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본 론
3. 결 론
2. 본 론
3. 결 론
본문내용
다. 결국 이러한 필수 요소들을 통제하고 제어할 수 있는 유리한 지역으로 상정할 수 있는 것이 바로 교역망의 결절점이라는 것이 이 글의 결론이다. 학자들에게 있어서 시카고의 이러한 발달의 역사는 도시 발달 모델을 설명하려 할 때 이상적인 모습으로 비추어졌을 것이다. 그러나 서론에서도 밝혔듯이 하나의 사회현상-특히 도시발달과 같은 복잡한-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오직 이 요소만이 작용했다라는 식의 논리는 곤란하며 이러한 모델로 설명해 볼 수 있다는 식의 이해를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시카고의 발달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 비단 교역의 결절점으로서의 조건뿐만 아니라 다른 요소들-정치적인 환경, 경제·제도적 조건 등-을 통해서도 연구해 보는 것도 도시발달 연구에 있어서 유의미성을 지닐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