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이슬과 산소주의 swot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진로
1. 회사소개
2. 참이슬 제품 설명
3. swot 분석

Ⅱ.두산
1. 회사소개
2. 산소주 제품 설명
3. swot 분석

Ⅲ.참이슬의 마케팅 전략
1. 제품
2. 가격
3. 촉진

Ⅳ.산소주의 마케팅 전략
1. 제품
2. 가격
3. 촉진

본문내용

‘열길 사람 속’
개인주의가 만연한 세태를 비판하며 소주 한잔으로 숨겨왔던 마음을 털어놓자는 의미
3소주가 제일이다(2)
참이슬 3대 모델 박주미
‘술의 멋과 맛, 풍류를 알고 즐기는 드라마 ‘여인천하’의 매향의 캐릭터와 소주의 본질을 개념화하여 소비자 공감을 일으키고 있는 참이슬의 “소주가 제일이다”캠페인에 가장 적합한 인물이라는 점에서 박주미를 선택
Ⅳ. 산 소주의 마케팅 전략
1. 제품
1)경쟁 제품과의 차별화 및 소주의 본질적인 문제를 해결
산은 경쟁 제품인 참이슬과 인식상,SPEC상 철저한 차별화를 꾀하고, 코카 콜라와 펩시의 경우처럼 참이슬과의 인식상 대립쌍 구조를 형성하였다.
산은 소주 제품 최초로 녹차 성분을 첨가하여 ‘한잔 술을 마실 때도 건강을 생각한다’는 최근 소비자들의 건강 지향적 욕구를 만족시키고 있다. 소주의 제조공정에서 녹차 잎을 직접 우려냄으로써 소주의 본질적인 문제점인 숙취를 해결한 무숙취 타입의 건강 지향성 제품이다.
또한 녹차 잎에는 역겨운 알코올 냄새를 제거하는 성분이 들어 있어 마시기 부드러운 것이 특징이다. 산의 제조 방법은 일반 소주의 희석 식이 아닌 증류 식이다. 그 이유는 녹차도 함께 넣고 제조하기 때문이다. 익히 잘 알려진 것처럼 대부분의 알코올은 간에서 흡수된다. 따라서 간에서 분해되지 못한 알코올은 숙취의 원인이 되고 만다. 그런데 녹차에는 아미노산, 카페인, 비타민C 등이 함유돼 있는데 바로 이들이 작용해 간장의 아세트알데히드 분해 효소의 활동을 증가시켜 준다고 한다. 소주에 녹차를 섞어 증류 식으로 제조해 냄으로써 혈중 알코올 농도를 최소화하고(알코올 도수 22도), 숙취의 원인이 되는 알코올이 간에서 쉽게 분해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또한 자연을 상징하는 산의 이미지와 은은하게 비치는 녹차 빛은 마시는 사람에게 미각적 청량감뿐 아니라 시각적인 면에서도 깨끗함과 신선함을 준다.
2)Brand Marketing
산은 브랜드 네임과 로고에서부터 기존 제품과는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이 돋보인다.
산이라는 이름에는 두산의 기업 이념이 녹아 있으며 녹차가 재배되는 산지, 대자연의 기운을 연상시키고 있는다. 또한 산의 주타깃 공략 층이 인구 통계적으로 30~40대 자영업자 또는 화이트 칼라로서 활발한 사회활동을 하는 층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그들의 라이프 사이클을 반영하며, ‘녹차 = 숙취 = 깨끗하다’ 라는 컨셉을 잘 드러낸다.
이 브랜드 네임을 선정하는 과정에 있어서도 브랜드 전문 업체 세 곳과 사내 공모를 비롯해 총 551개의 후보 안을 받아 최종 선정하는 등 주류BG는 제품 개발 초기부터 과학적이고도 객관적인 조사를 통해, 생생한 소비자의 요구를 충실히 반영시키려 노력했다. 그리고 뫼 산자(山)를 형상화한 제품의 로고는 주류시장 최초로 브랜드 네임을 상징화하여 디자인되었다는 점 또한 주목 받고 있다.
2. 가격
기본 전략은 Penetration Strategy(침투 가격 전략), 즉 출고가 자체는 Target Product인 참이슬에 비해 낮게 형성하나 품질을 고급화하여 소비자 인지 가격은 높게 하였다.
