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 신자유주의 시대의 박정희 신드롬
2. 신자유주의의 한계 및 그것의 한국적 적용
3. 재벌 : 시장만능론자이자 박정희의 후계자
4. 결론
2. 신자유주의의 한계 및 그것의 한국적 적용
3. 재벌 : 시장만능론자이자 박정희의 후계자
4. 결론
본문내용
의 적극적 역할이 요구된다. 자본주의에서는 노동력과 화폐도 시장에서 거래되는 상품이다. 그러나, 시장기능만에 의해서는 노동력과 화폐의 재생산이 완벽하게 보장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노동력과 화폐는 '특수한' 상품이다. 따라서 국가개입은 필연적이다. Suzanne de Brunhoff, Etat et Capital : Recherches sur la politique conomique, P.U.G-Maspero, 1976, 신현준 역, 『국가와 자본』, 새길, 1992 참조
현 정권이 노사관계개혁위원회와 금융개혁위원회를 출범시키면서 구사했던 신자유주의적 미사여구(자율적 노사관계 확립, 금융자율화)는 국가개입의 필연성을 은폐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끝내 실패할 수밖에 없었다. 다만, 노사관계개혁위원회가 날치기로 대미를 장식하고 금융개혁위원회가 재경원의 기득권이라는 벽에 부딪히는 것과 같이, 국가개입의 양상이 보다 노골적이고 졸렬한 방식으로 표출되는 것은 그만큼 현 정권의 신자유주의가 가진 기반이 취약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재벌도 마찬가지이다. 재벌은 규제의 측면에서는 완전한 자유방임을 주장하는 영미식 신자유주의자이지만, 지원의 측면에서는 특히 현재와 같은 위기의 순간에서는 강력한 국가개입을 요구하는 박정희시대의 후계자이다. 시장이 불완전하다는 것을 가장 잘 아는 사람은 바로 시장만능론자인 재벌들이다.
박정희 신드롬은, 현재와 같은 경제위기상황에서 그 위기를 극복할 능력이 없는 무능한 정권과 재벌, 나아가 그 위기를 초래한 주범인 부도덕한 정권과 재벌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배신감이 역설적으로 표현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 이와 같은 위기의 순간에 거추장스러운 자유방임의 허울을 벗어버리고, 시장에 대한 국가개입과 재벌에 대한 정부지원은 부도덕의 문제이기 이전에 생존의 문제임을 강변할 수 있는 가장 유력한 논거도 바로 박정희 신드롬이다. 박정희 신드롬은 정권과 재벌에게는 뼈아픈 질책이지만, 반대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이기도 한 셈이다.
정치권력자와 경제권력자의 부도덕한 결합에 의해 끊임없이 경제위기가 반복되고 있지만,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도덕성의 문제를 잊어버려야 한다고 주장할 수 있는 한국사회의 현실, 이것이 신자유주의의 시대에 박정희 신드롬이 공존할 수 있는 근본 배경이다.
4. 결론
이 글에서는 신자유주의가 지배이데올로기화하고 있는 시대에 그 신자유주의의 극복대상일 수밖에 없는 박정희가 되살아나고 있는 모순의 원인을 주로 경제영역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신자유주의는 노동대중이 경제적·정치적 주체로서 존재한다는 사실을 전제로 하면서도 자본축적의 유리한 조건을 재창출하기 위해 노동대중의 권리를 제한해 나가는 부르주아의 이데올로기이다. 반면, 한국의 신자유주의는, 그것이 김영삼 대통령을 포함한 개혁그룹의 개혁만능론이든 또는 재벌의 시장만능론이든 간에, 노동대중의 존재 자체를 부인하고 있다는 점에서 서구의 신자유주의와는 구별된다. 이것은 한국의 신자유주의자들이 자본축적의 구체적인 수단 차원에서는 박정희를 극복대상으로 설정하고 있지만, 자본축적의 기본 철학과 전략 차원에서는 박정희의 후계자임을 나타내 주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의 신자유주의자들은 박정희 신드롬의 피해자가 아니라, 오히려 이들이 바로 박정희 신드롬의 진정한 수혜자이며 나아가 그 창조자이다.
특히 영미식 신자유주의의 전도사인 재벌은 노동대중의 권리와 존재를 철저히 부정하고 있는, 심지어는 유럽대륙식 신자유주의·질서자유주의적인 개혁정책조차 거부하고 있는 박정희시대의 살아있는 화신이다. 재벌이 살아 있는 한 박정희 역시 영원히 살 것이다. 따라서 노동대중의 경영참여를 배제하는 재벌의 천민적 소유권 의식(후진성)과 규모의 확대를 유일한 대안으로 내세우는 재벌의 축적욕(독점성), 그리고 이것을 악순환적으로 재생산하는 정경유착(부도덕성) 등을 근절하는 것은 한시도 지체할 수 없는 절박한 과제이다.
