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배경이론
3. 실험기구
4. 실험방법
5. 실험결과
6. 검토 및 토의
7. 참고문헌
2. 배경이론
3. 실험기구
4. 실험방법
5. 실험결과
6. 검토 및 토의
7. 참고문헌
본문내용
m)
(h1-h2)1/2(m)
C
C의
평균값
1
410
3.12
243
225
0.1314
0.018
0.134
1.02
0.9892
2
630
3.10
246
200
0.203
0.046
0.214
0.986
3
1080
3.07
255
127
0.352
0.128
0.358
1.02
4
950
2.10
260
76
0.452
0.184
0.429
1.09
5
440
1.80
252
162
0.24
0.090
0.3
0.83
5개의 유량에 따른 유량계수 및 수두차
Measurements of pressure distribution along ventury meter
Piezometer Tube No.
Q=5.5*10 (㎥/s)
V2 /2g=0.376m
Q=5.2*10 (㎥/s)
V2 /2g=0.354m
hn
(mm)
hn-h1
(m)
(hn-h1)/
v22/2g
hn
(mm)
hn-h1
(m)
(hn-h1)/
v22/2g
A(1)
245
0
0
254
0
0
B
238
-0.007
-0.019
238
-0.016
-0.045
C
192
-0.053
-0.141
43
-0.211
-0.593
D(2)
138
-0.017
-0.285
35
-0.220
-0.618
E
143
-0.012
-0.276
53
-0.201
-0.565
F
178
-0.067
-0.178
125
-0.129
-0.364
G
198
-0.047
-0.125
163
-0.091
-0.257
H
210
-0.035
-0.093
186
-0.068
-0.192
J
217
-0.028
-0.074
201
-0.053
-0.150
K
223
-0.022
-0.0585
211
-0.043
-0.121
L
226
-0.019
-0.051
218
-0.036
-0.102
[6] 검토 및 토의
이 실험에서는 관내에 유량의 흐름을 조절하면 유량계수 C값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보는 실험이다. 여러번의 실험을 한뒤에 유량계수 C값의 오차가 큰 결과를 버리고 나머지 5개의 결과를 그래프와 표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유량계수 C는 0.83~1.02의 범위에 있고 5번의 실험을 통한 평균값이 0.9892라는 결과가 나왔다. 또, 유량Q와 수두차(h1-h2)의 관계는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직선에 가깝다고 볼수 있다. 이것은 수두차가 커지면 유량Q는 일정하게 증가한다. 그리고 유량계수 C값과 유량Q와의 관계 그래프에서와 같이 유량계수와 Q와의 관계는 일정치 않은 값을 갖는다. 이렇게 흩어진 유량계수 C값의 평균값을 연결해 보면 거의 수평선에 가까운 일직선이 나온다. 이 결과는 유량계수 C값은 유량 Q에 영향을 거의 끼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벤츄리미터의 구간에서의 압력분포는 압력수두가 작아지다가 D단면에서 최소가 되었다가 다시 서서히 상승한다. 따라서 이상유체의 경우와 유사한 형태의 곡선을 그리다가 D구역 이하에서는 그 차이가 줄어들며 이것은 D구역 이후에선 관경의 확대가 완만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라 추정된다. 관경의 급격한 변화와 완만한 변화가 압력수두의 변화에 관계가 있음을 유추할수 있었다. 그래프를 통해 결과를 쉽고 간단하게 알아볼수 있어 좋았다.
[7] 참 고 문 헌
尹龍男 "수리학" .......................................................... ( 청문각 ) 1996'
長永吉 "수리학" .......................................................... ( 技工社 ) 1986'
李吉永, 安慶洙 "수리학" ......................................... ( 형설출판사 ) 1993'
(h1-h2)1/2(m)
C
C의
평균값
1
410
3.12
243
225
0.1314
0.018
0.134
1.02
0.9892
2
630
3.10
246
200
0.203
0.046
0.214
0.986
3
1080
3.07
255
127
0.352
0.128
0.358
1.02
4
950
2.10
260
76
0.452
0.184
0.429
1.09
5
440
1.80
252
162
0.24
0.090
0.3
0.83
5개의 유량에 따른 유량계수 및 수두차
Measurements of pressure distribution along ventury meter
Piezometer Tube No.
Q=5.5*10 (㎥/s)
V2 /2g=0.376m
Q=5.2*10 (㎥/s)
V2 /2g=0.354m
hn
(mm)
hn-h1
(m)
(hn-h1)/
v22/2g
hn
(mm)
hn-h1
(m)
(hn-h1)/
v22/2g
A(1)
245
0
0
254
0
0
B
238
-0.007
-0.019
238
-0.016
-0.045
C
192
-0.053
-0.141
43
-0.211
-0.593
D(2)
138
-0.017
-0.285
35
-0.220
-0.618
E
143
-0.012
-0.276
53
-0.201
-0.565
F
178
-0.067
-0.178
125
-0.129
-0.364
G
198
-0.047
-0.125
163
-0.091
-0.257
H
210
-0.035
-0.093
186
-0.068
-0.192
J
217
-0.028
-0.074
201
-0.053
-0.150
K
223
-0.022
-0.0585
211
-0.043
-0.121
L
226
-0.019
-0.051
218
-0.036
-0.102
[6] 검토 및 토의
이 실험에서는 관내에 유량의 흐름을 조절하면 유량계수 C값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보는 실험이다. 여러번의 실험을 한뒤에 유량계수 C값의 오차가 큰 결과를 버리고 나머지 5개의 결과를 그래프와 표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유량계수 C는 0.83~1.02의 범위에 있고 5번의 실험을 통한 평균값이 0.9892라는 결과가 나왔다. 또, 유량Q와 수두차(h1-h2)의 관계는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직선에 가깝다고 볼수 있다. 이것은 수두차가 커지면 유량Q는 일정하게 증가한다. 그리고 유량계수 C값과 유량Q와의 관계 그래프에서와 같이 유량계수와 Q와의 관계는 일정치 않은 값을 갖는다. 이렇게 흩어진 유량계수 C값의 평균값을 연결해 보면 거의 수평선에 가까운 일직선이 나온다. 이 결과는 유량계수 C값은 유량 Q에 영향을 거의 끼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벤츄리미터의 구간에서의 압력분포는 압력수두가 작아지다가 D단면에서 최소가 되었다가 다시 서서히 상승한다. 따라서 이상유체의 경우와 유사한 형태의 곡선을 그리다가 D구역 이하에서는 그 차이가 줄어들며 이것은 D구역 이후에선 관경의 확대가 완만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라 추정된다. 관경의 급격한 변화와 완만한 변화가 압력수두의 변화에 관계가 있음을 유추할수 있었다. 그래프를 통해 결과를 쉽고 간단하게 알아볼수 있어 좋았다.
[7] 참 고 문 헌
尹龍男 "수리학" .......................................................... ( 청문각 ) 1996'
長永吉 "수리학" .......................................................... ( 技工社 ) 1986'
李吉永, 安慶洙 "수리학" ......................................... ( 형설출판사 )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