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산소 포화도 측정기 ( Pulse Oximeter )
2.Suction
3.Phototherapy
4.보육기(Incubator)
5.위관영양(Gavage feeding)
6.IV infilteration
7.O₂inhalation
8.기관내 삽관(Endotracheal Intubation)
2.Suction
3.Phototherapy
4.보육기(Incubator)
5.위관영양(Gavage feeding)
6.IV infilteration
7.O₂inhalation
8.기관내 삽관(Endotracheal Intubation)
본문내용
에 입술이 끼지 않도록 한다
- 후두경은 왼손으로 잡는다
- 환자의 치열사이에 블레이드를 삽입
- 입안 우측으로 들이밀며 혀를 좌측으로 눌러 재친다
- 블레이드를 밀어넣어서 설근과 후두개사이의 홈으로 진입시킨다
- 블레이드로 후두개를 덮는 일이 없도록 한다
- 후두경을 위, 앞쪽으로 당겨올린다 : 이렇게 하면 설근과 후두개가 들어올려져 후두가 잘 보이게 된다
- 후두경을 지렛대로 사용하지 않는다
6. 기관내 튜브를 삽입
- 튜브의 끝면(베벨)이 옆으로 향하도록 오른손으로 잡고 성문사이로 미끌어 들어가게 한다
- 커프의 앞끝(proximal end)이 성대 바로 밑에 위치하도록 밀어넣는다
- 후두경을 빼낸다
- 튜브를 단단히 쥐고 스타일렛을 빼낸다
7. 튜브의 위치가 적절한가를 확인
- 튜브를 단단히 잡아 유지
- 양압 호흡고무백에 100%산소를 접속시키고 간헐적 양압을 가마현서 양측 가슴이 부풀어 오르도록 확인
- 청진으로 양측에 비슷하게 공기가 들어가도록 확인
8. 커프를 부풀린다
- 양압환자에서도 튜브 주위에서 새어나오는 소리가 들리지 않을 만큼 부풀린다
- 성인에서는 보통 4 ml의 공기가 최대치
9. 기관내 튜브의 고정
- 기관내 튜브를 입술에서 3 cm 이상 돌출되지 않도록 절단
- 구강인두 기도관(airway)을 삽입
- 볼에 벤조인 팅크를 바르고
- 입에서 나와 있는 위치에서 튜브를 볼에다 반창고로 단단히 고정
발관(Extubation)
1. 인두를 흡인하여 분비물을 제거
2. 기관내 튜브를 흡인
- 흡인은 10초 이내
- 분비물이 없으면 불필요
3. 환자에게 환기시킨다
- 호흡 고무백에 100% 산소를 이용
- 몇번 심호흡을 시킨다
4. 튜브 제거
- 커프를 꺼트린다
- 심호흡 후에 튜브를 제거
- 산소마스크를 장착
합병증
1. 국소손상
a. 원인
- 너무 험한 조작으로 입술, 잇몸, 혀, 인두, 성대, 기관 등에 상처
- 앞윗니를 버팀으로 사용하면 치아가 빠질 수 있다
b. 예방
- 조심스럽게 밀어넣으면서 충분한 시야를 확보
- 후두경을 지렛대로 사용하지 말 것
2. 부정맥
a. 원인 : 산소부족, 또는 높은 탄산혈증때의 미주신경 또는 교감신경의 과다자극
3. 위내용물의 기관내 흡인
a. 원인 : 구토 또는 위내용물의 수동적 역류에 의한 기관내 흡인
b. 예방
- 마스크만의 장시간 환기를 피한다(위 팽만 위험이 있다)
- 삽관중에는 복부를 압박하여 위내압을 상승시키는 일이 없게 한다
- 재빠르게 삽관한다 : 깨어있는 환자는 구토를 유발
4. 식도내 삽관
a. 원인 : 성대로 가는 시야가 불충분하여 잘못 식도에 집어넣었을 때
b. 예방 : 성대를 정확히 보면서 삽관할 것
5. 기관지 삽관
a. 원인 : 기관내 삽관을 너무 깊게 하여 우측 주기관지에 넣었을 때
