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험목적
2. 시험기구
3. 시험방법
4. 결과산출방법
5. 시험결과
6. 분석 및 고찰
7. 참고문헌
2. 시험기구
3. 시험방법
4. 결과산출방법
5. 시험결과
6. 분석 및 고찰
7. 참고문헌
본문내용
61.2
63.1
64.5
65.9
67
68
69.1
70
71.2
72.6
74.3
75.5
77.2
79.1
< 15 > LOG T - 1.6kg
하중단계
압력 P
[kgf/cm2]
압력증가량
ΔP
[kgf/cm2]
평균시료높이 havg
[cm]
초기치
ds
최종치
df
압밀량
Δd
[×10-3cm]
d0
d100
1차 압밀량
Δd′
[×10-3cm]
1차 압밀비rp
t50
체적변형계수 mυ
[cm2/kgf]
압밀계수 Cυ[cm2/sec]
보정압밀계수Cυ′[cm2/sec]
투수계수k[cm/sec]
6
1.6
0.8
1.8785
79.1
111.9
32.8
86.0
106.0
20
0.609
4.65
0.02183
6.229×
10^-4
3.794×
10^-4
8.281×
10^-6
0
15초
1분
2분
15초
4분
6분
15초
9분
12분
15초
16분
20분
15초
25분
35분
1시간
2시간
4시간
8시간
24시간
다이얼게이지
79.1
87.5
90.5
93.0
95.5
97.8
99.5
101.0
102.1
103.0
103.7
104.6
105.9
107.0
108.1
109.0
111.9
< 16 > LOG T - 3.2kg
하중단계
압력 P
[kgf/cm2]
압력증가량
ΔP
[kgf/cm2]
평균시료높이 havg
[cm]
초기치
ds
최종치
df
압밀량
Δd
[×10-3cm]
d0
d100
1차 압밀량
Δd′
[×10-3cm]
1차 압밀비rp
t50
체적변형계수 mυ
[cm2/kgf]
압밀계수 Cυ[cm2/sec]
보정압밀계수Cυ′[cm2/sec]
투수계수k[cm/sec]
7
3.2
1.6
1.8420
111.9
154.1
42.2
121.4
150.8
29.4
0.697
4.55
0.01432
6.121×
10^-4
4.266×
10^-4
6.109×
10^-6
0
15초
1분
2분
15초
4분
6분
15초
9분
12분
15초
16분
20분
15초
25분
35분
1시간
2시간
4시간
8시간
24시간
다이얼게이지
111.9
124.0
127.8
131.0
134.5
137.5
139.8
142.0
143.2
144.7
145.7
146.5
148.5
150.1
151.3
152.1
154.1
< 17 > LOG T - 6.4kg
하중단계
압력 P
[kgf/cm2]
압력증가량
ΔP
[kgf/cm2]
평균시료높이 havg
[cm]
초기치
ds
최종치
df
압밀량
Δd
[×10-3cm]
d0
d100
1차 압밀량
Δd′
[×10-3cm]
1차 압밀비rp
t50
체적변형계수 mυ
[cm2/kgf]
압밀계수 Cυ[cm2/sec]
보정압밀계수Cυ′[cm2/sec]
투수계수k[cm/sec]
8
0.4
3.2
1.7991
154.1
197.9
43.8
167.9
196.0
28.1
0.6415
2.85
0.007081
9.3223×
10^-4
5.9802×
10^-4
4.2346×
10^-6
0
15초
1분
2분
15초
4분
6분
15초
9분
12분
15초
16분
20분
15초
25분
35분
1시간
2시간
4시간
8시간
24시간
다이얼게이지
154.1
171
176
180.5
184.5
186.0
188.0
189.1
190.0
190.8
191.2
193.1
194.1
195.0
196.0
196.8
197.9
< 18 > LOG T - 12.8kg
하중단계
압력 P
[kgf/cm2]
압력증가량
ΔP
[kgf/cm2]
평균시료높이 havg
[cm]
초기치
ds
최종치
df
압밀량
Δd
[×10-3cm]
d0
d100
1차 압밀량
Δd′
[×10-3cm]
1차 압밀비rp
t50
체적변형계수 mυ
[cm2/kgf]
압밀계수 Cυ[cm2/sec]
보정압밀계수Cυ′[cm2/sec]
투수계수k[cm/sec]
9
12.8
6.4
1.7522
197.9
245.9
48
214.5
246.5
32
0.6667
2.8
0.004208
9.0005×
10^-4
6.0006×
10^-4
2.5683×
10^-6
0
15초
1분
2분
15초
4분
6분
15초
9분
12분
15초
16분
20분
15초
25분
35분
1시간
2시간
4시간
8시간
24시간
다이얼게이지
197.9
217
224.4
229.4
232.4
234.8
235.9
236.9
237.8
238.5
239.1
239.9
241.2
242.6
244
245.7
245.9
6. 분석 및 고찰
Log(t), Root(t) 방법에 의해서 압밀도를 구하였고 압밀계수와 투수계수 등도 구하였다.
