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은기초에 대해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깊은기초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말뚝의 마찰 저항
1.말뚝의 지지성분
2.마찰 저항 크기
3.마찰력 발휘변위와 시공방법에 따른 지지력

2) 주동 말뚝과 수동 말뚝
1.정의
2.예
3.검토 방법

3)말뚝의 시간효과(time effect)

4)파동 방정식 (55-969)

5)말뚝의 침하량 산정 방법
1.서언
2.단말뚝의 침하량 산정 방법
3.군말뚝의 침하량

6)점토층에 타입된 말뚝의 단위주면 마찰저항을 구하는 방법
1.방법
2.정역학적 지지력
3.현장 시험결과이용
4.인발 재하 시험

7) 말뚝기초

본문내용

Cone 관입시험시 주면마찰저항치
3)공내재하시험
한계압에 따라 주면마찰력 구함.
4.인발 재하 시험
1)총하중에 대해 각 단계하중을 25%로 하여 재하
2)인발저항력 산정
7) 말뚝기초
가. 말뚝기초의 종류와 장단점
나.정역학적 지지력 공식과 이용 방법
다. 동역학적 지지력 공식과 이용 방법
라.재하시험 방법과 이용 방법
1.항타 방법의 종류와 장단점
구분
장 점
단 점
타입
말뚝
①기성제품이므로 말뚝본체의 품질 양호
②시공속도가 빠르고 시공관리가 용이
③소규모 공사에도 부담이 크지 않다.
④수위에 관계없이 시공이 가능하다
.(선박에서도 시공이 가능)
⑤항타공식에 의한 타격관리가 가능하다.
①소음,진동이 생기므로 건설공해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
②긴말뚝의 경우 이음이 필요(15m 이상)
③콘크리트 말뚝의 경우 직경이 커지면 중량이 커지게 되고 운반, 취급이 불편하다. 따라서 큰 직경 말뚝은 좋지 않다.
④소정의 길이로 타입중지가 되지 않을 경우 깊이 조정이 필요하게 된다.
⑤공장에서 현장까지 운반할 필요가 있고 운반 도중에 말뚝이 손상될 수가 있다.
매입
말뚝
①진동, 소음이 적다.
②기성제품이므로 말뚝 본체의 품질이 좋다.
③대구경의 말뚝도 시공이 가능하다.
④타입하는 일이 적으므로 인접 구조물에 영향이 적다.
①시공관리가 타입방식에 비해서 어렵다
②배토처리가 필요
③콘크리트말뚝의 경우 큰 지경의 말뚝이 되면 시공장비가 대형화되고 능률이 나빠진다.
④지반을 교란하므로 지지력이 작다.
⑤타입말뚝에 비하여 공사비가 고가이다.
현장
타설
말뚝
①진동, 소음이 적다.
②대구경의 말뚝도 시공이 가능하다
③이음이 없고 긴 말뚝 하나로서완성
④길이 조정이 비교적 적음.
⑤굴착토사에 의한 중간층 및 지지층의 토질을 확인할 수가 있다.
⑥타입하는 일이 없으므로 인접구조물에 대해 영향이 적다.
①시공관리가 타입공법에 비해 어렵다.
②배토 처리가 필요.
③작은 직경의 말뚝 시공이 불가능하다.
④지반을 교란하므로 지지력이 작다.
⑤말뚝본체의 신뢰성은 기성제품말뚝에 비해 적다.
⑥slim 처리, 굴착중 공벽 붕괴 우려.
2.정역학적 지지력 공식과 이용방법
1)지지력 공식:말뚝 주면과 선단의지지력의 합
Qu=Qp+Qs=qp*Ap+ fs*As
여기서, Qu:외말뚝의 축방향 극한 지지력 Qp:말뚝 선단 극한 지지력
Qs:말뚝 주면극한 지지력= qp:q\'Nq+cNc 단위면적당 선단지지력(t/㎡)
Ap:말뚝 선단 지지면적 fs=ca+Ks v\'tam 단위면적당 주면마찰력(t/㎡)
As:말뚝 주면적 q\':말뚝 선단깊이의유효 상재압
Nq,Nc:깊은 기초의 지지력 계수( 의 함수) C;말뚝 지지층의 점착력
Ca:말뚝과 주변 흙사이의 부착력 Ks:말뚝면에 작용하는 법선토압계수
v\':말뚝 주변 지층의 평균 유효 상재압 :말뚝과 주변 흙사이의 마찰각
