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Ⅱ. 본
1. 말레이시아
(1) 기후 특성
(2) 복식 형태
2. 사우디 아라비아
(1) 기후 특성
(2) 기본 복식
3. 네덜란드
(1) 기후 특성
(2)복식 형태
4. 오스트리아
(1) 기후 특성
(2) 복식 형태
5. 멕시코
(1) 기후 특성
(2) 복식 형태
6. 페루
(1) 기후 특성
(2) 복식 형태
7. 미국 인디언
(1) 평원 인디언들의 복식
(2) southwest 인디언의 복식
8. 모로코
(1) 기후 특성
(2) 복식 형태
Ⅲ. 결
Ⅱ. 본
1. 말레이시아
(1) 기후 특성
(2) 복식 형태
2. 사우디 아라비아
(1) 기후 특성
(2) 기본 복식
3. 네덜란드
(1) 기후 특성
(2)복식 형태
4. 오스트리아
(1) 기후 특성
(2) 복식 형태
5. 멕시코
(1) 기후 특성
(2) 복식 형태
6. 페루
(1) 기후 특성
(2) 복식 형태
7. 미국 인디언
(1) 평원 인디언들의 복식
(2) southwest 인디언의 복식
8. 모로코
(1) 기후 특성
(2) 복식 형태
Ⅲ. 결
본문내용
안데스의 인디오에게 널리 입혀지고 있는 홈스펀으로 된 폰쵸와 밀집으로 만든 모자를 착용한다. 추운 날씨에도 앞이 오픈된 샌들을 신는다. 어깨에 모포를 두르기도 한다.
② 여성복식
'Quechquemitl'이라 불리는 짧은 폰쵸이다. 어깨와 가슴만을 감출 정도이며, 자수, 레이스로 장식한다. 여기에 스커트와 숄을 두르는 것이 기본 복식으로서, 스커트의 길이는 무릎 아래정도이며, 두툼한 모직물을 3장-5장 겹쳐 입는다. 새로운 것일수록 겉에 착용한다. 여러 겹이므로 산위의 생활에 보온 효과가 크다. 스커트의 색상은 감색이나 검은단에 적색의 선을 두르며, 그 외 빨강, 주황, 청색, 갈색 등 다양하다. 여성은 누구나 모자를 착용하는데, 중산모, 납작모자, 소프트모자, 파나마모자 등 종류도 다양하다. 모자로 종족이나 지방을 확인하며, 숄은 산 위에서의 생활을 위해 보온역할을 한다. 짊어지는 보자기는 실용적인 목적과 장식적 효과를 주며, 물건이나 어린이를 넣는 실용성을 추구한다. 빈 보자기 상태로 악세 사리 효과를 주며, 신발보다는 맨발이 다수이다.
7. 미국 인디언
(1) 평원 인디언들의 복식
스킨 드레스와 남녀 공용의 로브이며 유목생활과 사냥에 편리하도록 피부를 최대한 편안하게 한다. 자연색인 사슴의 가죽으로된 튜닉에 레깅즈를 입는다. 드레이프진 소매와 몸에 헐렁하게 하며, 소매는 각 부족의 특징에 따라 다양하게 재단한다. 지역적으로 기후를 고려하여 추운 지역에서는 담요나 퀼트의 기법으로 외투의 형태를 착용한 것과 더운 곳에서는 주로 상의를 벗고 장식으로만 치장한 것을 볼 수 있으며, 모카신(moccasin)은 남녀 공용으로 신는다.
(2) southwest 인디언의 복식
아리조나, 뉴멕시코, 코로라도 남부지역의 인디언으로서, 미국 인디언의 10%인 1천 5백만 명의 인디언이 아리조나에 거주하고 있다. 기본복식은 로브, 레깅, 튜닉스타일과 스킨 드레스이며, 수공예나 전통의복이 집중되어 있는 인디언이다. 다른 지역보다 의복이 더 많이 발달하였고, 이것은 이들이 새로운 의복재료를 제일 먼저 받아 들였기 때문이다. 자연 섬유 뿐만 아니라 스페인과 유럽을 통한 면양을 전해 받았으며, 깃이 달린 머리장식에 얼굴은 흰색과 붉은색등으로 칠한다. 재킷은 가죽, 팔덮개나 바지 헴 부근에 다발 장식을 하고, 모커신, 울 모포도 착용한다.
