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념
2. 가사의 발생
3. 가사의 형식
4. 가사의 작자
5. 가사의 내용 분류
6. 가사의 사적 전개
2. 가사의 발생
3. 가사의 형식
4. 가사의 작자
5. 가사의 내용 분류
6. 가사의 사적 전개
본문내용
.
- 한 편의 동양화 같은 '우아미' 창조
3) 16C의 가사(연산군-선조: 당쟁과 임진왜란)
① 만분가(조위), 명앙정가(송순), 송강가사, 남정가(양사준)
② 관서별곡(백광홍), 퇴계가사(이황), 권선지로가(조식), 율곡가사(이이), 규원가(허난설 헌)
정철
- 모든 것을 잊고 자연과 융합하고자 하면서도 세속적인 진출 욕구는 은유와 상징 으로 표현
- 천생연분으로 떠날 수 없는데도 이별하여 떨어져 사는 신세 한탄: 사미인곡
- 화려한 이미지를 통해서 나타내는 숭고미
박인노
- 생활에 대한 관심이 훨씬 높음: 후기 가사로 접근하고 있음
- 비참한 생활상이 구체적으로 묘사됨: 누항사
- 현실적 생활의 근저를 반성하고 비판
4) 17C-18C
① 기행가사
5) 19C
① 서사문학: 농가월령가, 규방가사
후기 가사
- 현실주의 사고의 대두
- 양반 가사도 평민가사와 거리를 좁히고 있음
- 정학유의 농가월령사
- 양반의 유배가사: 만언사(안조언), 북천가(김진형)
- 양반의 기행가사: 일동장유가(김인겸), 연행가(홍순학)
- 평민가사로 작자불명의 우부가, 용부가
전기 가사의 미의식 극복->희극미 창조
패륜, 불의, 불선을 풍자하는 비판정신
- 내방가사: 영남의 부녀자
섬세한 여성의 희로애락 표현
접빈객, 봉제사에 관한 예의범절
내용은 양반문학이나 표현은 평민가사와 상통: 전기 가사의 변용
- 개화가사
최제우: 용담유사; 개화기의 문제점과 고민을 심각하게 다루었음
독립신문, 대한매일신문에 게재(독자투고); 가사가 짧아짐, 항일, 의병의 애국가사
개화기에 가장 큰 공헌을 한 문학장르
창자의 탄생을 낳게 했음
- 한 편의 동양화 같은 '우아미' 창조
3) 16C의 가사(연산군-선조: 당쟁과 임진왜란)
① 만분가(조위), 명앙정가(송순), 송강가사, 남정가(양사준)
② 관서별곡(백광홍), 퇴계가사(이황), 권선지로가(조식), 율곡가사(이이), 규원가(허난설 헌)
정철
- 모든 것을 잊고 자연과 융합하고자 하면서도 세속적인 진출 욕구는 은유와 상징 으로 표현
- 천생연분으로 떠날 수 없는데도 이별하여 떨어져 사는 신세 한탄: 사미인곡
- 화려한 이미지를 통해서 나타내는 숭고미
박인노
- 생활에 대한 관심이 훨씬 높음: 후기 가사로 접근하고 있음
- 비참한 생활상이 구체적으로 묘사됨: 누항사
- 현실적 생활의 근저를 반성하고 비판
4) 17C-18C
① 기행가사
5) 19C
① 서사문학: 농가월령가, 규방가사
후기 가사
- 현실주의 사고의 대두
- 양반 가사도 평민가사와 거리를 좁히고 있음
- 정학유의 농가월령사
- 양반의 유배가사: 만언사(안조언), 북천가(김진형)
- 양반의 기행가사: 일동장유가(김인겸), 연행가(홍순학)
- 평민가사로 작자불명의 우부가, 용부가
전기 가사의 미의식 극복->희극미 창조
패륜, 불의, 불선을 풍자하는 비판정신
- 내방가사: 영남의 부녀자
섬세한 여성의 희로애락 표현
접빈객, 봉제사에 관한 예의범절
내용은 양반문학이나 표현은 평민가사와 상통: 전기 가사의 변용
- 개화가사
최제우: 용담유사; 개화기의 문제점과 고민을 심각하게 다루었음
독립신문, 대한매일신문에 게재(독자투고); 가사가 짧아짐, 항일, 의병의 애국가사
개화기에 가장 큰 공헌을 한 문학장르
창자의 탄생을 낳게 했음
추천자료
춘향전이 최고의 고전문학인 이유
[고전문학] 우화소설과 조선후기의 향촌사회 변동
[고전문학] 설공찬전 연구
[고전문학] 연명설화의 운명관
[고전문학] 우리문학사에 우화가 미치는 영향 - 우화소설을 중심으로
[고전문학] 애정소설
[고전문학]금오신화 - 용궁부연록 연구사
[고전문학] 영웅좌절담류 비극소설의 특징과 계보파악을 위한 시론
고전문학감상문- 구운몽,홍길동전,심훈의상록수,손창섭의비오는날 감상문
고전문학속의 한국의 여성-홍계월전
고전문학강독-세상속의 삶의 방향
[국문학A+] 고전문학에 나타난 이물교혼 - 고전문학에 나타난 이물교혼 분석 및 한·중 이물교...
[고전문학] 특정 장르, 작가의 행적이 지닌 의미와 역할
[고전문학감상] 명월부인전(박씨전) - 박씨전이 넘은 한계와 넘지 못한 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