2)문제점
①지반의 전단저항각, 점착력을 조사하여야 하며 사질토의 자연시료 채취가 곤란하고 선단지지력 계산을 위한선단부의 견고한 층 시료 채취가 어려워 실용성이 문제됨.
②시공방법, 토질 성층상태, 시간경과 효과에 따라 지지력이 변화되므로 신뢰성이 떨어짐.
3)이용 방법
①말뚝의 예비적 지지력 추정
②말뚝길이를 정하는 경우
③재하시험이 실시되지 못하는 경우 항타공식과 비교 검토할때
④파동방정식 WEAP program 사용시 선단과 주면 마찰력비 판단할 때
3.동역학적 지지력 공식과 이용 방법
1)지지력 공식
동적 지지력에 대해서는 다음식의 박기 종료 관리식을 사용하여 산출하는 것으로 하며, 이 식에 의한 지지력은 정적 지지력과는 기본적으로 다른 점이 있으므로 시공관리용 목적으로만 사용하여야 한다.
Ru=eWrH/(S+C/2)*(Wr+
Wp)/(Wr+Wp)
여기서, Ru:동적 극한 지지력(ton) e:해머의 효율
Wr:해머 중량(ton) H:해머 낙하고 (cm)
S:관입량(cm) C:리반운드량(cm)
n:반발 계수 Wp:말뚝 중량(ton)
단, S,C는 말뚝 박기 종료의 최종 10회 평균치를 적용함.
2)이용 방법
①모래, 자갈층에서 시공된 말뚝의 시공관리에 사용될수 있으며 마찰말뚝에는 적용성이 없음.
②항타공식은 종류수도 많고 각 장비의 노후도, 효율 등을 반영할수없으므로 편차가 크게 생길수 있고 비교 예에 의하면 정재하 시험대비 50-200%인 경우도 있음.
③동력학적 지지력 공식은 동재하 시험에 의해 효율, 반발계수를 보정하고 정재하시험과 비교하여 상관성을 파악하고 사용해야 하며 이 경우 신뢰성이 크게됨.
④현장에서 관리시험 개념으로 말뚝의 지지력을 확인하는데 사용함.
4.재하시험방법과 이용방법
1)재하 시험 방법
①설계하중의 2-2.5배 까지 재하하며 단계별 하중은 25%크기로 하여 각 단계의 하중에서 침하율이 0.25mm/시간 미만이거나 최대2시간 까지 재하한다.
②순침하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지반과말뚝의 탄성침하량을 배제해야 하며 시험은 각 단계하중에서 재하가 끝나면 하중을 0까지 제하한후 10-20분 동안 방치하고 침하량을 측정한다.
2)극한 지지력판정
①하중 침하곡선에서 세로측과 평행하게 될 때의 하중(a)
②Hansen의 90%개념(b)
③침하량이 말뚝경의 10%일때
④Davisson 방법:말뚝의 탄성 침하량+X(=3.81+D/120, mm)에 해당하는 하중(c)
3)항복 지지력 판정
①S-log t 방법:각 하중단계의 관계선이 직선이 되지 않을때의하중(a)
②ds/d(logt)-P 방법:일정시간(10분이상)당의 침하속도와 하중관계선에서 급하게 변화되는 점의 하중(b)
③log P- log S 방법:log P- log S곡선에서 연결선이 꺽이는 점의 하중
4)이용 방법
①극한 지지력과 항복지지력으로부터 단말뚝의 허용 지지력을 구하고 말뚝 자체 응력과 비교하여 말뚝 지지력을 결정함.
②동재하 시험, 동역학적 지지력에 대한 기준값과 보정하기 위한 자료를 획득할수 있음.
③가장 확실한 방법으로 평가되며 사질토의 경우 군말뚝 침하량 산정시 침하 기록을 이용할수 있음.
④점성토 마찰말뚝은 군항효과가 필요한 경우 군말뚝 효율을 고려해야 하고 선단지지말뚝의 재하 시험할 때 부마찰력을 배제토록 시험해야 하며 부마찰력은 재하 시험결과에 고려해야 함.

키워드

  • 가격9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3.11.03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05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