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원리
3. 시료의 전처리
4. 실험방법
5. 계산
6. 시약 및 조제법
7. 실험기구
8. 안전 및 유의사항
2. 실험원리
3. 시료의 전처리
4. 실험방법
5. 계산
6. 시약 및 조제법
7. 실험기구
8. 안전 및 유의사항
본문내용
티오황산나트륨액
< 0.1N 티오황산나트륨액 250ml를 정확히 취하여 새로 끓여 식힌 물을 넣어
정확히 1000ml로 한다. >
⑩ 0.1N 티오황산나트륨액
< 티오황산나트륨(5수화물) 26g 및 무수탄산나트륨 0.2g에 새로 끓여 식힌 물을 넣어 녹여 1L로 하고 이소아밀 알코올 약 10ml를 넣고 2일간 방치한다. >
(7) 실험 기구
☞ BOD병, 배양기 (BOD용 인큐베이터), 화학저울, 비커, 깔때기, 세척병,
삼각플라스크, 메스실린더, 뷰렛, 피펫 등
(8) 안전 및 유의 사항
① BOD 측정을 위한 시료는 냉장하여 운반한다.
(운반 도중 유기물질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것을 막기 위해)
② 시료에 호기성 미생물이 없는 경우 (공장 폐수에 이런 경우가 흔하다.), 혹은 잔류염소가 함유된 시료
(미생물이 없거나 활성이 없을 수 있음)는 식종희석수를 사용하여 측정해야 한다.
③ 정상적인 BOD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희석배율을 여러 개 선정하여 희석 검수를 만들어서 측정한다.
④ 식종 희석수의 제조에 사용되는 식종액은 폐수가 방류되어 흐르는 하천의 하류(폐수 방류구의 약 1km
하류) 지점에서 채취한 물을 사용하면 좋다.
⑤ 희석수로 사용하는 증류수는 구리, 납, 주석, 아연 등의 금속이온이 들어 있으면 안된다. (미생물이 자라는데 독으로 작용하여 생장 속도를 느리게 하여 BOD값이 작게 나오게 된다.)
(9) 결과예측
① 전라남도 영산호1 측정소
[측정위치 : 전남 무안군 삼향면 옥암리(방조제앞) ]
구분 (2002년)
BOD (mg/L)
구분 (2003년)
BOD (mg/L)
01
2.8
01
2.5
02
1.7
02
3.4
03
4.6
03
4.9
04
8.8
04
4.2
05
1.6
05
1.9
06
6.8
06
2.5
07
4.0
07
1.7
08
1.1
08
1.5
09
2.1
09
10
0.6
10
11
0.6
11
12
1.4
12
② 전라남도 영산호2 측정소
[측정위치 : 전남 영암군 서호면 금강리(닭어리앞) ]
구분 (2002년)
BOD (mg/L)
구분 (2003년)
BOD (mg/L)
01
2.9
01
3.0
02
1.8
02
2.2
03
2.8
03
2.8
04
6.3
04
3.3
05
1.1
05
3.0
06
7.9
06
3.0
07
2.6
07
1.8
08
1.2
08
1.7
09
1.2
09
10
1.4
10
11
1.0
11
12
1.2
12
=>> BOD의 양이 일정하게 감소 · 증가하지 않지만, 앞으로는 계속 감소할 수 있도록 관심을 가지고 노력해야겠다.
=>> 원리에 알맞는 실험을 통하여, 수질 속 유기물의 양을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자정능력, 생물처리의 가능성 , 수계의 산소 수지 등을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10) 참고 문헌
* http://100.naver.com/100.php?id=88551&cid=AD1033036743044&adflag=1
* http://www.sillaenv.co.kr/html/water_01.html
* http://www.chem-enviro.com/tech-env15.htm
* http://bh.knu.ac.kr/~jdlee/BOD-mth.htm
* http://www.labbank.co.kr/labbank/실험법/water/frame.htm
* http://sydmian.com.ne.kr/env/water/bod5.htm
* http://www.me.go.kr/user/db/atmosphere/db_atmosphere_index.html?menucd=24
* http://user.chollian.net/~chunksw/sub3-0-3.htm
< 0.1N 티오황산나트륨액 250ml를 정확히 취하여 새로 끓여 식힌 물을 넣어
정확히 1000ml로 한다. >
⑩ 0.1N 티오황산나트륨액
< 티오황산나트륨(5수화물) 26g 및 무수탄산나트륨 0.2g에 새로 끓여 식힌 물을 넣어 녹여 1L로 하고 이소아밀 알코올 약 10ml를 넣고 2일간 방치한다. >
(7) 실험 기구
☞ BOD병, 배양기 (BOD용 인큐베이터), 화학저울, 비커, 깔때기, 세척병,
삼각플라스크, 메스실린더, 뷰렛, 피펫 등
(8) 안전 및 유의 사항
① BOD 측정을 위한 시료는 냉장하여 운반한다.
