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개관
2. 역사
1. 고대
2. 앵글로색슨 시대
3. 노르만족의 정복(1066~1154)
4. 100년 전쟁, 장미 전쟁
5.절대 왕정
6. 스튜어트 왕조와 영국의 내란(1603~1660)
7. 왕정 복고 시대
8. 18세기와 19세기
9. 1차 세계 대전
10. 2차 세계 대전
11. 2차 세계 대전 이후
2. 역사
1. 고대
2. 앵글로색슨 시대
3. 노르만족의 정복(1066~1154)
4. 100년 전쟁, 장미 전쟁
5.절대 왕정
6. 스튜어트 왕조와 영국의 내란(1603~1660)
7. 왕정 복고 시대
8. 18세기와 19세기
9. 1차 세계 대전
10. 2차 세계 대전
11. 2차 세계 대전 이후
본문내용
영국은 섬나라라는 이점을 상실하고 말았다.
전쟁이 시작되자 폴란드는 1개월 만에 완전히 유린되었고 프랑스는 마지노 선에 의존하는 상황이었다. 독일군은 네덜란드와 벨기에를 유린하면서 1940년 5월에 북부 국경 지대를 넘었다. 프랑스가 군사 조직의 붕괴로 휴전을 체결하게 되자 영국은 절박한 본토 침공에 직면하게 되었다. 노르웨이, 벨기에,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그리고 프랑스의 드골 장군과 지원국들의 망명 정부가 영국에 모였다. 영국의 과학자들은 군사력을 강화시키는 장비 즉 레이다 등을 발명하였다. 처칠 수상은 전쟁에 임하고 있는 전 국민의 사기를 앙양시키는 데 성공했다.
히틀러가 아프리카와 동부 유럽의 승리를 활용하지 않고 1941년 6월에 러시아를 공격하자 영국은 이 날부터 승리의 길을 걷게 되었다. 참전을 보류하고 있던 미국의 루즈벨트 대통령은 영국에 대해 막대한 물자를 원조하기 시작했고 참전하게 되었다.
1944년 6월 6일에 노르망디 상륙 작전으로 초기 서부 전선에서 패하여 퇴각한 연합군이 독일로 진격하기 위한 발판이 마련되었고, 영미 공군의 폭격으로 독일 중공업 시설이 파괴되고 서부 전선이 동부 전선의 러시아군과 연결된 후 1945년 5월 7일 독일은 항복하게 되었다.
11. 2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은 양차 세계 대전을 겪은 후 일부 특권 계급의 여유 있는 생활보다도 많은 국민들의 기본 생활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전후 선거에서 노동당은 처음으로 절대다수의 의석을 차지하여 애틀리가 처칠을 물리치고 수상이 되었으며, 노동당 정부는 잉글랜드 은행, 민간 항공, 탄광, 철도, 철강업 등을 국유화하며 복지 국가 정책을 취하였다. 이와 같은 시기에 영국은 제국 체제에서 철수하여 인도, 미얀마, 스리랑카 등이 독립했다.
1951년 총선거에서 처칠을 수상으로 하는 보수당이 다시 집권하게 되어 정부는 사회 보장 제도를 완화하고 국유화 정책을 보류하였다. 미국과의 관계에서 완전한 자주성을 회복하도록 노력했다. 영국 제품은 우수한 품질로써 세계 시장에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고, 1954년 영국의 자동차 수출은 세계 1위를 차지하였다. 또한 영국은 미국과 러시아가 독점하고 있던 원자탄과 유도탄을 생산하기에 이르렀다.
1956년 이집트 대통령 나세르가 수에즈 운하를 국유화하자 이든(Eden)이 이끈 보수당 정부는 운하의 재점령을 시도하였으나 비판의 소리가 높아 후퇴하고 말았다. 1950~1960년대 초에 영국은 경제적 팽창과 번영을 누렸다. 그러나 영국은 1957년 유럽 공동체 가입을 거부함으로써 서독이 주도한 유럽의 경제 성장에 동참하지 못했고 1960년대 중엽에 이르면서 영국의 발전이 시들어 갔다. 노동 조합의 불안과 북아일랜드에서의 폭동이 영국 경제를 더욱 악화시켰다.
1979년 대처의 보수당이 집권하였다. 대처는 세계적 호경기 시대에 인플레이션을 둔화시키고 경제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1982년 포클랜드에서 아르헨티나를 물리침으로써 인기가 절정에 올랐으나 주민세 부과로 국민의 반발을 사고 유럽 통합에 대한 비타협적인 자세로 반발을 초래해 1990년 존 메이저가 총리를 승계했다.
그러나 1997년 5월1일 영국 총선 결과 노동당은 419석을, 여당이던 보수당은 165석을 차지하였고 제3당인 자유 민주당은 46석을 차지하였다. 이것은 2차 세계 대전 이후 가장 큰 의석 차를 낸 선거로서 반복지 국가와 시장 만능주의 노선을 고수하던 대처리즘의 장기 집권에 대한 영국 국민의 염증을 반영한 것이다. 20세기 들어 노동당의 단독 집권은 20년이 채 안 되지만 토니 블래어 노동당 당수의 집권은 향후 유럽 정치에 새로운 변화를 예고한다.
