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의 다짐 시험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실험의 개요
1) 다짐시험의 종류
2) 흙의 종류에 따른 다짐방법

2. 목 적

3. 기구 및 재료

4. 시험방법 및 순서(100mm의 몰드, 3층, 25회)

5. 유의 사항

6. 결과 계산 방법

7. 결과의 이용

8. 참고문헌

본문내용

+ 습윤 시료)를 잰다.
9] 몰드에서 다져진 시료를 추출하고 시료의 상-중-하에서 흙을 약 50g정도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 함수비를 구한다.
10] 사용한 시료를 곱게 부수어 다시 섞고 여기에 나머지 시료를 추가하여 위의 실험을 반복한다.(단 이때부터는 물을 200㎖씩 넣으며 반복한다.)
11] 무게가 가장 클 때가 최적 함수비이므로 이때를 전후로 3∼4회 정도로 총 6∼8회의 실험을 반복한다.
◎ 유의 사항
- 램머는 스톱파까지 정확히 들어올려 자유낙하 시킨다.
- 램머는 타격면이 균등하게 시료를 다져야 한다.
- 미리 포화곡선을 구하여 두면, 함수비 - 건조밀도 곡선을 그리기 쉽다.
- 점성토에서 함수비가 높은 경우 램머가 흙에 박히므로 최종층에는 램머 저부가 몰드 속까지 이르지 않게 한다.
◎ 결과 계산 방법
1] 다짐곡선 그리는 방법
세로축은 건조단위중량 d , 가로축은 함수비 w 로 잡고 각 함수비에 대한 건조단위중량을 표시하면 다짐곡선이 얻어진다. 이 곡선으로부터 최대 건조단위중량 dmax 과 최적함수비 wopt를 구한다.
2] 습윤단위단위중량 t :
{ }_{t }= { { w}_{2 }- { w}_{ 1} } over {V } [g/㎤]
W1 : (몰드 + 저판)의 무게 [g]
W2 : (몰드 + 저판 + 습윤시료)의 무게 [g]
V : 몰드의 체적 [㎤]
3]건조단위중량 d :
{ }_{d }= { { }_{t } } over {1+w/100 } = { {W }_{2 }- { W}_{1 } } over {V(1+w/100) } [g/㎤]
4] 영공기 간극곡선
건조단위중량을 구하는 다음의 식에서 S=1.0으로 두고 함수비와 건조단위 중량과의 관계곡선을 구하면 이것이 영공기간극곡선(또는 포화곡선)이 된다. 그밖에 90% 포화곡선 또는 80% 포화곡선을 얻기 위해서는 S=90 도는 S=80을 대입한다.
{ }_{d } = { { G}_{s } CDOT { }_{w } } over {1+w CDOT { G}_{s }/S }= { { }_{ w} } over {1/ { G}_{s }+w/S }
Gs : 흙입자의 비중
w : 물의 단위중량 [g/㎤]
S : 포화도 [%]
. 다짐 곡선의 예시
5] 다짐일량
(1) 실내다짐 에너지
1) Proctor의 일다짐량
2) EC = 다짐일량 =
WR=Rammer무게, H=낙하고, NB=다짐횟수, NL=층수, V=몰드체적
3) 실내다짐방법별 다짐일량
① 제1방법(Standard) : Ec = 5.6cm.kg/㎤
② 제2방법(Modified) : Ec = 25.6cm.kg/㎤
(2) 현장다짐시 다짐일량
1) 다짐일량(Ec) =
2) Draw-Bar-Pull : 사질토 중량의 25%, 점토중량의 40%
3) 단위깊이(ft)
6] 현장밀도 시험에서 조립자 함유 보정방법
(1) 다짐도를 밀도로 규정시에는 다짐도C는 현장에서 측정한γdf, 다짐시험의 최대 건조밀도를 γdmax로 할 때 다짐도 C는
다짐시료응 37.5mm 또는 19mm, #4체 통과분을 시료로 하므로. 이보다 큰 입경이 다량 함유된 경우 γdmax를 자갈함유량에 따라 수정해야 한다.
(2) 조립자 보정방법
1) AASHTO T-224 GRAPH 이용방법
2) WALKER HOLTZ 또는 HUMPURESS법 이용
① 다짐시험에서 A,B,D에서는 19mm, B, E방법은 37.5mm를 통과 하는 흙으로서γdmax을 구함
② 현장밀도에서 체취한 시료를 37.5mm, 19mm체로 쳐서 넣은
무게를 구하여 전체 무게에 대한 잔유율을 구함(P)
③ 남은자갈의 비중을 구함(Gb)
④ 자갈혼입율P에 대한 γdmax를 수정하여 γmax P의 계산
⑤ 자갈 혼입율 P가 30∼40%보다 크면 적용 곤란

◎ 결과의 이용
1] 다짐시공에의 이용
다짐실험은 현장에서의 전압기계가 흙을 다지는 상황을 실험실내에서 재현시키는 것이라 생각하기 쉬우나 여러 경우 다짐시험으로부터 얻어지는 다짐곡선과 현장에서 그 흙이 전압기계에 의하여 전압된 경우의 다짐곡선과는 형태도 값도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실내다짐시험의 이용으로서는
① 각종 흙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다지기 어려운 흙인가 아닌가를 상호 비교한다. ( dmax의 값 및 다짐곡선의 형상에서)
② 현장의 다짐상태를 나타내는 하나의 지표로서 사용한다.
위의 ①,②두 가지가 주된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①은 다짐시험 결과를 이용한 흙의 분류, 판별의 한 수법이라 말할 수 있고, 곡선의 형상에서 경험적으로 현장의 시공상의 문제점도 관련시킬 수가 있다.
②는 도로나 철도 등의 성토, 노반, Fill Dam 등의 다짐 시공에 있어서, 그 다짐 도는 다짐시험의 최대건조밀도 dmax 에 대한 다짐 후의 건조밀도 df와의 비 즉 ( df / dmax ) × 100 = Cd [%]로 지정할 때에 사용된다.
2] 상대밀도
흙의 다짐정도를 나타내는 량으로 상대밀도 Dr [%]가 있으며 다음 식으로 정의된다.
{ D}_{r }= { { e}_{ max}-e } over { { e}_{ max}- { e}_{ min} } TIMES 100= { 1/ { }_{dmin }-1/ { }_{d } } over {1/ { }_{dmin }- { }_{dmax } } TIMES 100[%]
dmax, emin은 그 흙의 다짐이 가장 양호한 상태의 건조밀도, 간극비이며, d, e는 Dr을 구하고자 하는 다짐상태의 건조밀도, 간극비이다.
상대밀도는 일반적으로 점성이 작은 사질토에 이용되며 다짐정도와의 관련은 다음과 같다.
Dr = 0. ∼ 0.33 느슨한 상태
Dr = 0.33 ∼ 0.70 보통상태
Dr = 0.7 ∼ 1.00 조밀한 상태
◎ 참고문헌
BRAJA M.DAS 토질공학원론 구미서관 1999
토질 및 기초 시험연구 이 정일 일진사 1997
기본 토질 시험 이상덕 새 론 1998
건설재료실험 박승범 1999
개정 토질역학 이종규 지문당 1997
http://urbaneng.gsnu.ac.kr/Himan/dadgim.htm 개인홈페이지
http://www.kcqmc.co.kr/eco/funeral_06.html 한국건설품질관리공단
  • 가격7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3.11.03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04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