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본 론
1) 기술 개요
2) 공정 원리
(1) Windrow composting(야적식 퇴비화)
(2) Aerated Static Pile Composting(송풍형 정치식 퇴비화)
(3) In-Vessel Composting System
(4) Anaerobic processing
3) 영향 인자
① 통기량(공기량, aeration)
② 통기개량제(bulking agent)
③ 온도
④ 함수율
⑤ 수소이온농도(pH)
⑥ 영양물질(C/N비)
4) 오염물질 및 토양입경별 처리효과
5) 제약 조건
3. 결 론(특징)
2. 본 론
1) 기술 개요
2) 공정 원리
(1) Windrow composting(야적식 퇴비화)
(2) Aerated Static Pile Composting(송풍형 정치식 퇴비화)
(3) In-Vessel Composting System
(4) Anaerobic processing
3) 영향 인자
① 통기량(공기량, aeration)
② 통기개량제(bulking agent)
③ 온도
④ 함수율
⑤ 수소이온농도(pH)
⑥ 영양물질(C/N비)
4) 오염물질 및 토양입경별 처리효과
5) 제약 조건
3. 결 론(특징)
본문내용
분이 저하되면 온도가 떨어지게 된다.
④ 함수율
-물은 미생물의 세포구성인자로서, 미생물은 양분을 유동상태에서만 흡수할 수 있다. 유기 물의 함수율이 30% 미만일 경우 미생물의 활동에 지장을 주게 된다. 또한 함수율이 높을 경우, 산소의 확산을 저해하고 공기의 통기성을 저하시켜 반응속도가 저하된다. 보통 초기 제어 함수율은 40∼60%, 하수오니의 경우에는 60%가 최적이다.
⑤ 수소이온농도(pH)
-미생물은 생육에 알맞은 pH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미생물은 pH가 5∼9범위에서 생육 되며, 중성 부근에서 미생물의 활동이 전반적으로 높아진다.
-퇴비화과정에서 관찰되는 pH범위는 5.5∼8.5 사이로서, 일반적으로 초기에는 낮은 값을 유 지하지만 퇴비화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약알칼리성으로 변한다. 퇴비화반응의 초기에는 원 료입자의 내부에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지 않아서 내부물질이 혐기적으로 분해됨으로써 저 급지방산등이 발생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공기공급이 원활하게 되면서 분해가 활발히 진행되어 질소성분중의 암모니아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암모니아의 발생이 활발화되면 서 물질 내에 암모늄이온이 잔존되어 약알카리성을 띠어 pH 8이상을 유지하게된다.
-퇴비화과정 중 많이 일어나는 현상 중의 하나가 공기가 적게 공급될 때 pH가 4.5이하로 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면 공기공급을 원할하게함과 동시에 소석회와 같은 중화제를 사용하여 pH를 높여주어야 한다.
⑥ 영양물질(C/N비)
-많은 원소 중에서 탄소와 질소는 생물에게 매우 중요한 원소로 작용하며, 또한 분해정도를 가름하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된다. 이들의 함량비를 C/N비로 나타내게 된다. 오염물질에 따라 최적의 값이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퇴비화에서 있어서 가장 이상적인 탄소와 질소의 무게비율은 50 이하로서, 25∼30:1이다. 만약에 비율이 25∼30:1 이하일 경우에는 질소성분의 유실이 커지며, 암모니아 등의 악취가 심하게 발생되게 된다.
-비율이 25∼30:1이상에서는 미생물 성장에 필요한 질소원이 부족하여 미생물의 성장에 장 애를 주어 퇴비화의 반응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4) 오염물질 및 토양입경별 처리효과
-퇴비화 공정은 저분자 비할로겐 휘발성물질과 유류계 탄화수소류를 처리하는데 가장 효과 적이다. 분자량이 큰 비할로겐화합물, 할로겐 화합물, 디젤등에도 적용할 수 있지만 효과가 적다. 토양입경별 처리효과는 Biopile, landfarming 등과 같은 지상처리 공정과 유사하다. 아래의 <표>에서는 퇴비화 공정의 효과를 나타냈다.
[표] 오염물질별 퇴비화공정의 처리효과
오염물질 종류
적합
부분적 적합
부적합
비할로겐 휘발성 유기물질
x
할로겐 휘발성 유기물질
x
비할로겐 준휘발성 유기물질
x
할로겐 준휘발성 유기물질
x
고분자 유류물질
x
무기물
x
폭발물
x
[표] 토양입경별 퇴비화공정의 처리효과
토양입경정도
적합
부분적 적합
부적합
자갈
x
중간모래
x
가는모래
x
미사
x
점토
x
5) 제약 조건
-퇴비화를 위해서는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
-오염된 토양을 굴착해야 하고 제어되지 않은 휘발성 유기물질이 방출될 수 있다.
