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 론: 한국 대중 음악의 특징
본 론: 한국 대중 음악의 분류
(트로트, 포크. 록, 발라드, 댄스)
결 론: 한국 대중 음악의 현재의 문제점
맺음말: 한국 대중 음악의 개선점과 앞으로 나아갈 방향
본 론: 한국 대중 음악의 분류
(트로트, 포크. 록, 발라드, 댄스)
결 론: 한국 대중 음악의 현재의 문제점
맺음말: 한국 대중 음악의 개선점과 앞으로 나아갈 방향
본문내용
향은 무엇인가? 대중의 귀에 익숙한 멜로디와 대중이 좋아하는 마스크. 대중음악도 산업인지라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올리려는 경향이 있어서, 대중음악이 상업주의의 원리에 따라 생산되고, 소비되는 오락상품이라는 점을 놓고 볼 때 대중음악의 질은 낮아질 것이 뻔하다.
이러한 점에서 우리 대중은 우리 스스로 안목을 높이는 데 힘을 써야한다.
안목을 높인다는 말은 우리 스스로가 대중음악의 장 단점을 이해하고 또 자기가 좋아하는 음악을 스스로 찾고 즐길 줄 아는 능력을 키운다는 말이다. 대중음악의 질적 하향(저급성과 퇴폐성)의 원인을 보면 우리 대중들의 능력을 낮춰 보았다는 의미도 된다.
이는 대중들이 복잡하게 생각하지 않고 쉽게 즐길 수 있는 것을 좋아한다는 데 착안해서 그들이 자극적인 대사와 멜로디로 대중을 자극한다는 것인데, 대중들이 스스로 음악을 선별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면 자연스럽게 대중음악을 만드는 사람들도 소비원리에 의해 소비자의 욕구에 맞는 음악을 만들게 되며, 이로 인해 음악의 질적 상향과 다양한 음악을 즐길 수 있는 기회의 증대로 이어지지 않나 싶다.
공급자의 입장에서의 대중가요계가 해야할 일
위에서 대중은 공급자인 입장에서의 가요계의 상업적 목표에 맞선 자정력을 들었는데,
그럼 대중가요계가 무조건 나쁘다고 해야 될까? 그건 아니다. 음반계도 그들의 경쟁과 소비자들의 외면으로 인해 무분별하고 값싼 대중가요를 만들 수 밖에 없는 현실도 있다. 본의아니게 그렇게 했다는 논리가 통할 수도 있다. 왜? 그들도 먹고 살기 위해서.
하지만 그들이 진정 살기 위해서는 이렇게 해야될까? 상대방 측에서 저질적으로 나온다면 고급화 전략을 써서 나오면 되지 않을까? 처음에는 초기 자본량의 과다 지출과 인기도에서 밀리겠지만, 서서히 그들의 능력을 알아주고 인정받게 되지 않을까 싶다.
대중가요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더 나열할수도 있다. 하지만 내가 볼 때 총괄적으로 대중가요를 개선할수 있는 원동력은 대중 스스로이다.
끝으로 생각하는 논리는 대중의 노력이 대중음악의 질적향상을 가지게 한다는 것으로 마무리 짓는다. 대중이 스스로의 교육과 질적인 향상. 분별력있게 대중음악을 섭취한다면 우리나라의 대중음악의 미래는 밝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고자료
"일제 강점기 대중가요 연구" 김광해. 윤여탁. 김만수 공저 /도서 출판 박이정
"대중 음악 속의 철학" 김성환 엮고 대진대 철학과 학생들과 함께 지음/ 천지 출판사
이러한 점에서 우리 대중은 우리 스스로 안목을 높이는 데 힘을 써야한다.
안목을 높인다는 말은 우리 스스로가 대중음악의 장 단점을 이해하고 또 자기가 좋아하는 음악을 스스로 찾고 즐길 줄 아는 능력을 키운다는 말이다. 대중음악의 질적 하향(저급성과 퇴폐성)의 원인을 보면 우리 대중들의 능력을 낮춰 보았다는 의미도 된다.
이는 대중들이 복잡하게 생각하지 않고 쉽게 즐길 수 있는 것을 좋아한다는 데 착안해서 그들이 자극적인 대사와 멜로디로 대중을 자극한다는 것인데, 대중들이 스스로 음악을 선별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면 자연스럽게 대중음악을 만드는 사람들도 소비원리에 의해 소비자의 욕구에 맞는 음악을 만들게 되며, 이로 인해 음악의 질적 상향과 다양한 음악을 즐길 수 있는 기회의 증대로 이어지지 않나 싶다.
공급자의 입장에서의 대중가요계가 해야할 일
위에서 대중은 공급자인 입장에서의 가요계의 상업적 목표에 맞선 자정력을 들었는데,
그럼 대중가요계가 무조건 나쁘다고 해야 될까? 그건 아니다. 음반계도 그들의 경쟁과 소비자들의 외면으로 인해 무분별하고 값싼 대중가요를 만들 수 밖에 없는 현실도 있다. 본의아니게 그렇게 했다는 논리가 통할 수도 있다. 왜? 그들도 먹고 살기 위해서.
하지만 그들이 진정 살기 위해서는 이렇게 해야될까? 상대방 측에서 저질적으로 나온다면 고급화 전략을 써서 나오면 되지 않을까? 처음에는 초기 자본량의 과다 지출과 인기도에서 밀리겠지만, 서서히 그들의 능력을 알아주고 인정받게 되지 않을까 싶다.
대중가요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더 나열할수도 있다. 하지만 내가 볼 때 총괄적으로 대중가요를 개선할수 있는 원동력은 대중 스스로이다.
끝으로 생각하는 논리는 대중의 노력이 대중음악의 질적향상을 가지게 한다는 것으로 마무리 짓는다. 대중이 스스로의 교육과 질적인 향상. 분별력있게 대중음악을 섭취한다면 우리나라의 대중음악의 미래는 밝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고자료
"일제 강점기 대중가요 연구" 김광해. 윤여탁. 김만수 공저 /도서 출판 박이정
"대중 음악 속의 철학" 김성환 엮고 대진대 철학과 학생들과 함께 지음/ 천지 출판사
키워드
추천자료
MP3 저작권 문제와 국내 대중음악산업에 대한 고찰
서태지의 대중음악내 영향력 분석(A+레포트)
새로운 대중음악 CCM
[대중음악]비틀즈 (Beatles)
대중음악 레포트
추이지앤(崔建) 록음악의 대중성과 음악적 성취 및 그에 대한 평가 완벽 고찰
추이지앤(崔建) 록음악의 대중성과 음악적 성취 및 그에 대한 자신의 평가[방송통신대]
추이지앤(崔建) 록음악의 대중성과 음악적 성취, 그에 대한 자신의 평가((중국공연예술))
[문화선교] 『대중음악』
[팝음악][흐름][미국][수입][대중가요][랩][민중가요계][신세대문화][팝][힙합]팝음악의 흐름...
(가천대학교 사이버강의) <21세기 문화트렌드 읽기 학습저널> 12~14주차 (현대 미술 트렌드 ...
대중음악의 탄생의 정의
대중음악인의 예술의 전당 사용 논쟁 (가수 인순이의 예술의 전당 오페라 극장)
(국제브랜드관리 C) 한국의 대중음악(K-Pop)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차별화하기 위해서 어떤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