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염색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전통염색

2.각 색상별 염료와 염색법
①황색계 - 황련뿌리, 울금뿌리, 황백나무, 치자
②적색계 - 잇꽃(홍화), 소나무껍질, 단목(丹木), 꼭두서니
③청색계 - 쪽, 쥐똥 나무
④초록색 - 회나무 꽃과 쪽
⑤녹두빛 - 왜황련, 황백나무
⑥보라빛 - 지치(자초)
⑦갈색계 - 감, 밤, 수수
⑧베이지색(타색) - 뽕나무
⑨검정, 회색 - 먹, 오리나무, 아선약

3.백색(白色)

4.`푸르다`

5.염색의 역사
1)고대의 염색
2)중세의 염색
3)근세의 염색

6.오방색
1)음양오행사상
2)오방색

7.음식에 나타난 색

본문내용

(大紅)색을 사용하였음으로 일반에게 사용을 금하였다. 또한 홍색을 내는 염료인 지치·홍화·소목을 구하는 것이 어려워 금하였다.
회(灰)·백(白)·옥(玉)색 : 우리 나라는 동쪽에 있어 색은 청(靑)이 옳은데 백색이 오행상극에 해당하는 색이므로 금하였고 나머지는 백색과 유사하여 금하였다.
②염색
『계림지』 치(緇:흑색)·현·소·강·비·훈·진(縉:천강색)·표( :옥색)·참( :천청색) 등을 기본으로 하였는데 점차 염색이 발달하면서 중간색이 늘어 연두·초록·다황·진황·일남·양남·반물·옥·청·진홍·송화·백·양초록·양옥·진분홍·자적·취월장·회보라·남·분홍·자·아청·회·유록·두록·황·담황·압두록색 등 다채로운 색깔이 있었다 한다.
『규합총서』 진홍·자적·남·옥·초록·두록·팥·유청·목홍·반물·회·타(駝:낙타)색 등을 물들이는 법 등이 실려 있다.
천강's 천(淺), 담황's 담(淡) : 흐리다. 옅다
다황's 다(多), 진홍's 진(眞) : 진하다. 짙다
유록's 유(柳) : 버드나무
두록's 두(豆) : 완두콩
《오방색》
<음양오행사상>
동양사상의 기저를 이루는 것은 음양오행사상(陰陽五行思想)인데 우주를 형성하는 원리이자 질서의 원리로 인식되었으며, 한국인의 모든 것에 영향을 주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는 무(巫)와 풍수(風水) 등의 논리적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음양(陰陽)이라는 것은 생성원리의 근본이며 존재질서의 상징관념이다. 음양(陰陽)은 두 가지 원초적 세력이 우주를 지배하는데 이들은 보완적 대립관계가 있어 더불어 작용한다. 즉, 음(陰)은 어둡고, 양(陽)은 밝고 전자는 수동적이고, 후자는 능동적인 속성을 보유하여 생물과 무생물의 모든 구조를 형성하는 근본이다. 또한 음속에 양이 있고 양속에 음이 있어 보완적 이원성으로 구분하여 하늘과 땅, 인간을 연결시킨다. 이와같이 음양(陰陽)이 우주가 진행되는 큰 원리라 한다면 오행(五行)은 음양이 표현되는 방법이자 진행하는 발걸음이라 말할 수 있다.
<오방색>
이익(李瀷)의 「성호사설」에서는 「고공기」의 오행에 따른 색상과 중간색의 생성을 해석하고 있는데, 곧 오행에는 오색이 따르고 방위와 계절(季節)이 따른다. 그것은 색과 방위와 계절을 오행에 맞추어 생각하기 때문이다. 중앙과 사방을 기본으로 삼아서 오방이 설정되고 거기에서 8방(八方)과 16방(十六方)이 생성한다고 보고 있다. 색상 또한 방위에 따라 오색을 배정하고 오행의 상관 관계로 하여 중간색이 나오며 중간색에서 무한한 색조가 생성하는 것이라 보았다.
그림 오방정색과 오방간색의 생성원리
오 행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
계 절
봄(春)
여름(夏)
토용(土用)
가을(秋)
겨울(冬)
방 위


중앙


색 상
청(靑)
적(赤)
황(黃)
백(白)
흑(黑)
사 신
청룡
주작
백호
현무
오 륜





신 체
비장


신장
심장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
상생도 : 목 화 토 금 수
상극도 : 목 토 수 화 금
그림 오방낭자(五方囊子)
1880년대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오방색이 사용된 조선시대의 주머니이다. 한국인들은 음양오행의 원리를 지켜야 액을 면하고 복을 받는다고 믿어왔는데, 음양오행의 오방색을 충실히 따른 이 주머니에도 그런 뜻이 담겨 있다.
《음식에 나타난 색》
①흰쌀밥과 백설기 : 아기와 관련, 건강에 대한 기원
②팥죽 : 액막이
③탕평채 : 논쟁을 중지하고 정치인들이 화합하여 국리민복을 꾀하고 정치발전을 도모하자는 탕평사상을 음식에 구현시킨 것. 봄이 되면 살코기, 파란 미나리, 검은 김, 노란 녹두묵 등 사색을 상징하는 4가지 색깔의 음식을 비벼먹음으로써 화합 정신을 살리고자 노력함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3.11.04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06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