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Introduction
2.Material
3.Methods
4.Result
5.Discussion
6.Reference
2.Material
3.Methods
4.Result
5.Discussion
6.Reference
본문내용
억제자의 형태가 변형되면 오퍼레이터에 결합할 수 없고, 오퍼레이터 스위치는 켜지게 된다. 그러면 RNA중합효소가 프로모터에 결합하게 되고, 오페론 내의 유전자를 전사하여 mRNA를 합성한다. mRNA는 락토오즈 이용에 필요한 효소 세 가지를 모두 가지고 있으며, 세 가지 효소 모두를 합성하게 한다. 우리 실험에서는 락토오스 대신에 IPTG를 이용하여 락토오스와 같은 효과를 얻어냈다.
(4)유도성 오페론과 억제성 오페론의 차이
유 도 성 오 페 론(lac operon)
억 제 성 오 페 론(trp operon)
억제물질만으로도 작동부위에 결합
→ 오페론 폐쇄
억제물질만으로는 작동 부위에 결합 불가
→ 오페론 전사
유도자가 억제물질에 결합
→ 억제물질의 작동부위에 대한 결합 불가
→ 오페론 작동
공동억제 물질이 억제물질에 결합
→ 억제불질 복합체 형성
→ 활성된 억제물질 복합체가 작동부위에 결합
→ 오페론 폐쇄
6.Reference
핸드아웃, 유전자 발현, 생물 실험
http://user.chollian.net/~kidk/univ/gbio/bio14.htm
http://dragon.seowon.ac.kr/~bioedu/bio/ch14.htm
(4)유도성 오페론과 억제성 오페론의 차이
유 도 성 오 페 론(lac operon)
억 제 성 오 페 론(trp operon)
억제물질만으로도 작동부위에 결합
→ 오페론 폐쇄
억제물질만으로는 작동 부위에 결합 불가
→ 오페론 전사
유도자가 억제물질에 결합
→ 억제물질의 작동부위에 대한 결합 불가
→ 오페론 작동
공동억제 물질이 억제물질에 결합
→ 억제불질 복합체 형성
→ 활성된 억제물질 복합체가 작동부위에 결합
→ 오페론 폐쇄
6.Reference
핸드아웃, 유전자 발현, 생물 실험
http://user.chollian.net/~kidk/univ/gbio/bio14.htm
http://dragon.seowon.ac.kr/~bioedu/bio/ch14.ht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