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작품소개
2. 작가소개
3. 책을읽고
2. 작가소개
3. 책을읽고
본문내용
이소설은 내용면에서도 긴장감을 주어서 한번 책장을 넘기면서 마지막까지 읽게되었다. 그러나 내용적 재미도 재미이지만 나는 이소설을 위에서말한 사상과 연계하면서 현대 사회와 비교해보앗따. 잘동뱅이들이 떠돌아다니는 장들은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의 장을 말하는것이고 허생원의 젊은시절 추억은 그대로 사회를 살아가면서 우리가 행동하고 겪게되는 여러가짐 사회생활의 표본일 것이다. 물론 허생원의 이야기는 일상적인 이야기는아닐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구분 또한 그다지 큰 의미는 없으리라..
이효석은 아마도 요즘 세상에 태어낫다면 작가보다는 사회부조리에 항거하는 사회운동가가 되었을 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들었다. 단지 이작품하나만을 놓고 본다면 그는 인과의 법칙속에서 성실한 인생의 결말을 원하는 사람같다. 그러나 현사회는 그러한 단순한 논리로 살아가기에는 너무나 어지러운 세상이다. 이효석..그가 만약 현대 사회에 존재하는 이었다면 메밀꽃 필 무렵속에 나타난 작가의 사상을 그대로 간직할 수 있었을까?
또한 우리는왜 메밀꽃 필 무렵 속의 이야기처럼 단순한 진리가 통하지 못할 것 같은 사회속에서 살고있을까하는 질문들이 내머리속에 맴돌앗다.
결론
그러나 메밀과 필 무렵은 여름의 더위를 날려보낼 만큼이나 내게 무척 흥미가 가득한 이야기였다. 물론, 시와 같은 섬세하고 아름다운 표현들도 말이다. 나는 인연이라는 것을 별로 믿지 않지만 허생원과 동이와의 관계에 있어서 설정되는 많은 장치들이 이런 상황이라면 충분히 인연이 존재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또한 장돌뱅이의 삶 속에서 비추어지는 조선민중의 삶은 무척 흥미로웠다.
이효석은 아마도 요즘 세상에 태어낫다면 작가보다는 사회부조리에 항거하는 사회운동가가 되었을 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들었다. 단지 이작품하나만을 놓고 본다면 그는 인과의 법칙속에서 성실한 인생의 결말을 원하는 사람같다. 그러나 현사회는 그러한 단순한 논리로 살아가기에는 너무나 어지러운 세상이다. 이효석..그가 만약 현대 사회에 존재하는 이었다면 메밀꽃 필 무렵속에 나타난 작가의 사상을 그대로 간직할 수 있었을까?
또한 우리는왜 메밀꽃 필 무렵 속의 이야기처럼 단순한 진리가 통하지 못할 것 같은 사회속에서 살고있을까하는 질문들이 내머리속에 맴돌앗다.
결론
그러나 메밀과 필 무렵은 여름의 더위를 날려보낼 만큼이나 내게 무척 흥미가 가득한 이야기였다. 물론, 시와 같은 섬세하고 아름다운 표현들도 말이다. 나는 인연이라는 것을 별로 믿지 않지만 허생원과 동이와의 관계에 있어서 설정되는 많은 장치들이 이런 상황이라면 충분히 인연이 존재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또한 장돌뱅이의 삶 속에서 비추어지는 조선민중의 삶은 무척 흥미로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