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전통문화란 무엇인가?
2. 현대에 계승되어지는 전통문화
3. 사라져 가는 전통문화(傳統文化) 관혼상제
1) 관례(官隷)
2) 혼례(婚禮)
3) 상례(常禮)
4) 제례(祭禮)
Ⅲ. 결 론
Ⅱ. 본 론
1. 전통문화란 무엇인가?
2. 현대에 계승되어지는 전통문화
3. 사라져 가는 전통문화(傳統文化) 관혼상제
1) 관례(官隷)
2) 혼례(婚禮)
3) 상례(常禮)
4) 제례(祭禮)
Ⅲ. 결 론
본문내용
독개(蓋)를 덮은 다음 가묘로 환봉(還奉)하는데, 주인 이하가 따른다. 그 후 집사자는 진설한 제물을 물린다.
다음은 제례의 준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① 기구진설 : 대청이나 정침(正寢)의 북쪽 벽 한가운데에 병풍을 두르고 교의(交椅)를설치한다.
교의 앞에 제상(祭床)을 놓고 제상 앞에 향안(香案)을 놓으며, 향안 위에는 향로와 향합(香盒)을 놓고, 그 앞에는 모사(茅砂) 그릇을 놓는다. 향안 옆에는 주가(酒架)를 놓고 그 위에는 술주전자·강신잔반(降神盞盤)을 놓는다.
② 제물진설 : 시접(匙)·잔반을 신위 앞에 놓고, 과실·포(脯)·해()·소채(蔬菜) 등을 제자리에 진설한다.
③ 신위의 설치 : 질명(質明:먼동이 트려 할 때)에 주인 이하 모두 복장을 갖추고 사당에 나아간다. 주인이 문을 열고 들어가 분향하고 꿇어앉아 사유(事由)를 고한 뒤에 신주를 받들고 나와서 교의에 모신다. 사당이 없을 때는 지방(紙榜)을 써서 교의에 모신다.
지방의 서식은 다음과 같다.
① 아버지일 경우 : 현고(懸鼓) 모관부군(某官府君) 신위(神位)
) 아버님 무슨 벼슬을 지내신 어른 신위라는 뜻
, 할아버지이면 顯祖考, 증조할아버지이면 顯曾祖考로 쓰며, 某官은 벼슬 이름을 쓰는데, 벼슬하지 아니하였으면 학생(學生)이라 쓴다.
② 어머니일 경우 : 현(懸) 모봉(某封) 모씨(某氏) 신위(神位)
) 어머님 무슨 부인, 본관성씨의 신위라는 뜻
, 할머니이면 顯祖, 증조할머니이면 顯曾祖로 쓰며, 某封은 남편의 벼슬 품계에 따른 정경부인(貞敬夫人)·정부인(貞夫人)·숙부인(淑夫人) 등의 봉호(封號)를 쓴다. 벼슬이 없으면 孺人(유인)이라 쓴다.
내외분을 합설(合設)하여 제사지낼 때는 고위(考位)를 서쪽, 비위(位)를 동쪽에 모신다.
그러나 오늘날 이러한 제례의 풍습 역시 가정의례준칙
) 가정의례준칙에 의거한 제례
제례란 기제 ·절사(節祀) ·연시제(年始祭)의 의식절차를 말하는데 기제는 그 대상을 제주(祭主)로부터 2대조(부모 ·조부모 ·배우자 ·자손이 없는 삼촌 이내)까지로 하며 매년 사망한 날 해진 뒤에 제주의 가정에서 지내고, 참례자의 범위는 사망자의 직계자손으로 한다. 절사에서는 그 대상을 직계조상으로 하며 매년 추석절 아침에 종손의 가정에서 지낸다. 또한, 연시제는 그 대상과 장소와 참례자의 범위를 기제에 준하게 하였으며 1월 1일 아침에 지낸다. 또 제수(祭需)는 평상시의 간소한 반상 음식으로 자연스럽게 차리며, 절사의 경우에는 떡(송편)으로, 연시제의 경우에는 떡국으로 밥을 대신할 수 있다. 한편, 신위는 고인(故人)의 사진으로 하되, 사진이 없는 경우에는 지방(紙榜)으로 대신한다. 지방은 백지(白紙) 위에 먹을 써서 한글로 쓰고 크기는 가로 5 cm, 길이 15 cm 로 한다. 한편 제례의 절차에 있어서 혼령(魂靈)을 모시기 위하여 제주가 우선 분향하고 모사(茅沙)에 술을 부으면 참사자는 신위에 재배(再拜)한다. 그리고 잔을 올린 다음 참사자들은 재배하고 제주가 축문을 읽으면 참사자는 묵념한다. 제상을 물리기 전에 국그릇 대신 물그룻을 놓고 수저를 꽂은 후 참사자는 일제히 재배한다.
