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통계를 이용한 도시체계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구통계를 이용한 도시체계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한국의 모든 시급 도시들을 대상으로 1970년, 1980년, 1990년, 2000년의 인구 변화를 분석하고, 전반적인 패턴을 기술하라. 인구가 많이 성장한 도시와 정체하고 있는 도시들의 특징을 설명하라.

2. 인구가 많이 성장한 도시들 중 시급 도시 중 1개를 선택하고, 인구가 정체 또는 감소한 도시들 중 시급 도시 중 1개를 선택하고, 선택된 도시들에서 나타나는 산업별 변화 양상을 산업별 취업자 데이터를 대상으로 분석하시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선택된 도시들 중 인구가 성장한 도시들과 인구가 정체 또는 감소한 도시들에 나타나는 인구변화 및 산업변화의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본문내용

깊은 '운수창고통신업', '금융보험업'의 입지계수는 오히려 하락하였다는 점이다.(각각 입지계수변화량 : -0.15, -0.75) 이것은 점차 4차 산업 및 첨단 산업 중심으로 국가의 산업 구조를 전체적으로 재편하게 되면서 '제조업'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줄어들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일 것이다. '금융, 통신업' 같은 경우 기존의 포항과 같은 제조업 중심의 도시보다는 서울이나 대전과 같은 금융의 집적이 용이하고, 지식 집약적인 산업이 발달할 수 있는 기반이 갖추어져있는 지역으로 분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인구가 정체되었거나 성장률이 미비한 목포의 경우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목포의 경우는 항구도시이므로 산업 분포의 특징이 어업의 비율이 확연하게 높다. 이것은 92년 어업 분야의 입지계수가 '14.03', 2000년도의 입지계수가 '23.75'인 것만 보더라도 알 수가 있다. 즉 목포시는 어업 분야에 있어서 그 중요성이 가장 큰 산업 구조를 이루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특정 산업에 대한 의존이 너무 지나쳐서 '제조업', '건설업'과 같이 큰 부가가치를 창출해낼 수 있는 산업들의 발전이 더디다는 데 있다. 이것은 2000년도 입지계수가 제조업(0.31), 건설업(0.83)에 불과하다는 것만 보더라도 알 수 있다. 이러한 어업에 대한 지나친 의존은 2000년도에 들어서도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악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입지계수 변화량을 보면 어업 분야의 경우 9.72로 오히려 무려 9포인트나 상승하였기 때문이다. 저 부가가치의 산업에 대한 지나친 의존은 도시 전체의 경쟁력의 비효율성을 초래하고 이 도시로의 이주에 대한 유인을 약화시키는 단점이 있다
) 인구증가율이 정체되어있는 것도 이러한 이유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 이러한 산업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각 산업의 고른 발전에 대한 계획은 물론이고, 고부가가치 산업의 성장을 위한 전략적인 플랜이 필요할 것이다.
첨부 : 부록2. 포항시 산업별 종사자수 1부.
부록3. 목포시 산업별 종사자수 1부.
자료출처 : 한국 도시 연감
포항시 공식 홈페이지(http://www.ipohang.org)
통계청 홈페이지(http://www.nso.go.kr)
전남도청 홈페이지(http://www.jeonnam.go.kr)
목포시청 홈페이지(http://city.mokpo.chonnam.kr)
야후 백과사전(http://kr.encycl.yahoo.com)

키워드

인구,   통계,   분석,   도시지리,   지리,   인구통계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11.10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21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