(운반 도중 유기물질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것을 막기 위해)
② 시료에 호기성 미생물이 없는 경우 (공장 폐수에 이런 경우가 흔하다.), 혹은 잔류염소가 함유된 시료
(미생물이 없거나 활성이 없을 수 있음)는 식종희석수를 사용하여 측정해야 한다.
③ 정상적인 BOD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희석배율을 여러 개 선정하여 희석 검수를 만들어서 측정한다.
④ 식종 희석수의 제조에 사용되는 식종액은 폐수가 방류되어 흐르는 하천의 하류(폐수 방류구의 약 1km
하류) 지점에서 채취한 물을 사용하면 좋다.
⑤ 희석수로 사용하는 증류수는 구리, 납, 주석, 아연 등의 금속이온이 들어 있으면 안된다. (미생물이 자라는데 독으로 작용하여 생장 속도를 느리게 하여 BOD값이 작게 나오게 된다.)
(9) 결과예측
① 전라남도 영산호1 측정소
[측정위치 : 전남 무안군 삼향면 옥암리(방조제앞) ]
구분 (2002년)
BOD (mg/L)
구분 (2003년)
BOD (mg/L)
01
2.8
01
2.5
02
1.7
02
3.4
03
4.6
03
4.9
04
8.8
04
4.2
05
1.6
05
1.9
06
6.8
06
2.5
07
4.0
07
1.7
08
1.1
08
1.5
09
2.1
09
10
0.6
10
11
0.6
11
12
1.4
12
② 전라남도 영산호2 측정소
[측정위치 : 전남 영암군 서호면 금강리(닭어리앞) ]
구분 (2002년)
BOD (mg/L)
구분 (2003년)
BOD (mg/L)
01
2.9
01
3.0
02
1.8
02
2.2
03
2.8
03
2.8
04
6.3
04
3.3
05
1.1
05
3.0
06
7.9
06
3.0
07
2.6
07
1.8
08
1.2
08
1.7
09
1.2
09
10
1.4
10
11
1.0
11
12
1.2
12
=>> BOD의 양이 일정하게 감소 · 증가하지 않지만, 앞으로는 계속 감소할 수 있도록 관심을 가지고 노력해야겠다.
=>> 원리에 알맞는 실험을 통하여, 수질 속 유기물의 양을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자정능력, 생물처리의 가능성 , 수계의 산소 수지 등을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10) 참고 문헌
* http://100.naver.com/100.php?id=88551&cid=AD1033036743044&adflag=1
* http://www.sillaenv.co.kr/html/water_01.html
* http://www.chem-enviro.com/tech-env15.htm
* http://bh.knu.ac.kr/~jdlee/BOD-mth.htm
* http://www.labbank.co.kr/labbank/실험법/water/frame.htm
* http://sydmian.com.ne.kr/env/water/bod5.htm
* http://www.me.go.kr/user/db/atmosphere/db_atmosphere_index.html?menucd=24
* http://user.chollian.net/~chunksw/sub3-0-3.htm
추천자료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측정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
[화학공학기초실험] 4. 화학적 산소요구량
[COD]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실험목표와 이론적 고찰,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에 영향을 미...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측정연혁,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실험기구와 시약, 화학적 산소요...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의 개념,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의 실험목적과 실험도구, 생물학...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
(환경수질실험보고서)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환경화학] DO(용존산소), BOD(생화학적 산소 요구량)
(환경수질실험보고서)화학적산소요구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