-팽화제의 첨가로 인해 처리해야할 오염토양의 부피가 증가한다.
-이 방법에 의해 중금속은 처리될 수 없으며 미생물에게 독성으로 작용한다.
3. 결 론(특징)
-기타 지상처리공정에 비해 미생물활성의 조절로 인해 처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공기주입, 온도, 교반 등의 운전인자 조절이 가능하여 공정효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배 출가스의 조절이 가능하다.
-퇴비화는 열적 처리를 이용하지 않은 가장 경제적인 방법이다.
④ 함수율
-물은 미생물의 세포구성인자로서, 미생물은 양분을 유동상태에서만 흡수할 수 있다. 유기 물의 함수율이 30% 미만일 경우 미생물의 활동에 지장을 주게 된다. 또한 함수율이 높을 경우, 산소의 확산을 저해하고 공기의 통기성을 저하시켜 반응속도가 저하된다. 보통 초기 제어 함수율은 40∼60%, 하수오니의 경우에는 60%가 최적이다.
⑤ 수소이온농도(pH)
-미생물은 생육에 알맞은 pH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미생물은 pH가 5∼9범위에서 생육 되며, 중성 부근에서 미생물의 활동이 전반적으로 높아진다.
-퇴비화과정에서 관찰되는 pH범위는 5.5∼8.5 사이로서, 일반적으로 초기에는 낮은 값을 유 지하지만 퇴비화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약알칼리성으로 변한다. 퇴비화반응의 초기에는 원 료입자의 내부에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지 않아서 내부물질이 혐기적으로 분해됨으로써 저 급지방산등이 발생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공기공급이 원활하게 되면서 분해가 활발히 진행되어 질소성분중의 암모니아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암모니아의 발생이 활발화되면 서 물질 내에 암모늄이온이 잔존되어 약알카리성을 띠어 pH 8이상을 유지하게된다.
-퇴비화과정 중 많이 일어나는 현상 중의 하나가 공기가 적게 공급될 때 pH가 4.5이하로 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면 공기공급을 원할하게함과 동시에 소석회와 같은 중화제를 사용하여 pH를 높여주어야 한다.
⑥ 영양물질(C/N비)
-많은 원소 중에서 탄소와 질소는 생물에게 매우 중요한 원소로 작용하며, 또한 분해정도를 가름하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된다. 이들의 함량비를 C/N비로 나타내게 된다. 오염물질에 따라 최적의 값이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퇴비화에서 있어서 가장 이상적인 탄소와 질소의 무게비율은 50 이하로서, 25∼30:1이다. 만약에 비율이 25∼30:1 이하일 경우에는 질소성분의 유실이 커지며, 암모니아 등의 악취가 심하게 발생되게 된다.
-비율이 25∼30:1이상에서는 미생물 성장에 필요한 질소원이 부족하여 미생물의 성장에 장 애를 주어 퇴비화의 반응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4) 오염물질 및 토양입경별 처리효과
-퇴비화 공정은 저분자 비할로겐 휘발성물질과 유류계 탄화수소류를 처리하는데 가장 효과 적이다. 분자량이 큰 비할로겐화합물, 할로겐 화합물, 디젤등에도 적용할 수 있지만 효과가 적다. 토양입경별 처리효과는 Biopile, landfarming 등과 같은 지상처리 공정과 유사하다. 아래의 <표>에서는 퇴비화 공정의 효과를 나타냈다.
[표] 오염물질별 퇴비화공정의 처리효과
오염물질 종류
적합
부분적 적합
부적합
비할로겐 휘발성 유기물질
x
할로겐 휘발성 유기물질
x
비할로겐 준휘발성 유기물질
x
할로겐 준휘발성 유기물질
x
고분자 유류물질
x
무기물
x
폭발물
x
[표] 토양입경별 퇴비화공정의 처리효과
토양입경정도
적합
부분적 적합
부적합
자갈
x
중간모래
x
가는모래
x
미사
x
점토
x
5) 제약 조건
-퇴비화를 위해서는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
-오염된 토양을 굴착해야 하고 제어되지 않은 휘발성 유기물질이 방출될 수 있다.
-팽화제의 첨가로 인해 처리해야할 오염토양의 부피가 증가한다.
-이 방법에 의해 중금속은 처리될 수 없으며 미생물에게 독성으로 작용한다.
3. 결 론(특징)
-기타 지상처리공정에 비해 미생물활성의 조절로 인해 처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공기주입, 온도, 교반 등의 운전인자 조절이 가능하여 공정효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배 출가스의 조절이 가능하다.
-퇴비화는 열적 처리를 이용하지 않은 가장 경제적인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