8. 모로코
(1) 기후 특성
북아프리카의 가장 서쪽에 위치하며, 북은 지중해, 서는 대서양, 동~남동은 알제리, 남은 사하라와 접하고 있다. 내륙부는 대륙성 기후, 북부는 지중해성, 대아틀라스 산맥 이남은 사막기후이며, 강우량 연간 평균 400~600 mm이다.
(2) 복식 형태
부적을 옷에 바느질해 붙이고, 작은 주머니나 은제 상자에 부적을 넣고 가는 가죽끈에 매달아 목에 건다. 왼쪽 그림은 기도문을 목에 건 Mauritania의 남성으로 고대 복식의 기원을 보여준다. 순백의 haik, 속에 kaftan과 진한 인디고 블루의 터번을 착용하였으며, 목에 건 작은 상자에는 이슬람 기도문이 들어 있다. 손으로 짠 순면은 사막의 추운 밤에 보온 효과를 주고 대낮의 열기 속에서는 시원하여 매우 실용적이다.
mandeel(짧은 베일), 머릿수건, 로브를 착용하며, 다른 이슬람 국가와 마찬가지로 베르베르 여성도 집에서 입는 옷은 얇고 고우며 장식적이다. 시골의 베르베르 여성들은 베일 착용 안 하기도 한다.
Ⅲ. 結
복식은 그 시대의 특징과 지역적 환경 및 인간의 사상이 그대로 반영된다. 특히, 민족이 살고 있는 각 지역의 기후, 풍토와 같은 자연환경은 복식에 있어 1차적인 환경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은 자연환경에 적응력을 기르게 하기 위해 노력하며, 복식 형태 역시 그 적응 수단의 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 나라의 기후에 적합한 민족 복식은 그대로 계승되면서 전통성을 유지하게 된다. 이 전통성은 기후의 특징이 반영된 의복의 재료와 형태, 색, 문양 등이 있으며, 그 시대 사람들의 미의식과 더불어 복식의 미를 형성하는 중요한 인자가 된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지역적으로 기후가 추운 곳과 더운 곳이 있고, 건조하고 습한 곳이 있듯이, 그에 따라 사막지대의 복식과 몬순지대의 복식, 산악지대의 복식이 다르며, 민족 나름대로의 개성을 살려서 현대의 복식형태에도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복식미학의 이해. 김영자. 경춘사 /1998
의복과 환경. 심부자. 교문사/1999
의복과 환경. 수잔 M. 와트킨스. 이화여대 출판부/1993
② 여성복식
'Quechquemitl'이라 불리는 짧은 폰쵸이다. 어깨와 가슴만을 감출 정도이며, 자수, 레이스로 장식한다. 여기에 스커트와 숄을 두르는 것이 기본 복식으로서, 스커트의 길이는 무릎 아래정도이며, 두툼한 모직물을 3장-5장 겹쳐 입는다. 새로운 것일수록 겉에 착용한다. 여러 겹이므로 산위의 생활에 보온 효과가 크다. 스커트의 색상은 감색이나 검은단에 적색의 선을 두르며, 그 외 빨강, 주황, 청색, 갈색 등 다양하다. 여성은 누구나 모자를 착용하는데, 중산모, 납작모자, 소프트모자, 파나마모자 등 종류도 다양하다. 모자로 종족이나 지방을 확인하며, 숄은 산 위에서의 생활을 위해 보온역할을 한다. 짊어지는 보자기는 실용적인 목적과 장식적 효과를 주며, 물건이나 어린이를 넣는 실용성을 추구한다. 빈 보자기 상태로 악세 사리 효과를 주며, 신발보다는 맨발이 다수이다.
