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화란 무엇인가
<신화의 특징>
2) 신화의 세계상과 유형
<신화의 세계상>
<신화의 유형>
3) 신화해석의 유형 : 신화해석사
<신화의 우의적 해석>
<신화의 합리-역사적 해석>
<신화의 심리학적 해석>
<신화의 선험적 해석>
<신화의 구조주의적 해석>
<신화의 특징>
2) 신화의 세계상과 유형
<신화의 세계상>
<신화의 유형>
3) 신화해석의 유형 : 신화해석사
<신화의 우의적 해석>
<신화의 합리-역사적 해석>
<신화의 심리학적 해석>
<신화의 선험적 해석>
<신화의 구조주의적 해석>
본문내용
정신분석학적 이론은 후일 그 방향을 달리하지만, 칼 구스타프 융(C.G. Jung)에게 전수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신화의 선험적 해석>
독일의 철학자들인 헤겔(Hegel), 쉘링(Schelling), 카시러(E. Cassirer)로 이어지는 신화해석 방법이다. 헤겔의 의하면 신화는 절대정신의 자기발전 속에, 그가 말하는 변증법의 <정-반-합>의 원리에 따라, 존재하는 하나의 필수적 단계다. 달리 말하면 신화란 아직 체험하지 않은 것을 정신이 선험적으로 이해하려는의식의 형식이란 것이다.
<신화의 구조주의적 해석>
신화의 구조주의적 해석은 프랑스의 철학자 레비스트로스(C. Lvi-Strauss)의 <오이디푸스의 신화>에서 출발한다. 그는 이 신화의 줄거리를 단문으로 축소표현하였다 : <카드모스(Kadmos)가 누이동생 유로파(Europa)를 찾는다>, <오이디푸스가 어머니 이오카스테(Jokaste)와 결혼한다>, <안티고네가 오빠 폴리네이케스(Polyneikes)를 매장한다>는 식이다. 이러한 단문들을 다시 일련번호로 배열하는데, 이 때 내용적으로 공통적 사항이 있는 단문들은 동일번호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오이디프스가 부친 라이오스(Laios)를 살해했다>와 <에테오클레스(Eteokles)가 형 폴리네이케스를 살해했다>라는 단문은 <근친살해>항목으로 묶어진다. 이러한 동일번호의 단문들을 레비스트로스는 <신화소 ytheme>라 칭하고 이것들이 바로 신화의 초석이며, 기본 구조를 설명해 준다고 하였다. 하나의 신화 속에서 서로 상반된 요소들이 대립되면서 일종의 변증법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r
<신화의 선험적 해석>
독일의 철학자들인 헤겔(Hegel), 쉘링(Schelling), 카시러(E. Cassirer)로 이어지는 신화해석 방법이다. 헤겔의 의하면 신화는 절대정신의 자기발전 속에, 그가 말하는 변증법의 <정-반-합>의 원리에 따라, 존재하는 하나의 필수적 단계다. 달리 말하면 신화란 아직 체험하지 않은 것을 정신이 선험적으로 이해하려는의식의 형식이란 것이다.
<신화의 구조주의적 해석>
신화의 구조주의적 해석은 프랑스의 철학자 레비스트로스(C. Lvi-Strauss)의 <오이디푸스의 신화>에서 출발한다. 그는 이 신화의 줄거리를 단문으로 축소표현하였다 : <카드모스(Kadmos)가 누이동생 유로파(Europa)를 찾는다>, <오이디푸스가 어머니 이오카스테(Jokaste)와 결혼한다>, <안티고네가 오빠 폴리네이케스(Polyneikes)를 매장한다>는 식이다. 이러한 단문들을 다시 일련번호로 배열하는데, 이 때 내용적으로 공통적 사항이 있는 단문들은 동일번호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오이디프스가 부친 라이오스(Laios)를 살해했다>와 <에테오클레스(Eteokles)가 형 폴리네이케스를 살해했다>라는 단문은 <근친살해>항목으로 묶어진다. 이러한 동일번호의 단문들을 레비스트로스는 <신화소 ytheme>라 칭하고 이것들이 바로 신화의 초석이며, 기본 구조를 설명해 준다고 하였다. 하나의 신화 속에서 서로 상반된 요소들이 대립되면서 일종의 변증법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