그래프를 보면 대다수의 그래프가 위 아래로 들쑥날쑥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일차압밀이 어디서 끝이 났는지 판단하기가 상당히 까다로웠다. 기대했던 압밀곡선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었다.
그 원인을 찾자면 먼저 시료가 오래되어서 예전에 갖고 있었던 함수비와 흙의 상태가 달다졌고, 압밀링의 가장자리와 흙시료과 공극이 생겨서 완전한 밀착이 되질 않았다. 그리고 흙시료의 함수비가 너무없어서 흙이 매마른 상태에서 흙시료가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압밀링으로 밀어넣을 때 약간이나마 압축을 가하게 되고, 오랜기간 실험을 하면서 압밀 시험기 주변의 작업으로 인하여 압밀 시험기에 충격이 가해져 변위량이 갑자기 튀는 등 실험의 오차 원인이 많았다.
압밀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하중재하에 의한 압밀침하량과 압밀침하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재하후 시간 t가 경과 되었을 때의 압밀침하량 Ht는 압밀도 U를 이용하여
triangle H_t = triangle H times U
라는 공식으로 구할 수 있다. 압밀도 U는 먼저 시간계수 Tv를 구한후에 시간계수-압밀도(Tv-U)관계 곡선에서
T_v = {C_v t } over H ^2
와 같은 식을 통해 구할 수 있다.
7. 참 고 문 헌
(1) 임병조, 김영수 土質實驗法 1984, 2.
(2) 황 근, 土木施工學 1985.
(3) BRAJA M. DAS PRINCIP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4) 김상규, 土質試驗 1982.
(5) 정성교, 土質試驗法 1994.
(6) 최계식, 土木材料 試驗法 1993.
(7) 김 우규 土質試驗 1983년 동명사
63.1
64.5
65.9
67
68
69.1
70
71.2
72.6
74.3
75.5
77.2
79.1
< 15 > LOG T - 1.6kg
하중단계
압력 P
[kgf/cm2]
압력증가량
ΔP
[kgf/cm2]
평균시료높이 havg
[cm]
초기치
ds
최종치
df
압밀량
Δd
[×10-3cm]
d0
d100
1차 압밀량
Δd′
[×10-3cm]
1차 압밀비rp
t50
체적변형계수 mυ
[cm2/kgf]
압밀계수 Cυ[cm2/sec]
보정압밀계수Cυ′[cm2/sec]
투수계수k[cm/sec]
6
1.6
0.8
1.8785
79.1
111.9
32.8
86.0
106.0
20
0.609
4.65
0.02183
6.229×
10^-4
3.794×
10^-4
8.281×
10^-6
0
15초
1분
2분
15초
4분
6분
15초
9분
12분
15초
16분
20분
15초
25분
35분
1시간
2시간
4시간
8시간
24시간
다이얼게이지
79.1
87.5
90.5
93.0
95.5
97.8
99.5
101.0
102.1
103.0
103.7
104.6
105.9
107.0
108.1
109.0
111.9
< 16 > LOG T - 3.2kg
하중단계
압력 P
[kgf/cm2]
압력증가량
ΔP
[kgf/cm2]
평균시료높이 havg
[cm]
초기치
ds
최종치
df
압밀량
Δd
[×10-3cm]
d0
d100
1차 압밀량
Δd′
[×10-3cm]
1차 압밀비rp
t50
체적변형계수 mυ
[cm2/kgf]
압밀계수 Cυ[cm2/sec]
보정압밀계수Cυ′[cm2/sec]
투수계수k[cm/sec]
7
3.2
1.6
1.8420
111.9
154.1
42.2
121.4
150.8
29.4
0.697
4.55
0.01432
6.121×
10^-4
4.266×
10^-4
6.109×
10^-6
0
15초
1분
2분
15초
4분
6분
15초
9분
12분
15초
16분
20분
15초
25분
35분
1시간
2시간
4시간
8시간
24시간
다이얼게이지
111.9
124.0
127.8
131.0
134.5
137.5
139.8
142.0
143.2
144.7
145.7
146.5
148.5
150.1
151.3
152.1
154.1
< 17 > LOG T - 6.4kg
하중단계
압력 P