7. 미국 인디언
(1) 평원 인디언들의 복식
스킨 드레스와 남녀 공용의 로브이며 유목생활과 사냥에 편리하도록 피부를 최대한 편안하게 한다. 자연색인 사슴의 가죽으로된 튜닉에 레깅즈를 입는다. 드레이프진 소매와 몸에 헐렁하게 하며, 소매는 각 부족의 특징에 따라 다양하게 재단한다. 지역적으로 기후를 고려하여 추운 지역에서는 담요나 퀼트의 기법으로 외투의 형태를 착용한 것과 더운 곳에서는 주로 상의를 벗고 장식으로만 치장한 것을 볼 수 있으며, 모카신(moccasin)은 남녀 공용으로 신는다.
(2) southwest 인디언의 복식
아리조나, 뉴멕시코, 코로라도 남부지역의 인디언으로서, 미국 인디언의 10%인 1천 5백만 명의 인디언이 아리조나에 거주하고 있다. 기본복식은 로브, 레깅, 튜닉스타일과 스킨 드레스이며, 수공예나 전통의복이 집중되어 있는 인디언이다. 다른 지역보다 의복이 더 많이 발달하였고, 이것은 이들이 새로운 의복재료를 제일 먼저 받아 들였기 때문이다. 자연 섬유 뿐만 아니라 스페인과 유럽을 통한 면양을 전해 받았으며, 깃이 달린 머리장식에 얼굴은 흰색과 붉은색등으로 칠한다. 재킷은 가죽, 팔덮개나 바지 헴 부근에 다발 장식을 하고, 모커신, 울 모포도 착용한다.
8. 모로코
(1) 기후 특성
북아프리카의 가장 서쪽에 위치하며, 북은 지중해, 서는 대서양, 동~남동은 알제리, 남은 사하라와 접하고 있다. 내륙부는 대륙성 기후, 북부는 지중해성, 대아틀라스 산맥 이남은 사막기후이며, 강우량 연간 평균 400~600 mm이다.
(2) 복식 형태
부적을 옷에 바느질해 붙이고, 작은 주머니나 은제 상자에 부적을 넣고 가는 가죽끈에 매달아 목에 건다. 왼쪽 그림은 기도문을 목에 건 Mauritania의 남성으로 고대 복식의 기원을 보여준다. 순백의 haik, 속에 kaftan과 진한 인디고 블루의 터번을 착용하였으며, 목에 건 작은 상자에는 이슬람 기도문이 들어 있다. 손으로 짠 순면은 사막의 추운 밤에 보온 효과를 주고 대낮의 열기 속에서는 시원하여 매우 실용적이다.
mandeel(짧은 베일), 머릿수건, 로브를 착용하며, 다른 이슬람 국가와 마찬가지로 베르베르 여성도 집에서 입는 옷은 얇고 고우며 장식적이다. 시골의 베르베르 여성들은 베일 착용 안 하기도 한다.
Ⅲ. 結
복식은 그 시대의 특징과 지역적 환경 및 인간의 사상이 그대로 반영된다. 특히, 민족이 살고 있는 각 지역의 기후, 풍토와 같은 자연환경은 복식에 있어 1차적인 환경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은 자연환경에 적응력을 기르게 하기 위해 노력하며, 복식 형태 역시 그 적응 수단의 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 나라의 기후에 적합한 민족 복식은 그대로 계승되면서 전통성을 유지하게 된다. 이 전통성은 기후의 특징이 반영된 의복의 재료와 형태, 색, 문양 등이 있으며, 그 시대 사람들의 미의식과 더불어 복식의 미를 형성하는 중요한 인자가 된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지역적으로 기후가 추운 곳과 더운 곳이 있고, 건조하고 습한 곳이 있듯이, 그에 따라 사막지대의 복식과 몬순지대의 복식, 산악지대의 복식이 다르며, 민족 나름대로의 개성을 살려서 현대의 복식형태에도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복식미학의 이해. 김영자. 경춘사 /1998
의복과 환경. 심부자. 교문사/1999
의복과 환경. 수잔 M. 와트킨스. 이화여대 출판부/199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