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대중문화시대의 청소년 문화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 론

II. 청소년 문화에 대한 몇 가지 질문들
1. 청소년 문화에 대한 시각을 바꿀 수 있을까?
2. 청소년들은 창조적 문화소비자가 될 수 있을까?
3. 청소년 소수문화를 어떻게 키울 것인가?

Ⅲ. 맺음말 - 문화 DIY 세대를 위하여

본문내용

대한 기대이다. 소수문화가 가능한 토양을 만드는 일이 이들의 소수문화를 상품화하는 일보다 급선무다. 새로운 청소년 문화의 가능성은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모색될 필요가 있다. 창조적이고 주체적인 문화 생산자로서 뿐 아니라 저항할 수 있는 소수문화 집단으로서 청소년 문화 가능성이 열려 있어야 한다. 정보사회와 친화력을 갖는 청소년 문화의 육성은 단순히 컴퓨터 교육의 확산이나 이를 위한 인프라의 구성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문화를 수용하는 마인드를 키워 주는 일이다. 따라서 청소년 소수문화나 대안적 청소년 문화에 대한 다양한 실험과 이에 대한 적극적 지원이 없이는 청소년 문화는 지배적 상품문화에 흡입될 수밖에 없으며 그만큼 문화생산자로서의 가능성도 줄어든다.
<참고한 글들>
김광휘, 1998, "지역사회 청소년 문화 활성화 방안 연구: 고양시를 중심으로", 중앙대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신일, 1992, 『청소년 문화론』, 한국청소년연구원.
김창남, 1994, "하위문화집단의 대중문화 실천에 대한 일 연구: 대중음악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김형곤, 1992, "뮤직비디오 수용자들의 포스트모던 청소년문화에 대한 현장기술지",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국승표 외, 1994, 『신세대론 : 혼돈과 질서』, 현실문화연구
* 목 차
I. 서 론
II. 청소년 문화에 대한 몇 가지 질문들
1. 청소년 문화에 대한 시각을 바꿀 수 있을까?
2. 청소년들은 창조적 문화소비자가 될 수 있을까?
3. 청소년 소수문화를 어떻게 키울 것인가?
Ⅲ. 맺음말 - 문화 DIY 세대를 위하여

키워드

  • 가격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3.11.10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21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