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I 서론
II. 전자정부의 개념과 추진 배경
1. 전자정부의 개념 과 구성 요소
1) 전자정부의 개념
2) 전자정부의 구성요소
가) 관리적 측면
나) 정보자원관리
다) 전자적 행정정보 공개제도
라) 조직적 측면
마) 기술 및 기술환경적 측면
2. 전자정부의 추진 배경 과 문제점
1) 전자정부의 추진배경
2) 전자정부의 추진과정 및 현황
가)태동기(1960~1970년대)
나) 안정기(1980년대)
다) 행정전산망 사업(1980년대~1996년)
라) 전자정부 구축기(1997~2000년)
마) 전자정부법의 국회통과
3. 전자정부 추진과정의 문제점
1) 행정정보화 정책 추진체계의 문제점
2) 추진 전략적 측면
3) 정보자원관리 측면
4) 인적․제도적 측면
III. 전자정부의 추진 방향
1. 정보화 관련법과 제도의 정비
2. 전문인력 보강
3. 정보통신 기술의 개발과 보급
I 서론
II. 전자정부의 개념과 추진 배경
1. 전자정부의 개념 과 구성 요소
1) 전자정부의 개념
2) 전자정부의 구성요소
가) 관리적 측면
나) 정보자원관리
다) 전자적 행정정보 공개제도
라) 조직적 측면
마) 기술 및 기술환경적 측면
2. 전자정부의 추진 배경 과 문제점
1) 전자정부의 추진배경
2) 전자정부의 추진과정 및 현황
가)태동기(1960~1970년대)
나) 안정기(1980년대)
다) 행정전산망 사업(1980년대~1996년)
라) 전자정부 구축기(1997~2000년)
마) 전자정부법의 국회통과
3. 전자정부 추진과정의 문제점
1) 행정정보화 정책 추진체계의 문제점
2) 추진 전략적 측면
3) 정보자원관리 측면
4) 인적․제도적 측면
III. 전자정부의 추진 방향
1. 정보화 관련법과 제도의 정비
2. 전문인력 보강
3. 정보통신 기술의 개발과 보급
본문내용
세에 역행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교훈은 과거 오랫동안의 경험을 통해 충분히 얻은 것이다.
2. 전문인력 보강
정부의 경쟁력을 높이려면, 공무원 개인의 사무처리능력을 향상시키는 정보통신에 대한 능력을 향상시켜서 공무원 개인의 생산성 제고에 기하여야 한다. 컴퓨터를 필요로 하는 모든 공무원에게 PC와 E-mail ID를 부여하여 개인 사무의 자동화를 촉진시키고 원격근무제 도입을 통해 관리의 효율화를 도모하고, 근로환경의 향상을 도모함으로서 사기와 업무성과를 높이도록 해야 한다. 또한 공무원에 대하여 업무특성과 직급에 맞게 정보화 교육을 실시하여 개개인의 정보화 마인드를 향상시켜 급변하는 정보화 사회에 능동적으로 적응해 나갈 수 있는 공무원의 대응능력을 제고 시켜야 할 것이다. 그러한 노력의 하나로 정보화시대 자격의 등급에 따라서 개인별로 인사상의 인센티브제도 역시 도입해야 한다. 그러나 내부인원의 정보화교육, 훈련을 통한 전자정부의 전문인력을 충원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동시에 외부 정보통신 전문가들의 활용과 위탁교육 역시 필요하다. 지속적인 정보화의 교육으로 정보기술, 전자 정부의 이념 및 당위성을 이해시켜 기존의 관행 변화를 유도해야 하는 것이다.
3. 정보통신 기술의 개발과 보급
정부의 생산성 향상을 통한 정부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정보통신기반기술의 정비가 선행되어야 한다. 부처별로 인트라넷을 구축하고 이들을 정부고속망을 중심으로 연계하여 정부인트라넷을 구축하여 모든 시스템을 인트라넷 환경에 맞도록 개발 또는 변환하여야 할 것이다. 데이터, 네트워크, 전자문서 등의 표준화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 아울러 정보시스템의 안전대책기준, 해킹 및 컴퓨터바이러스방지, 정보시스템 재난방지 및 복구대책 등 정보통신시스템의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와 같은 정보통신기반보호 기술의 획득 보급에 더 많은 노력을 경주하여야 한다. 또한 컴퓨터, 네트워크 분야의 기술적 변화에의 적극적 활용을 지속적으로 시도함으로서 항상 최신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할 수 있어야 하고, 개방형 네트워크를 확립하여야 한다.
정책을 답습하는 정책은 없어져야 하는 것이다. 이에 우리는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모든 행정과정을 전자화 함으로서 행정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국민에 대한 정부의 각종 정보 및 서비스를 누구나, 언제나, 어디서나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한국형 전자정부'를 하루 빨리 구축해야 하는 것이다.
2. 전문인력 보강
정부의 경쟁력을 높이려면, 공무원 개인의 사무처리능력을 향상시키는 정보통신에 대한 능력을 향상시켜서 공무원 개인의 생산성 제고에 기하여야 한다. 컴퓨터를 필요로 하는 모든 공무원에게 PC와 E-mail ID를 부여하여 개인 사무의 자동화를 촉진시키고 원격근무제 도입을 통해 관리의 효율화를 도모하고, 근로환경의 향상을 도모함으로서 사기와 업무성과를 높이도록 해야 한다. 또한 공무원에 대하여 업무특성과 직급에 맞게 정보화 교육을 실시하여 개개인의 정보화 마인드를 향상시켜 급변하는 정보화 사회에 능동적으로 적응해 나갈 수 있는 공무원의 대응능력을 제고 시켜야 할 것이다. 그러한 노력의 하나로 정보화시대 자격의 등급에 따라서 개인별로 인사상의 인센티브제도 역시 도입해야 한다. 그러나 내부인원의 정보화교육, 훈련을 통한 전자정부의 전문인력을 충원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동시에 외부 정보통신 전문가들의 활용과 위탁교육 역시 필요하다. 지속적인 정보화의 교육으로 정보기술, 전자 정부의 이념 및 당위성을 이해시켜 기존의 관행 변화를 유도해야 하는 것이다.
3. 정보통신 기술의 개발과 보급
정부의 생산성 향상을 통한 정부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정보통신기반기술의 정비가 선행되어야 한다. 부처별로 인트라넷을 구축하고 이들을 정부고속망을 중심으로 연계하여 정부인트라넷을 구축하여 모든 시스템을 인트라넷 환경에 맞도록 개발 또는 변환하여야 할 것이다. 데이터, 네트워크, 전자문서 등의 표준화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 아울러 정보시스템의 안전대책기준, 해킹 및 컴퓨터바이러스방지, 정보시스템 재난방지 및 복구대책 등 정보통신시스템의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와 같은 정보통신기반보호 기술의 획득 보급에 더 많은 노력을 경주하여야 한다. 또한 컴퓨터, 네트워크 분야의 기술적 변화에의 적극적 활용을 지속적으로 시도함으로서 항상 최신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할 수 있어야 하고, 개방형 네트워크를 확립하여야 한다.
정책을 답습하는 정책은 없어져야 하는 것이다. 이에 우리는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모든 행정과정을 전자화 함으로서 행정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국민에 대한 정부의 각종 정보 및 서비스를 누구나, 언제나, 어디서나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한국형 전자정부'를 하루 빨리 구축해야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