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도(弓道)의 이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궁도(弓道)의 역사

2. 한민족(韓民族)의 궁시(弓矢)에 대한 역사적 개관

3. 궁도의 특징과 효과

4. 국궁의 9계훈(國弓의 九戒訓)

5. 기본자세

본문내용

도를 갖는다.
3) 자중절조(自重節操) : 자기 몸을 소중히 여기고 절개와 지조를 지킨다.
4) 염직과감(廉直果敢) : 청렴하고 강직한 마음으로 용감하게 행한다.
5) 예의엄수(禮儀嚴守) : 예의 범절을 바르게 지킨다.
6) 습사무언(習射無言) : 활을 쏠 때는 말을 하지 않는다.
7) 정심정기(正心正氣) : 옳은 마음과 바른 의기를 갖는다.
8) 불원승자(不怨勝者) : 승부에만 집착하지 않는다.
9) 막만타궁(莫蠻他弓) : 다른 사람의 활을 만지지 않는다.
5. 기본자세
1) 비정비팔형(非丁非八形)
과녁을 향하여 정면으로 서되 양발의 넓이는 어깨넓이 정도로 하여 몸무게의 중심은 양다리에 고루 둔다.
2) 거궁
거궁시에는 몸 전체에 힘을 빼고 몸의 유연성을 유지하고 만작시에는 돌덩이 같이 굳어져야 한다.
3) 활 당기기
시위를 당길 때에는 머리는 시위쪽으로 기울이고 숨을 들이마시면서 끝까지 당기는 데 만작시에는 시위가 가슴에 닿도록 한다.
줌손은 태산을 미는 듯이 하고 각지손은 호랑이 꼬리를 잡듯이 뒤로 끌어당긴다.
4) 조준
요령은 과녁의 줌손 앞에 넣고 하삼지마디를 과녁에 대고 아레 위로 가감한다.
5) 발사
만작시에는 줌손과 각지손을 약간 짜듯이 틀어서 궁체를 짜고 2∼3초 정도 정지한 후 발사한다.
6) 잔신
화살이 나간 후에 발사 자세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기력을 충실하게 유지한 그대로 운동 방향으로 잔영을 이룬 체 화살이 표적에 도달하는 것을 주시한다.
7) 명중
화살 5개는 1순(巡)이며, 1순을 모두 과녁에 명중시킬 때 몰기(沒技)라 하며, 이때 접장(接長)이라는 칭호를 받는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3.10.24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82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