3. 촉진
산은 Heavy User(다량 구매자)를 주요 공략하고 있으며, 주류 업계 최초로 인터넷을 활용한 바이러스 마케팅이라는 새로 운 마케팅 기법도 도입해 300만 명에게 산 홍보 이메일을 직접 송부했다. 또한 산은 출시를 기점으로 태평양 설록차 측과의 공동 마케팅 전략을 통해 대대적인 ‘녹차 붐’을 일으켰다. 이것은 ‘건강 = 녹차’에 대한 홍보가 ‘녹차 = 산 = 깨끗한 소주’라는 연상 이미지로 이어지는 효과를 겨냥한 것이다.
1) 1단계
산의 홍보를 위한 주요 모토는 선택적 집중화이다. 즉, 산의 타깃 밀집 지역 및 중점 업소 5000개 점을 선정하여 집중적으로 진입 초기에 공략하고, 신제품 샘플링 또한 철저하게 산 예상 음용층과 지인을 통해 시행했다. ‘산의 우수성과 차별적인 컨셉을 초기에 소비자에게 고지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판단하며 출시와 더불어 업소내 판촉 도우미 순회 프로모션을 대대적으로 펼쳤다.
2) 2단계
제품력에 대한 소비자의 긍정적인 반응과, 적극적인 영업으로 어느 정도 사입률 면에서 괘도에 올라선 산의 다음 전략은 소비자가 스스로 산을 찾는 자발적인 음용붐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마케팅에서는 숙취 감소 효능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홍보에 집중하고, 영업 면에서는 다량 소비 업소를 중심으로 한 공격적인 밀착 관리를 추진 했다.
1단계 광고 전략이 브랜드 고지와 컨셉 홍보가 중심이 되었다면 그 다음 단계는 소비자에게 산이 어떠한 이익을 주는 제품인지를 알려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주류BG는 소비자 스스로가 선택한 술임을 강조하기 위해 4월 9일부터 서울·경기·강원 지역 중심 상권에서 경쟁사 제품과 산의 맛을 비교하는 블라인드 테스트 형식의 ‘Test Challenge’를 진행하고, 대형 할인점에는 가정 시장의 활성을 위해 소비자 증정 행사를 지속적으로 시행했다.
공격적인 광고 전략의 하나로 대중 교통 수단을 이용한 브랜드 광고에 나섰다. 시내 버스와 지하철 1,2,3,4,호선에 총 1420개의 광고물 부착했다. 버스 및 지하철 광고는 단가가 저렴하면서도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버스 한 대의 하루 가시 인원은 약 116만 명에 달하며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소비자에게 계속 노출되기 때문에 설득 광고 유지력이 뛰어나다. 그러므로 산처럼 단기간 제품 광고를 집행하기에 지하철과 버스가 아주 적합한 매체이다.
3)3단계
수도권 시장의 소비자 접점 시장 내에서 소비자 음용율을 높이는 소비자 프로모션을 집중 시행하여 브랜드 선호도를 증대시켰다. 하반기 산의 차별적 강점인 ‘녹차 = 숙취 = 부드럽다’ 라는 컨셉을 소비자에게 소구하여 브랜드 인지도를 증대 시키는데 주력했다.
'산'의 이름에 걸맞게 산림청과 공동으로 지속적인 산불 방지 캠페인을 벌이고, 일부 환경단체와 공동으로 서울 및 수도권 주요 등산로에서 쓰레기를 주우며 깨끗한 우리 산 가꾸기 캠페인을 전개함으로써, 환경과 자연을 생각하는 '산'의 이미지를 형성해가고 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3.11.12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23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