에 의거하여 많이 간소화 되었으며, 그리스도나 천주교 등의 전파로 제례를 그들만의 방식으로 치르는 집도 늘고 있는 추세이다.
Ⅲ. 결 론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우리의 전통문화(傳統文化)인 관혼상제(冠婚喪祭)의 풍습들은 시간이 지나옴에 따라 현대를 대변하는 새로운 문화로 점차 변모되어 우리의 삶에 새로이 자리 매김하고 있다. 관례(官隷)의 문화는 거의 사라졌으며 혼례(婚禮), 상례(常禮), 제례(祭禮)는 절차와 형식이 대폭 간소화되어 행해지고 있다. 관혼상제(冠婚喪祭)의 문화는 우리 민족의 정서를 대변하는 것으로 그 정신적 의미만큼은 절대로 퇴색되어서는 안된다. 예를 알고 어른을 공경하는 문화가 우리의 발전의 원동력이 되었고, 지금 닥쳐있는 경제적 위기도 이러한 정신문화로부터 이겨나갈 힘의 근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지금 우리에게는 세계화시대에 우리 민족의 고유문화를 보존하고 '가장 전통적인 것이 세계적이다.'라는 캐치플레이처럼 '전통문화의 현대화'가 절실하다. 따라서 우리민족의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서는 전통문화를 재창조하되, 우리 문화의 고유성, 독창성과 세계 문화의 보편성, 다양성을 접목시켜 우리 문화를 세계 문화로 승화시키고 세계인의 공감을 얻을 수 있도록 현대적으로 계승, 발전시켜야 한다. 어느 문화든 그 배경에는 그 나라에 알맞은 사회의식이나 사상, 가치관 등이 뒷받침되고 있으며, 우리 고유의 전통문화는 단절되어서도 안되고 위축되어서도 안되며 부단한 노력으로 인류 문화의 다양성과 풍요성을 촉발하는 촉매가 되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서 이렇게 현대적으로 재창조된 우리 전통문화를 세계인의 구미에 맞는 고부가가치의 상품으로 개발시켜야 한다. 우리는 우리의 소중한 전통을 새롭게 인식하고 재창조하는 것이 도시화, 산업화로 인한 부작용을 막을 수 있고 계층간의 이질감을 해소할 수 있는 따뜻한 사회를 만들 수 있는 지름길이라는 것을 하루 빨리 깨달아야 한다.
※ 참고문헌
《한국생활문화 100년》, 전완길 외 8명 공저, 1996년 9월5일, 도서출판 장원
《한국민속과 오늘의 문화》, 지식산업사, 임재해 1994
《우리문화 길라잡이》, 학고재, 국립국어연구원지음 2002
《한국 민속의 세계 제2권》,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윤사순 2001
※ 참고 인터넷 URL
《http://www.etiquette.or.kr/》한국예절문화원
《http://100.empas.com/》엠파스 백과사전
《http://www.100.naver.com/》네이버 검색
《http://gopark.0za.to/》 Traditional marriage
《http://www.softbench.co.kr/》
《chttp://myhome.naver.com/khyoook/》
《http://www.gongganfilm.com/tradition/cmath.htm》
《http://dacheon.net/rituals2.htm》
《http://my.dreamwiz.com/cbhwa/text/60.htm》
다음은 제례의 준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① 기구진설 : 대청이나 정침(正寢)의 북쪽 벽 한가운데에 병풍을 두르고 교의(交椅)를설치한다.