[kgf/cm2]
압력증가량
ΔP
[kgf/cm2]
평균시료높이 havg
[cm]
초기치
ds
최종치
df
압밀량
Δd
[×10-3cm]
d0
d100
1차 압밀량
Δd′
[×10-3cm]
1차 압밀비rp
t50
체적변형계수 mυ
[cm2/kgf]
압밀계수 Cυ[cm2/sec]
보정압밀계수Cυ′[cm2/sec]
투수계수k[cm/sec]
8
0.4
3.2
1.7991
154.1
197.9
43.8
167.9
196.0
28.1
0.6415
2.85
0.007081
9.3223×
10^-4
5.9802×
10^-4
4.2346×
10^-6
0
15초
1분
2분
15초
4분
6분
15초
9분
12분
15초
16분
20분
15초
25분
35분
1시간
2시간
4시간
8시간
24시간
다이얼게이지
154.1
171
176
180.5
184.5
186.0
188.0
189.1
190.0
190.8
191.2
193.1
194.1
195.0
196.0
196.8
197.9
< 18 > LOG T - 12.8kg
하중단계
압력 P
[kgf/cm2]
압력증가량
ΔP
[kgf/cm2]
평균시료높이 havg
[cm]
초기치
ds
최종치
df
압밀량
Δd
[×10-3cm]
d0
d100
1차 압밀량
Δd′
[×10-3cm]
1차 압밀비rp
t50
체적변형계수 mυ
[cm2/kgf]
압밀계수 Cυ[cm2/sec]
보정압밀계수Cυ′[cm2/sec]
투수계수k[cm/sec]
9
12.8
6.4
1.7522
197.9
245.9
48
214.5
246.5
32
0.6667
2.8
0.004208
9.0005×
10^-4
6.0006×
10^-4
2.5683×
10^-6
0
15초
1분
2분
15초
4분
6분
15초
9분
12분
15초
16분
20분
15초
25분
35분
1시간
2시간
4시간
8시간
24시간
다이얼게이지
197.9
217
224.4
229.4
232.4
234.8
235.9
236.9
237.8
238.5
239.1
239.9
241.2
242.6
244
245.7
245.9
6. 분석 및 고찰
Log(t), Root(t) 방법에 의해서 압밀도를 구하였고 압밀계수와 투수계수 등도 구하였다.
그래프를 보면 대다수의 그래프가 위 아래로 들쑥날쑥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일차압밀이 어디서 끝이 났는지 판단하기가 상당히 까다로웠다. 기대했던 압밀곡선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었다.
그 원인을 찾자면 먼저 시료가 오래되어서 예전에 갖고 있었던 함수비와 흙의 상태가 달다졌고, 압밀링의 가장자리와 흙시료과 공극이 생겨서 완전한 밀착이 되질 않았다. 그리고 흙시료의 함수비가 너무없어서 흙이 매마른 상태에서 흙시료가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압밀링으로 밀어넣을 때 약간이나마 압축을 가하게 되고, 오랜기간 실험을 하면서 압밀 시험기 주변의 작업으로 인하여 압밀 시험기에 충격이 가해져 변위량이 갑자기 튀는 등 실험의 오차 원인이 많았다.
압밀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하중재하에 의한 압밀침하량과 압밀침하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재하후 시간 t가 경과 되었을 때의 압밀침하량 Ht는 압밀도 U를 이용하여
triangle H_t = triangle H times U
라는 공식으로 구할 수 있다. 압밀도 U는 먼저 시간계수 Tv를 구한후에 시간계수-압밀도(Tv-U)관계 곡선에서
T_v = {C_v t } over H ^2
와 같은 식을 통해 구할 수 있다.
7. 참 고 문 헌
(1) 임병조, 김영수 土質實驗法 1984, 2.
(2) 황 근, 土木施工學 1985.
(3) BRAJA M. DAS PRINCIP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4) 김상규, 土質試驗 1982.
(5) 정성교, 土質試驗法 1994.
(6) 최계식, 土木材料 試驗法 1993.
(7) 김 우규 土質試驗 1983년 동명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