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한류란 무엇인가
2.한류열풍의 허와 실
3.한류의 나아갈 길- 아시아문화블록의 형성
*결론
*본론
1.한류란 무엇인가
2.한류열풍의 허와 실
3.한류의 나아갈 길- 아시아문화블록의 형성
*결론
본문내용
고 아시아 문화블록 형성은 더욱 어려워지는 것이다. 자국문화에 대한 긍지와 자신감은 필요하지만 다른 문화와의 조화와 무엇보다 현재의 상황을 냉정하게 바라보고 미래를 내다볼 수 있는 안목이 더욱 필요할 때이다.
그렇기에 문화의 교류에 있어서 '절충'이 필요할 때이다. 일방적으로 이끌 것인가, 따라갈 것인가에서 우위와 열위의 입장이 나뉘어지고 이것은 문화블록형성을 저해한다. 서로의 의견을 공유하며 공동으로 문화활동이나 계획을 마련하고 교류하는 것은 우위. 열위의 입장을 벗어나 각 국의 문화를 절충해 교류해 나감으로 아시아적 문화블록 형성하는 밑바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서도 한류는 그 중심적 입장에서 각 문화를 절충하여 하나로 응집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한·중 청소년 음악제 등의 공동 이벤트 개최', '문화 컨텐츠 분야 현지 인력 육성 프로그램 실시' 등을 통해 장기적인 문화 교류·협력을 강화해 나가는 것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결론
한류의 내용을 현재처럼 트랜디한 대중문화의 일부분만으로 유지하고 그에 안주하여 발전시키지 않는다면 더 이상의 한류 열풍은 없을 것이며 오히려 급변하는 시대조류에 휩쓸려 그 흔적조차 사라질지도 모른다. 지금 우리에게는 현재 부는 한류의 열풍을 좀 더 냉정한 시각으로 바라보는 안목이 필요하며 독자적이면서도 다른 문화가 쉽게 공유할 수 있는 문화로 발전시켜야 할 과제가 주어졌다.
한류를 하나의 특수로만 여기고 경제적인 효과만을 창출하려고 하는 것은 소탐대실의 결과을 가져올 것이 자명하다.
이에 우리는 한순간의 트랜디로 끝날 대중문화 뿐 아니라 다른 각 분야에서의 한류도 개발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또한 아시아문화교류의 가교적 위치에 있는 한류의 위치를 인식하고 각 국의 문화를 수렴, 절충해 아시아문화정체성을 확립하고 문화 블록을 형성하는 중심적 역할을 함으로 한류를 이어나가고 아시아문화발전에 이바지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문화관광부 홈페이지 http://www.mct.go.kr
-주간한국 2003년 1월 5주
-한국일보 2001년 10월 13일자
http://www2.hankooki.com/university/2002/200110/un20011013190459u0070.htm
-한겨례 여론 칼럼 발언대
http://www.hani.co.kr/section-001055000/2001/09/001055000200109262346001.html
그렇기에 문화의 교류에 있어서 '절충'이 필요할 때이다. 일방적으로 이끌 것인가, 따라갈 것인가에서 우위와 열위의 입장이 나뉘어지고 이것은 문화블록형성을 저해한다. 서로의 의견을 공유하며 공동으로 문화활동이나 계획을 마련하고 교류하는 것은 우위. 열위의 입장을 벗어나 각 국의 문화를 절충해 교류해 나감으로 아시아적 문화블록 형성하는 밑바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서도 한류는 그 중심적 입장에서 각 문화를 절충하여 하나로 응집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한·중 청소년 음악제 등의 공동 이벤트 개최', '문화 컨텐츠 분야 현지 인력 육성 프로그램 실시' 등을 통해 장기적인 문화 교류·협력을 강화해 나가는 것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결론
한류의 내용을 현재처럼 트랜디한 대중문화의 일부분만으로 유지하고 그에 안주하여 발전시키지 않는다면 더 이상의 한류 열풍은 없을 것이며 오히려 급변하는 시대조류에 휩쓸려 그 흔적조차 사라질지도 모른다. 지금 우리에게는 현재 부는 한류의 열풍을 좀 더 냉정한 시각으로 바라보는 안목이 필요하며 독자적이면서도 다른 문화가 쉽게 공유할 수 있는 문화로 발전시켜야 할 과제가 주어졌다.
한류를 하나의 특수로만 여기고 경제적인 효과만을 창출하려고 하는 것은 소탐대실의 결과을 가져올 것이 자명하다.
이에 우리는 한순간의 트랜디로 끝날 대중문화 뿐 아니라 다른 각 분야에서의 한류도 개발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또한 아시아문화교류의 가교적 위치에 있는 한류의 위치를 인식하고 각 국의 문화를 수렴, 절충해 아시아문화정체성을 확립하고 문화 블록을 형성하는 중심적 역할을 함으로 한류를 이어나가고 아시아문화발전에 이바지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문화관광부 홈페이지 http://www.mct.go.kr
-주간한국 2003년 1월 5주
-한국일보 2001년 10월 13일자
http://www2.hankooki.com/university/2002/200110/un20011013190459u0070.htm
-한겨례 여론 칼럼 발언대
http://www.hani.co.kr/section-001055000/2001/09/001055000200109262346001.html
추천자료
한류의 의미와 한류열풍의 지속적인 방향
한류열풍의 허와 실과 한류의 지속적 활성화를 위한 과제
한류(寒流) 없는 한류(韓流)를 꿈꾸며
[한류문화현상]베트남에서의 한류 형성 배경과 원인 그리고 한류형상 조사
[한류문화]한류의 진정한 의미와 그 영향, 한류열풍의 바람직한 발전방안
<한류드라마와영화비평>아시아에서의 한류와 대중문화
한류가 미치는 영향과 한류의 문제점
한류의 정의와 영향력 조사 및 소녀시대를 통한 한류문화 발전과 문제점 해결방안 조사분석
한류 산업의 정의, 특징, 유래, 파급 효과, 음악, 중요성, 국내외 시장현황, 성공사례, 각국...
한류 산업 정의, 특징, 유래, 파급 효과, 음악, 중요성, 국내외 시장현황, 성공사례, 각국의 ...
[한류현상이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분석] 한류 콘텐츠 산업 현황, 한류의 파급효과, ...
(경제적 관점에서 본 한류) 한류寒流의 개념, 한류의 현황, 한류 원인, 한류 효과, 한류 수출...
소녀시대 삼촌 팬,한류마케팅,엔터테이먼트사업,한류 사회문화,한류 소녀시대,한류 사회이슈
한류의 정의,배경,효과분석및 한류 성공사례와 문제점,부작용연구및 한류 지속위한 미래방향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