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LAN(Local Area Network)
1.정의
2. 물리형태
① 링형
② 버스형
③ 성형
④ 트리형
3. 전송매체
4. 가상 LAN
① 세그먼트 형
② 포트형
③ 서브네트 형
5. 무선 LAN
6. 기타 LAN
1) HYPER-CHANNEL
(1) 하드웨어
(2) 소프트웨어
VPN(가상사설망 : Virtual Private Network)
1) VPN이란?
2) 도입 배경
3) 장점
4) 현황
1.정의
2. 물리형태
① 링형
② 버스형
③ 성형
④ 트리형
3. 전송매체
4. 가상 LAN
① 세그먼트 형
② 포트형
③ 서브네트 형
5. 무선 LAN
6. 기타 LAN
1) HYPER-CHANNEL
(1) 하드웨어
(2) 소프트웨어
VPN(가상사설망 : Virtual Private Network)
1) VPN이란?
2) 도입 배경
3) 장점
4) 현황
본문내용
호스트의 리모트 채널로서 복수의 장치를 작동시킨다. (로컬로는 최대 전송거리 4.5Km)
③ 링크 어댑터 : 원격지에 있는 복수의 HYPER-CHANNEL을 통신회선으로 접속하여 하나의 네트워크로서 작동하게 한다. (전송속도는 최대 44.7Mbps)
(2) 소프트웨어
① NETEX : 동/이기종 컴퓨간 통신용 시스템으로 OSI참조모델의 제 3층 (상부),제 4층, 제5층에 대응한다. 유저인터페이스를 가지며, 코드변환, 애플리케이션 다중, 데이터플록의 세그먼트화, 장애시의 자동우회등의 기능이 있다.
② BFX(Bulk File Transfer) : NETEX상의 파일전송용 소프트웨어로 OSI참조모델의 제 6층, 제7층을 지원한다. FP코드의 블록킹/디블록킹과 Job실행 등이 있다.
③ RDS드라이버 : RDS용 채널확장 드라이버. 호스트에 상주하며 리모트 장치가 채널에 직결되어 있는 것처럼 동작하게 한다.
2) ULTRANet
ULTRNet(울트라 네트)은 미국 울트라 네트워크 테크놀러지사의 슈퍼컴퓨터, 미니 슈퍼컴퓨터, 그래픽 컴퓨터 등을 위한 초고속(최대 1Mbps의 전송속도)의 네트워크 프로토콜 이다.
ULTRANet은 HUB와 HUB를 연결하는 최대 1Gbps의 광 파이버로 구성되며, 각 컴퓨터(Ultra VME 호스트 어댑터)와 HUB(Ultra 링크 어댑터)는 광파이버 또는 동축 케이블로 접속된다.
HUB에는 호스트와의 링크를 4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링크 멀티플렉서 4개와 4개의 Ethernet과 IP라우터 접속이 가능한 IP라우터 보드가 장치되어 있다.
호스트와의 접속은 전송속도 62.5/125/250Mbps의 전이중통신이다(최대 4Km). 호스트 내에는 OSI참조모델의 제1층에서 제4층까지가 하드웨어화 되어있고 (Ultra VME호스트 어댑터. 제 3층, 제 4층은 TCP/IP), 제 5층 이상은 소켓 인터페이스로서 TCP/IP, RCP, FTP, FTAM등의 서프루틴콜에 의해 사용가능하게 된다.
HUB내의 링크 멀티플렉서간은 125Mbps이상의 UltraBus로 결합되어 있다. ULTRANet는 4개층의 하드웨어화에 의해 실행속도(실질적인 전송속도)가 500Mbps(50%)까지 향상되었다. (FDDI에서는 15%,15Mbps)
VPN(가상사설망 : Virtual Private Network)
1) VPN이란?
공중 전화망상에 사설망을 구축해 줌으로써 이용자가 마치 자기의 사설 구내 망 또는 전화망과 같이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용자 입장에서는 사실상의 사설망을 경제적으로 구축할 수 있고, 통신 사업자 입장에서는 공중망 내에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축할 수 있다.
위의 그림을 보면 2개의 VPN에 많은 line과 node들이 연결되어 있다.
각 node들은 line 용량, call 요구량, data throughput, VPN이 지원하는 서비스의 범위에 따라 적절하게 분산되어 VPN에 할당된다.
Line과 전송 path와 같은 Internal Network 자원들은 VPN과 PSDN data traffic에 따라 적절하게 이용된다.
2) 도입 배경
1985년 미국 AT&T에서 최초로 SDN(software defined network) 서비스와 가상 전용선 서비스라는 명칭으로 도입하였는데, 통신망의 지능화로 기술적으로 가능하게 되었고, 이용자와 통신 사업자 쌍방에게 유익하기 때문에 그 후에 미국의 다른 장거리 사업자들이 잇따라 유사한 서비스를 도입하였다.
정보 기술의 급속한 진전으로 멀티미디어 환경, 인터넷 환경이 확산되면서 사용자의 대역폭 요구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환경에서 PSDN과 같은 통신망을 이용하여 Private Network의 특성과 이점을 유지하면서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 바로 VPN인 것이다. PSDN, ISDN, ATM과 같은 통신 인프라의 기반이 강화되고 있는 것이 VPN이 현실적으로 가능한 이유중의 하나이다.
