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 론
II. 청소년 문화에 대한 몇 가지 질문들
1. 청소년 문화에 대한 시각을 바꿀 수 있을까?
2. 청소년들은 창조적 문화소비자가 될 수 있을까?
3. 청소년 소수문화를 어떻게 키울 것인가?
Ⅲ. 맺음말 - 문화 DIY 세대를 위하여
II. 청소년 문화에 대한 몇 가지 질문들
1. 청소년 문화에 대한 시각을 바꿀 수 있을까?
2. 청소년들은 창조적 문화소비자가 될 수 있을까?
3. 청소년 소수문화를 어떻게 키울 것인가?
Ⅲ. 맺음말 - 문화 DIY 세대를 위하여
본문내용
대한 기대이다. 소수문화가 가능한 토양을 만드는 일이 이들의 소수문화를 상품화하는 일보다 급선무다. 새로운 청소년 문화의 가능성은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모색될 필요가 있다. 창조적이고 주체적인 문화 생산자로서 뿐 아니라 저항할 수 있는 소수문화 집단으로서 청소년 문화 가능성이 열려 있어야 한다. 정보사회와 친화력을 갖는 청소년 문화의 육성은 단순히 컴퓨터 교육의 확산이나 이를 위한 인프라의 구성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문화를 수용하는 마인드를 키워 주는 일이다. 따라서 청소년 소수문화나 대안적 청소년 문화에 대한 다양한 실험과 이에 대한 적극적 지원이 없이는 청소년 문화는 지배적 상품문화에 흡입될 수밖에 없으며 그만큼 문화생산자로서의 가능성도 줄어든다.
<참고한 글들>
김광휘, 1998, "지역사회 청소년 문화 활성화 방안 연구: 고양시를 중심으로", 중앙대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신일, 1992, 『청소년 문화론』, 한국청소년연구원.
김창남, 1994, "하위문화집단의 대중문화 실천에 대한 일 연구: 대중음악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김형곤, 1992, "뮤직비디오 수용자들의 포스트모던 청소년문화에 대한 현장기술지",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국승표 외, 1994, 『신세대론 : 혼돈과 질서』, 현실문화연구
* 목 차
I. 서 론
II. 청소년 문화에 대한 몇 가지 질문들
1. 청소년 문화에 대한 시각을 바꿀 수 있을까?
2. 청소년들은 창조적 문화소비자가 될 수 있을까?
3. 청소년 소수문화를 어떻게 키울 것인가?
Ⅲ. 맺음말 - 문화 DIY 세대를 위하여
<참고한 글들>
김광휘, 1998, "지역사회 청소년 문화 활성화 방안 연구: 고양시를 중심으로", 중앙대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신일, 1992, 『청소년 문화론』, 한국청소년연구원.
김창남, 1994, "하위문화집단의 대중문화 실천에 대한 일 연구: 대중음악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김형곤, 1992, "뮤직비디오 수용자들의 포스트모던 청소년문화에 대한 현장기술지",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국승표 외, 1994, 『신세대론 : 혼돈과 질서』, 현실문화연구
* 목 차
I. 서 론
II. 청소년 문화에 대한 몇 가지 질문들
1. 청소년 문화에 대한 시각을 바꿀 수 있을까?
2. 청소년들은 창조적 문화소비자가 될 수 있을까?
3. 청소년 소수문화를 어떻게 키울 것인가?
Ⅲ. 맺음말 - 문화 DIY 세대를 위하여
추천자료
세계화와 한국 청소년문화
2014년 1학기 청소년문화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4년 1학기 청소년문화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5년 1학기 청소년문화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1학기 청소년문화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6년 1학기 청소년문화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청소년문화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청소년문화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청소년문화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청소년문화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1학기 청소년문화 기말시험 핵심체크
제4차 산업혁명과 청소년문화의 변화에 대한 장단점을 논하고 대안을 제시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