다만, 재벌구조의 개혁이라는 것이 이른바 개혁적 신자유주의자들의 시혜로서 노동대중에게 주어지는 것은(이것은 쉽지는 않겠지만, 불가능한 일도 아니다) 큰 의미가 없다. 이 경우에도 노동대중은 주체가 아니라 여전히 대상으로만 존재할 것이며, 보다 확대되고 교묘해진 부르주아의 자유 아래 노동대중은 여전히 노예의 삶을 살도록 강요당할 것이다. 노동대중의 권리는 경제적·정치적 주체로서 자립한 노동대중의 실천에 의해 획득되어져야 한다. 이것이 신자유주의와 박정희 신드롬을 동시에 극복할 수 있는 길이다.
참고문헌
Suzanne de Brunhoff, Etat et Capital : Recherches sur la politique conomique, P.U.G-Maspero, 1976, 신현준 역, 『국가와 자본』, 새길, 1992
공병호, 『시장경제와 그 적들』, 자유기업센터, 한국경제연구원, 1997
김광모, 『한국의 산업발전과 중화학공업정책』, 지구문화사, 1988
김상조, 「5대 및 10대 재벌의 차입금과 생산성의 최근 동향」, 한국사회경제학회, 『사회경제평론』 7집, 1994
김상조, 「기아사태를 통해 본 금융과 재벌의 문제점 및 그 대안」, 노동조합기업경영연구소, 『민주노동과 대안』, 1997
김윤자, 「80년대 신자유주의적 축적」, 한국사회경제학회 한국자본주의분과 세미나 발표논문, 1996.2
박동철, 「한국에서의 '국가주도적' 자본주의 발전방식의 형성 과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박세일, 『법경제학』, 법문사, 1994
양우진, 「현대 한국자본주의 발전과정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4
에드워드 울프, 「파이가 어떻게 잘리는가? - 미국에서의 증대하는 부의 집중」, 한국노동이론정책연구소 편, 『현장에서 미래를』, 1997.5
정건화·김상조, 「신경제정책하 한국경제와 1996년판 경제위기론」, 한국사회과학연구소, 『동향과 전망』 통권 제32호, 한울, 1996년 겨울
조우현 엮음, 『세계의 노동자 경영참가』, 창작과비평사, 1995
황신준, 「발터 오이켄의 경제질서정책 - 자유주의 경제개혁 시대의 사상적 모색」, 서울사회경제연구소 월례발표논문, 1996.5
현 정권이 노사관계개혁위원회와 금융개혁위원회를 출범시키면서 구사했던 신자유주의적 미사여구(자율적 노사관계 확립, 금융자율화)는 국가개입의 필연성을 은폐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끝내 실패할 수밖에 없었다. 다만, 노사관계개혁위원회가 날치기로 대미를 장식하고 금융개혁위원회가 재경원의 기득권이라는 벽에 부딪히는 것과 같이, 국가개입의 양상이 보다 노골적이고 졸렬한 방식으로 표출되는 것은 그만큼 현 정권의 신자유주의가 가진 기반이 취약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재벌도 마찬가지이다. 재벌은 규제의 측면에서는 완전한 자유방임을 주장하는 영미식 신자유주의자이지만, 지원의 측면에서는 특히 현재와 같은 위기의 순간에서는 강력한 국가개입을 요구하는 박정희시대의 후계자이다. 시장이 불완전하다는 것을 가장 잘 아는 사람은 바로 시장만능론자인 재벌들이다.
박정희 신드롬은, 현재와 같은 경제위기상황에서 그 위기를 극복할 능력이 없는 무능한 정권과 재벌, 나아가 그 위기를 초래한 주범인 부도덕한 정권과 재벌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배신감이 역설적으로 표현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 이와 같은 위기의 순간에 거추장스러운 자유방임의 허울을 벗어버리고, 시장에 대한 국가개입과 재벌에 대한 정부지원은 부도덕의 문제이기 이전에 생존의 문제임을 강변할 수 있는 가장 유력한 논거도 바로 박정희 신드롬이다. 박정희 신드롬은 정권과 재벌에게는 뼈아픈 질책이지만, 반대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이기도 한 셈이다.
정치권력자와 경제권력자의 부도덕한 결합에 의해 끊임없이 경제위기가 반복되고 있지만,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도덕성의 문제를 잊어버려야 한다고 주장할 수 있는 한국사회의 현실, 이것이 신자유주의의 시대에 박정희 신드롬이 공존할 수 있는 근본 배경이다.