3) 장점
통화량에 따라 요금이 부과되므로 이용자에게 유리하고, 공중망의 회선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통신 사업자에게도 유익하다.
4) 현황
최근에는 미국의 지역 전화 회사와 세계 각국의 공중 통신사업자가 여러 가지 고유의 명칭으로 가상 사설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미국 MCI의 'V net', US Sprint의 'VPN', 일본 NTT의 'Members Net', 한국 통신의 '가상 사설망', 데이콤의 '국제 가상 사설망' 등이 있다.
③ 링크 어댑터 : 원격지에 있는 복수의 HYPER-CHANNEL을 통신회선으로 접속하여 하나의 네트워크로서 작동하게 한다. (전송속도는 최대 44.7Mbps)
(2) 소프트웨어
① NETEX : 동/이기종 컴퓨간 통신용 시스템으로 OSI참조모델의 제 3층 (상부),제 4층, 제5층에 대응한다. 유저인터페이스를 가지며, 코드변환, 애플리케이션 다중, 데이터플록의 세그먼트화, 장애시의 자동우회등의 기능이 있다.
② BFX(Bulk File Transfer) : NETEX상의 파일전송용 소프트웨어로 OSI참조모델의 제 6층, 제7층을 지원한다. FP코드의 블록킹/디블록킹과 Job실행 등이 있다.
③ RDS드라이버 : RDS용 채널확장 드라이버. 호스트에 상주하며 리모트 장치가 채널에 직결되어 있는 것처럼 동작하게 한다.
2) ULTRANet
ULTRNet(울트라 네트)은 미국 울트라 네트워크 테크놀러지사의 슈퍼컴퓨터, 미니 슈퍼컴퓨터, 그래픽 컴퓨터 등을 위한 초고속(최대 1Mbps의 전송속도)의 네트워크 프로토콜 이다.
ULTRANet은 HUB와 HUB를 연결하는 최대 1Gbps의 광 파이버로 구성되며, 각 컴퓨터(Ultra VME 호스트 어댑터)와 HUB(Ultra 링크 어댑터)는 광파이버 또는 동축 케이블로 접속된다.
HUB에는 호스트와의 링크를 4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링크 멀티플렉서 4개와 4개의 Ethernet과 IP라우터 접속이 가능한 IP라우터 보드가 장치되어 있다.
호스트와의 접속은 전송속도 62.5/125/250Mbps의 전이중통신이다(최대 4Km). 호스트 내에는 OSI참조모델의 제1층에서 제4층까지가 하드웨어화 되어있고 (Ultra VME호스트 어댑터. 제 3층, 제 4층은 TCP/IP), 제 5층 이상은 소켓 인터페이스로서 TCP/IP, RCP, FTP, FTAM등의 서프루틴콜에 의해 사용가능하게 된다.
HUB내의 링크 멀티플렉서간은 125Mbps이상의 UltraBus로 결합되어 있다. ULTRANet는 4개층의 하드웨어화에 의해 실행속도(실질적인 전송속도)가 500Mbps(50%)까지 향상되었다. (FDDI에서는 15%,15Mbps)
VPN(가상사설망 : Virtual Private Network)
1) VPN이란?
공중 전화망상에 사설망을 구축해 줌으로써 이용자가 마치 자기의 사설 구내 망 또는 전화망과 같이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용자 입장에서는 사실상의 사설망을 경제적으로 구축할 수 있고, 통신 사업자 입장에서는 공중망 내에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축할 수 있다.
위의 그림을 보면 2개의 VPN에 많은 line과 node들이 연결되어 있다.
각 node들은 line 용량, call 요구량, data throughput, VPN이 지원하는 서비스의 범위에 따라 적절하게 분산되어 VPN에 할당된다.
Line과 전송 path와 같은 Internal Network 자원들은 VPN과 PSDN data traffic에 따라 적절하게 이용된다.
2) 도입 배경
1985년 미국 AT&T에서 최초로 SDN(software defined network) 서비스와 가상 전용선 서비스라는 명칭으로 도입하였는데, 통신망의 지능화로 기술적으로 가능하게 되었고, 이용자와 통신 사업자 쌍방에게 유익하기 때문에 그 후에 미국의 다른 장거리 사업자들이 잇따라 유사한 서비스를 도입하였다.
정보 기술의 급속한 진전으로 멀티미디어 환경, 인터넷 환경이 확산되면서 사용자의 대역폭 요구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환경에서 PSDN과 같은 통신망을 이용하여 Private Network의 특성과 이점을 유지하면서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 바로 VPN인 것이다. PSDN, ISDN, ATM과 같은 통신 인프라의 기반이 강화되고 있는 것이 VPN이 현실적으로 가능한 이유중의 하나이다.
3) 장점
통화량에 따라 요금이 부과되므로 이용자에게 유리하고, 공중망의 회선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통신 사업자에게도 유익하다.
4) 현황
최근에는 미국의 지역 전화 회사와 세계 각국의 공중 통신사업자가 여러 가지 고유의 명칭으로 가상 사설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미국 MCI의 'V net', US Sprint의 'VPN', 일본 NTT의 'Members Net', 한국 통신의 '가상 사설망', 데이콤의 '국제 가상 사설망'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