구어 살균한 백금이로 잘 흔든 배양체를 한번 채취하여 생리식염수에 푼다.
③ 다시 불꽃 살균한 백금이로 식염수 현탁액을 채취하여 첫 번째 한천배지 시험관에 2회 접종한다.
④ 이를 잘 흔든 후, 두 번째 시험과에 백금이로 2회 접종 하고, 첫 번째 혼합배지를 멸균된 페트리접시에 주입한다.
⑤ 두 번째 시험관의 세균 혼합배재를 잘 흔들어 세 번째 시험관에 백금이로 두 번 접종하고, 두 번째 혼합배지도 평판 주입하며, 세 번째 혼합배지도 잘 흔들어 평판 주입 한다.
⑥ 세균을 접종하지 아니한 배지간 하나를 대조구(control) 로 평판 주입한다.
⑦ 배지가 완전히 굳은 다음 37℃ 배양기에서 12∼16시간 정도 배양하여 관찰한다.
3) 분산평판법
① 세균 배양액을 희석한 다음 0.1㎖ 취하여 미리 만들어 둔 한천평판배지 표면에 접종한다.
② 삼각 유리봉을 알코올(95%)에 묻혀 불꽃 살균한 다음, 접종액이 없는 배지 표면에 먼저 살짝 대어 식힌 후 배 지 위의 접종액를 골고루 분산시킨다.
③ 배지 표면이 마른 것을 확인한 후 페트리접시를 뒤집어 배양기(37℃)에 12∼16시간 정도 배양하여 관찰한다.
5. 참고문헌
(1) <미생물학>, 배무, 이영록, 아카데미(1994)
(2) <생물학실험>, 김윤기, 김중배, 최한영 , 신광문화사
(3) <미생물학>, 김관수 대광문화사(1994)
⑤ 배지가 완전히 녹을 때까지 충분히 가열한다. 한천 덩어 리가 없어질 때를 완전히 녹은 것으로 간주한다.
⑥ 시험관에 일정량씩 분주한 다음 면적으로 단단히 막는다. 멸균하는 동안 배지가 끓어 넘치기 때문에 배지 용량이 시험관 크기의 1/2이상을 넘어서는 안된다.
⑦ 오토클레이브에 배지를 넣은 시험관을 넣고 121℃ 15분 간 멸균한다.
⑧ 멸균이 끝난 후 시험관을 꺼내어 시험관 위쪽을 높여 누 인 다음 배지를 굳힌다. 이때 배지는 밑쪽에 10㎜정도의 고층을 만들도록 하여 사면을 만드는 것이 좋다. 또한 배 지 목적에 따라 고층 정도를 높인 반사면배지를 만든다.
3. 시약 및 기자재
(1) 균주 : Escherichia Coli
(2) 시약 : Tryptone, Yeast extract, NaCl,
Acid or Alkali, 증류수
(3)기자재 : Autoclave, Incubator, Petridis, Testtube,
Micropipette/Tip, Flask(100㎖)/Silistopper,
Microcentrifugetube, 백금이
4. 실험방법
(1) 멸균
1) 배지가 담긴 플라스크의 마개는 종이나 알루미늄박으로 싸서 너무 젖지 않도록하고, 시험관의 나선형 뚜껑은 약간 느슨하게 닫는다.
2) 멸균 tape를 붙인다.
3) 고압증기멸균기 내에 증류수가 충분한 가를 확인한 후, 멸균 대상물을 넣고 뚜껑을 닫아 멸균한다.
4) 멸균기내 압력과 온도가 떨어졌는가를 확인한다.
5) 멸균기내 수증기는 배기구를 통하여 배출하고 배기구를 닫는다.
6) 멸균기 뚜껑을 열고 내용물을 꺼낸다. 특히, 시험관은 어느 정도 식은후 나선형 뚜껑을 닫는다.
(2) 순수배양법
1) 도말평판법
① 불꽃으로 살균한 백금이를 한두 차례 흔든후 백금이로 배양액을 한번 떠서 평판배지의 한쪽에 도말한다.
② 백금이를 다시 불꽃으로 달구어 살균하고, 균이 접종되 지 아니한 평판배지 표면에 살짝 대어 식힌 후, 앞서 도 말한 부분의 끝 쪽에서 다시 여러 차례 도말한다.
③ ②의 과정을 두 차례 더 반복하여 도말을 완결한다.
④ 도말이 끝난 평판배지는 항상 뒤집어 37℃에서 12∼16 시간 정도 배양하여 관찰한다.
2) 주입평판법
① 시험관에 든 한천배지를 45∼50℃로 유지시켜 둔다.
② 불꽃에 달구어 살균한 백금이로 잘 흔든 배양체를 한번 채취하여 생리식염수에 푼다.
③ 다시 불꽃 살균한 백금이로 식염수 현탁액을 채취하여 첫 번째 한천배지 시험관에 2회 접종한다.
④ 이를 잘 흔든 후, 두 번째 시험과에 백금이로 2회 접종 하고, 첫 번째 혼합배지를 멸균된 페트리접시에 주입한다.
⑤ 두 번째 시험관의 세균 혼합배재를 잘 흔들어 세 번째 시험관에 백금이로 두 번 접종하고, 두 번째 혼합배지도 평판 주입하며, 세 번째 혼합배지도 잘 흔들어 평판 주입 한다.
⑥ 세균을 접종하지 아니한 배지간 하나를 대조구(control) 로 평판 주입한다.
⑦ 배지가 완전히 굳은 다음 37℃ 배양기에서 12∼16시간 정도 배양하여 관찰한다.
3) 분산평판법
① 세균 배양액을 희석한 다음 0.1㎖ 취하여 미리 만들어 둔 한천평판배지 표면에 접종한다.
② 삼각 유리봉을 알코올(95%)에 묻혀 불꽃 살균한 다음, 접종액이 없는 배지 표면에 먼저 살짝 대어 식힌 후 배 지 위의 접종액를 골고루 분산시킨다.
③ 배지 표면이 마른 것을 확인한 후 페트리접시를 뒤집어 배양기(37℃)에 12∼16시간 정도 배양하여 관찰한다.
5. 참고문헌
(1) <미생물학>, 배무, 이영록, 아카데미(1994)
(2) <생물학실험>, 김윤기, 김중배, 최한영 , 신광문화사
(3) <미생물학>, 김관수 대광문화사(1994)
추천자료
[미생물]미생물의 상호작용 (미생물과 원생생물)
식품 및 환경의 식중독 균 배양 및 분리
[생물학] 바이러스의 종류와 특성(배양법, 감염메카니즘, 세포영향력, 질병성립경로 등)
응용미생물학의 정리( 미생물의 발견 부터, 호기발효조까지)
[실험보고서] 접종과 배양
미생물학 - 미생물이 인간에게 끼치는 영향
생명화학공학실험 - 효모의 플라스크 배양
토양균streaking (도말) : 채취한 토양균의 sample을 알맞은 배지에 스며들게 접종하여 배양...
생물학 실험 -Yeast(효모)의 순수 배양
[미생물] 미생물의 종류와 종류별 특성 - 고등미생물(진핵미생물), 하등미생물(원핵미생물), ...
[식품미생물학] 미생물(微生物)의 생육과 영향인자 - 미생물의 생육에 필요한 화학적 인자, ...
[식품食品미생물학] 미생물의 구조와 기능 - 미생물 세포의 특징, 원핵세포와 진핵세포, 원핵...
[일반생물학실험] Exp5 원핵세포 배양 및 관찰
예비)생물공학 배지배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