교의 앞에 제상(祭床)을 놓고 제상 앞에 향안(香案)을 놓으며, 향안 위에는 향로와 향합(香盒)을 놓고, 그 앞에는 모사(茅砂) 그릇을 놓는다. 향안 옆에는 주가(酒架)를 놓고 그 위에는 술주전자·강신잔반(降神盞盤)을 놓는다.
② 제물진설 : 시접(匙)·잔반을 신위 앞에 놓고, 과실·포(脯)·해()·소채(蔬菜) 등을 제자리에 진설한다.
③ 신위의 설치 : 질명(質明:먼동이 트려 할 때)에 주인 이하 모두 복장을 갖추고 사당에 나아간다. 주인이 문을 열고 들어가 분향하고 꿇어앉아 사유(事由)를 고한 뒤에 신주를 받들고 나와서 교의에 모신다. 사당이 없을 때는 지방(紙榜)을 써서 교의에 모신다.
지방의 서식은 다음과 같다.
① 아버지일 경우 : 현고(懸鼓) 모관부군(某官府君) 신위(神位)
) 아버님 무슨 벼슬을 지내신 어른 신위라는 뜻
, 할아버지이면 顯祖考, 증조할아버지이면 顯曾祖考로 쓰며, 某官은 벼슬 이름을 쓰는데, 벼슬하지 아니하였으면 학생(學生)이라 쓴다.
② 어머니일 경우 : 현(懸) 모봉(某封) 모씨(某氏) 신위(神位)
) 어머님 무슨 부인, 본관성씨의 신위라는 뜻
, 할머니이면 顯祖, 증조할머니이면 顯曾祖로 쓰며, 某封은 남편의 벼슬 품계에 따른 정경부인(貞敬夫人)·정부인(貞夫人)·숙부인(淑夫人) 등의 봉호(封號)를 쓴다. 벼슬이 없으면 孺人(유인)이라 쓴다.
내외분을 합설(合設)하여 제사지낼 때는 고위(考位)를 서쪽, 비위(位)를 동쪽에 모신다.
그러나 오늘날 이러한 제례의 풍습 역시 가정의례준칙
) 가정의례준칙에 의거한 제례
제례란 기제 ·절사(節祀) ·연시제(年始祭)의 의식절차를 말하는데 기제는 그 대상을 제주(祭主)로부터 2대조(부모 ·조부모 ·배우자 ·자손이 없는 삼촌 이내)까지로 하며 매년 사망한 날 해진 뒤에 제주의 가정에서 지내고, 참례자의 범위는 사망자의 직계자손으로 한다. 절사에서는 그 대상을 직계조상으로 하며 매년 추석절 아침에 종손의 가정에서 지낸다. 또한, 연시제는 그 대상과 장소와 참례자의 범위를 기제에 준하게 하였으며 1월 1일 아침에 지낸다. 또 제수(祭需)는 평상시의 간소한 반상 음식으로 자연스럽게 차리며, 절사의 경우에는 떡(송편)으로, 연시제의 경우에는 떡국으로 밥을 대신할 수 있다. 한편, 신위는 고인(故人)의 사진으로 하되, 사진이 없는 경우에는 지방(紙榜)으로 대신한다. 지방은 백지(白紙) 위에 먹을 써서 한글로 쓰고 크기는 가로 5 cm, 길이 15 cm 로 한다. 한편 제례의 절차에 있어서 혼령(魂靈)을 모시기 위하여 제주가 우선 분향하고 모사(茅沙)에 술을 부으면 참사자는 신위에 재배(再拜)한다. 그리고 잔을 올린 다음 참사자들은 재배하고 제주가 축문을 읽으면 참사자는 묵념한다. 제상을 물리기 전에 국그릇 대신 물그룻을 놓고 수저를 꽂은 후 참사자는 일제히 재배한다.