b. 예방
- 커프가 성대 바로밑에 있을 만큼 삽입
- 튜브를 단단히 제위치에 고정. 테이프를 튜브끝에 고정시키지 말고 입에서 나온 자리에 고정
6. 다른 합병증은 삽관기술 자체보다 기관내 튜브 자체에 기인. 중요한 것 가운데 성문부종, 기관연화증, 기관협착 등
- 후두경은 왼손으로 잡는다
- 환자의 치열사이에 블레이드를 삽입
- 입안 우측으로 들이밀며 혀를 좌측으로 눌러 재친다
- 블레이드를 밀어넣어서 설근과 후두개사이의 홈으로 진입시킨다
- 블레이드로 후두개를 덮는 일이 없도록 한다
- 후두경을 위, 앞쪽으로 당겨올린다 : 이렇게 하면 설근과 후두개가 들어올려져 후두가 잘 보이게 된다
- 후두경을 지렛대로 사용하지 않는다
6. 기관내 튜브를 삽입
- 튜브의 끝면(베벨)이 옆으로 향하도록 오른손으로 잡고 성문사이로 미끌어 들어가게 한다
- 커프의 앞끝(proximal end)이 성대 바로 밑에 위치하도록 밀어넣는다
- 후두경을 빼낸다
- 튜브를 단단히 쥐고 스타일렛을 빼낸다
7. 튜브의 위치가 적절한가를 확인
- 튜브를 단단히 잡아 유지
- 양압 호흡고무백에 100%산소를 접속시키고 간헐적 양압을 가마현서 양측 가슴이 부풀어 오르도록 확인
- 청진으로 양측에 비슷하게 공기가 들어가도록 확인
8. 커프를 부풀린다
- 양압환자에서도 튜브 주위에서 새어나오는 소리가 들리지 않을 만큼 부풀린다
- 성인에서는 보통 4 ml의 공기가 최대치
9. 기관내 튜브의 고정
- 기관내 튜브를 입술에서 3 cm 이상 돌출되지 않도록 절단
- 구강인두 기도관(airway)을 삽입
- 볼에 벤조인 팅크를 바르고
- 입에서 나와 있는 위치에서 튜브를 볼에다 반창고로 단단히 고정
발관(Extubation)
1. 인두를 흡인하여 분비물을 제거
2. 기관내 튜브를 흡인
- 흡인은 10초 이내
- 분비물이 없으면 불필요
3. 환자에게 환기시킨다
- 호흡 고무백에 100% 산소를 이용
- 몇번 심호흡을 시킨다
4. 튜브 제거
- 커프를 꺼트린다
- 심호흡 후에 튜브를 제거
- 산소마스크를 장착
합병증
1. 국소손상
a. 원인
- 너무 험한 조작으로 입술, 잇몸, 혀, 인두, 성대, 기관 등에 상처
- 앞윗니를 버팀으로 사용하면 치아가 빠질 수 있다
b. 예방
- 조심스럽게 밀어넣으면서 충분한 시야를 확보
- 후두경을 지렛대로 사용하지 말 것
2. 부정맥
a. 원인 : 산소부족, 또는 높은 탄산혈증때의 미주신경 또는 교감신경의 과다자극
3. 위내용물의 기관내 흡인
a. 원인 : 구토 또는 위내용물의 수동적 역류에 의한 기관내 흡인
b. 예방
- 마스크만의 장시간 환기를 피한다(위 팽만 위험이 있다)
- 삽관중에는 복부를 압박하여 위내압을 상승시키는 일이 없게 한다
- 재빠르게 삽관한다 : 깨어있는 환자는 구토를 유발
4. 식도내 삽관
a. 원인 : 성대로 가는 시야가 불충분하여 잘못 식도에 집어넣었을 때
b. 예방 : 성대를 정확히 보면서 삽관할 것
5. 기관지 삽관
a. 원인 : 기관내 삽관을 너무 깊게 하여 우측 주기관지에 넣었을 때
b. 예방
- 커프가 성대 바로밑에 있을 만큼 삽입
- 튜브를 단단히 제위치에 고정. 테이프를 튜브끝에 고정시키지 말고 입에서 나온 자리에 고정
6. 다른 합병증은 삽관기술 자체보다 기관내 튜브 자체에 기인. 중요한 것 가운데 성문부종, 기관연화증, 기관협착 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