전쟁이 시작되자 폴란드는 1개월 만에 완전히 유린되었고 프랑스는 마지노 선에 의존하는 상황이었다. 독일군은 네덜란드와 벨기에를 유린하면서 1940년 5월에 북부 국경 지대를 넘었다. 프랑스가 군사 조직의 붕괴로 휴전을 체결하게 되자 영국은 절박한 본토 침공에 직면하게 되었다. 노르웨이, 벨기에,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그리고 프랑스의 드골 장군과 지원국들의 망명 정부가 영국에 모였다. 영국의 과학자들은 군사력을 강화시키는 장비 즉 레이다 등을 발명하였다. 처칠 수상은 전쟁에 임하고 있는 전 국민의 사기를 앙양시키는 데 성공했다.
히틀러가 아프리카와 동부 유럽의 승리를 활용하지 않고 1941년 6월에 러시아를 공격하자 영국은 이 날부터 승리의 길을 걷게 되었다. 참전을 보류하고 있던 미국의 루즈벨트 대통령은 영국에 대해 막대한 물자를 원조하기 시작했고 참전하게 되었다.
1944년 6월 6일에 노르망디 상륙 작전으로 초기 서부 전선에서 패하여 퇴각한 연합군이 독일로 진격하기 위한 발판이 마련되었고, 영미 공군의 폭격으로 독일 중공업 시설이 파괴되고 서부 전선이 동부 전선의 러시아군과 연결된 후 1945년 5월 7일 독일은 항복하게 되었다.
11. 2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은 양차 세계 대전을 겪은 후 일부 특권 계급의 여유 있는 생활보다도 많은 국민들의 기본 생활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전후 선거에서 노동당은 처음으로 절대다수의 의석을 차지하여 애틀리가 처칠을 물리치고 수상이 되었으며, 노동당 정부는 잉글랜드 은행, 민간 항공, 탄광, 철도, 철강업 등을 국유화하며 복지 국가 정책을 취하였다. 이와 같은 시기에 영국은 제국 체제에서 철수하여 인도, 미얀마, 스리랑카 등이 독립했다.
1951년 총선거에서 처칠을 수상으로 하는 보수당이 다시 집권하게 되어 정부는 사회 보장 제도를 완화하고 국유화 정책을 보류하였다. 미국과의 관계에서 완전한 자주성을 회복하도록 노력했다. 영국 제품은 우수한 품질로써 세계 시장에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고, 1954년 영국의 자동차 수출은 세계 1위를 차지하였다. 또한 영국은 미국과 러시아가 독점하고 있던 원자탄과 유도탄을 생산하기에 이르렀다.
1956년 이집트 대통령 나세르가 수에즈 운하를 국유화하자 이든(Eden)이 이끈 보수당 정부는 운하의 재점령을 시도하였으나 비판의 소리가 높아 후퇴하고 말았다. 1950~1960년대 초에 영국은 경제적 팽창과 번영을 누렸다. 그러나 영국은 1957년 유럽 공동체 가입을 거부함으로써 서독이 주도한 유럽의 경제 성장에 동참하지 못했고 1960년대 중엽에 이르면서 영국의 발전이 시들어 갔다. 노동 조합의 불안과 북아일랜드에서의 폭동이 영국 경제를 더욱 악화시켰다.
1979년 대처의 보수당이 집권하였다. 대처는 세계적 호경기 시대에 인플레이션을 둔화시키고 경제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1982년 포클랜드에서 아르헨티나를 물리침으로써 인기가 절정에 올랐으나 주민세 부과로 국민의 반발을 사고 유럽 통합에 대한 비타협적인 자세로 반발을 초래해 1990년 존 메이저가 총리를 승계했다.
그러나 1997년 5월1일 영국 총선 결과 노동당은 419석을, 여당이던 보수당은 165석을 차지하였고 제3당인 자유 민주당은 46석을 차지하였다. 이것은 2차 세계 대전 이후 가장 큰 의석 차를 낸 선거로서 반복지 국가와 시장 만능주의 노선을 고수하던 대처리즘의 장기 집권에 대한 영국 국민의 염증을 반영한 것이다. 20세기 들어 노동당의 단독 집권은 20년이 채 안 되지만 토니 블래어 노동당 당수의 집권은 향후 유럽 정치에 새로운 변화를 예고한다.
추천자료
유추의 유령: 신역사주의와 19세기 영국소설
영국문학과 역사 중 신고전주의와 낭만주의
영국, 미국, 일본 자원봉사활동의 역사, 관리체계, 지원체계, 추진체계를 비교 분석
외국의 경찰의 역사 (영국, 미국, 독일, 프랑스, 중국, 일본)
우리나라와 외국(영국, 미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한국,미국,영국, 일본에 대한 사회복지 역사 자료
사회복지법의 역사적 형성과정 기술 – 영국과 독일
사회복지행정의 역사(영국, 미국, 일본, 한국 중 택1)에 대해 기술.
[국가민방위제도 國家民防衛制度] 민방위제도의 의의와 역사적 배경(우리나라 민방위역사), ...
사회복지조사의 역사(영국, 미국, 한국의 사회복지조사 발달과정)
[자원봉사의 역사] 미국 영국 일본 우리나라(한국)의 자원봉사 발전과정(발달과정)
영국의 사회복지 발달사(영국 사회복지의 역사 영국 사회복지제도 발달사 영국 사회보장제도...
역사학)1차세계대전- 각국의 영향( 영국 독일 미국 등)
사회복지정책의 역사(빈민법시대 영국의 국가부조법 사회보험시대 복지국가시대 복지국가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