4. 결론
이 글에서는 신자유주의가 지배이데올로기화하고 있는 시대에 그 신자유주의의 극복대상일 수밖에 없는 박정희가 되살아나고 있는 모순의 원인을 주로 경제영역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신자유주의는 노동대중이 경제적·정치적 주체로서 존재한다는 사실을 전제로 하면서도 자본축적의 유리한 조건을 재창출하기 위해 노동대중의 권리를 제한해 나가는 부르주아의 이데올로기이다. 반면, 한국의 신자유주의는, 그것이 김영삼 대통령을 포함한 개혁그룹의 개혁만능론이든 또는 재벌의 시장만능론이든 간에, 노동대중의 존재 자체를 부인하고 있다는 점에서 서구의 신자유주의와는 구별된다. 이것은 한국의 신자유주의자들이 자본축적의 구체적인 수단 차원에서는 박정희를 극복대상으로 설정하고 있지만, 자본축적의 기본 철학과 전략 차원에서는 박정희의 후계자임을 나타내 주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의 신자유주의자들은 박정희 신드롬의 피해자가 아니라, 오히려 이들이 바로 박정희 신드롬의 진정한 수혜자이며 나아가 그 창조자이다.
특히 영미식 신자유주의의 전도사인 재벌은 노동대중의 권리와 존재를 철저히 부정하고 있는, 심지어는 유럽대륙식 신자유주의·질서자유주의적인 개혁정책조차 거부하고 있는 박정희시대의 살아있는 화신이다. 재벌이 살아 있는 한 박정희 역시 영원히 살 것이다. 따라서 노동대중의 경영참여를 배제하는 재벌의 천민적 소유권 의식(후진성)과 규모의 확대를 유일한 대안으로 내세우는 재벌의 축적욕(독점성), 그리고 이것을 악순환적으로 재생산하는 정경유착(부도덕성) 등을 근절하는 것은 한시도 지체할 수 없는 절박한 과제이다.
다만, 재벌구조의 개혁이라는 것이 이른바 개혁적 신자유주의자들의 시혜로서 노동대중에게 주어지는 것은(이것은 쉽지는 않겠지만, 불가능한 일도 아니다) 큰 의미가 없다. 이 경우에도 노동대중은 주체가 아니라 여전히 대상으로만 존재할 것이며, 보다 확대되고 교묘해진 부르주아의 자유 아래 노동대중은 여전히 노예의 삶을 살도록 강요당할 것이다. 노동대중의 권리는 경제적·정치적 주체로서 자립한 노동대중의 실천에 의해 획득되어져야 한다. 이것이 신자유주의와 박정희 신드롬을 동시에 극복할 수 있는 길이다.
참고문헌
Suzanne de Brunhoff, Etat et Capital : Recherches sur la politique conomique, P.U.G-Maspero, 1976, 신현준 역, 『국가와 자본』, 새길, 1992
공병호, 『시장경제와 그 적들』, 자유기업센터, 한국경제연구원, 1997
김광모, 『한국의 산업발전과 중화학공업정책』, 지구문화사, 1988
김상조, 「5대 및 10대 재벌의 차입금과 생산성의 최근 동향」, 한국사회경제학회, 『사회경제평론』 7집, 1994
김상조, 「기아사태를 통해 본 금융과 재벌의 문제점 및 그 대안」, 노동조합기업경영연구소, 『민주노동과 대안』, 1997
김윤자, 「80년대 신자유주의적 축적」, 한국사회경제학회 한국자본주의분과 세미나 발표논문, 1996.2
박동철, 「한국에서의 '국가주도적' 자본주의 발전방식의 형성 과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박세일, 『법경제학』, 법문사, 1994
양우진, 「현대 한국자본주의 발전과정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4
에드워드 울프, 「파이가 어떻게 잘리는가? - 미국에서의 증대하는 부의 집중」, 한국노동이론정책연구소 편, 『현장에서 미래를』, 1997.5
정건화·김상조, 「신경제정책하 한국경제와 1996년판 경제위기론」, 한국사회과학연구소, 『동향과 전망』 통권 제32호, 한울, 1996년 겨울
조우현 엮음, 『세계의 노동자 경영참가』, 창작과비평사, 1995
황신준, 「발터 오이켄의 경제질서정책 - 자유주의 경제개혁 시대의 사상적 모색」, 서울사회경제연구소 월례발표논문, 1996.5
추천자료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박정희 개발과 독재 그 양면성을 찾아서
박정희 시대의 한국 경제 정책과 평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단양군 관광개발 활성화 방안및 기대효과
[유라시아경제협력체][TSR][TKR]유라시아 경제협력체 결성의 필요성, 유라시아 경제협력체의 ...
개발독재와 박정희 시대
개발이냐 보전이냐 (환경학자와 경제학자의 논쟁)
[1980년대][금융탈규제][경제상황]1980년대의 금융탈규제, 1980년대의 경제상황, 1980년대의 ...
동북아경제중심국가(동북아시아경제중심국가)를 위한 남북협력 전략, 동북아경제중심국가(동...
제3공화국(박정희정권, 박정희정부)의 근대화, 제3공화국(박정희정권, 박정희정부)의 민주화,...
박정희정부(박정희정권, 제3공화국) 리더십, 박정희정부(박정희정권, 제3공화국) 총력전체제,...
주요시사(일반뉴스,영화) 분석정리 - 오바마 건강보험개혁, 북촌방향, 뫼비우스, 면접, 전교...
[한국 근현대사] 1960-70년대 경제성장의 빛과 그림자 (박정희 정권).pptx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