에 의거하여 많이 간소화 되었으며, 그리스도나 천주교 등의 전파로 제례를 그들만의 방식으로 치르는 집도 늘고 있는 추세이다.
Ⅲ. 결 론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우리의 전통문화(傳統文化)인 관혼상제(冠婚喪祭)의 풍습들은 시간이 지나옴에 따라 현대를 대변하는 새로운 문화로 점차 변모되어 우리의 삶에 새로이 자리 매김하고 있다. 관례(官隷)의 문화는 거의 사라졌으며 혼례(婚禮), 상례(常禮), 제례(祭禮)는 절차와 형식이 대폭 간소화되어 행해지고 있다. 관혼상제(冠婚喪祭)의 문화는 우리 민족의 정서를 대변하는 것으로 그 정신적 의미만큼은 절대로 퇴색되어서는 안된다. 예를 알고 어른을 공경하는 문화가 우리의 발전의 원동력이 되었고, 지금 닥쳐있는 경제적 위기도 이러한 정신문화로부터 이겨나갈 힘의 근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지금 우리에게는 세계화시대에 우리 민족의 고유문화를 보존하고 '가장 전통적인 것이 세계적이다.'라는 캐치플레이처럼 '전통문화의 현대화'가 절실하다. 따라서 우리민족의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서는 전통문화를 재창조하되, 우리 문화의 고유성, 독창성과 세계 문화의 보편성, 다양성을 접목시켜 우리 문화를 세계 문화로 승화시키고 세계인의 공감을 얻을 수 있도록 현대적으로 계승, 발전시켜야 한다. 어느 문화든 그 배경에는 그 나라에 알맞은 사회의식이나 사상, 가치관 등이 뒷받침되고 있으며, 우리 고유의 전통문화는 단절되어서도 안되고 위축되어서도 안되며 부단한 노력으로 인류 문화의 다양성과 풍요성을 촉발하는 촉매가 되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서 이렇게 현대적으로 재창조된 우리 전통문화를 세계인의 구미에 맞는 고부가가치의 상품으로 개발시켜야 한다. 우리는 우리의 소중한 전통을 새롭게 인식하고 재창조하는 것이 도시화, 산업화로 인한 부작용을 막을 수 있고 계층간의 이질감을 해소할 수 있는 따뜻한 사회를 만들 수 있는 지름길이라는 것을 하루 빨리 깨달아야 한다.
※ 참고문헌
《한국생활문화 100년》, 전완길 외 8명 공저, 1996년 9월5일, 도서출판 장원
《한국민속과 오늘의 문화》, 지식산업사, 임재해 1994
《우리문화 길라잡이》, 학고재, 국립국어연구원지음 2002
《한국 민속의 세계 제2권》,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윤사순 2001
※ 참고 인터넷 URL
《http://www.etiquette.or.kr/》한국예절문화원
《http://100.empas.com/》엠파스 백과사전
《http://www.100.naver.com/》네이버 검색
《http://gopark.0za.to/》 Traditional marriage
《http://www.softbench.co.kr/》
《chttp://myhome.naver.com/khyoook/》
《http://www.gongganfilm.com/tradition/cmath.htm》
《http://dacheon.net/rituals2.htm》
《http://my.dreamwiz.com/cbhwa/text/60.htm》
추천자료
교육 계획 및 운영의 실제(교육계획의 근본원칙, 교육계획안작성, 전통문화교육, 장애유아통...
『 노인에 의한 교육 』 - 조손 가정 아동들을 위한 전통문화 체험교실
2014년 1학기 일본전통문화론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4년 1학기 일본전통문화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4년 1학기 일본전통문화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한글) 전통문화의 콘텐츠화!HANGUL[한글]. FAMO [발묵]. LANDSCAPE[산수화]. DANCHEONG[단청...
2017년 1학기 일본전통문화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일본전통문화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일본전통문화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일본전통문화론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1학기 일본전통문화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베트남 자료조사(베트남에 대한 모든 것-기본정보 전통문화 등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