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궁궐에관한과제-경희궁을다녀와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궐(西闕) 경희궁

2.흥화문

3.숭정문과 숭정전

4.자정전

5.그 밖의 건물들

6.추적 경희궁의 모습

본문내용

그 부속건물등이 있고, 그 동쪽과 남쪽에는 많은 내당이 벌려있어 생활기거공간을 형성하였다. 가장 북쪽의 광명전과 장악전을 둘러싼 지역은 휴식공간인 내원이며, 이곳에는 정자가 많이 있었다고 한다.
내가 다녀온 궁궐은 경희궁이 아니고 창덕궁이었으나 창덕궁은 후원인 비원으로써 널리 알려져 있어서 그보다 사람들이 많이 모르고 있는 경희궁에 대해 알고 싶어서 경희궁으로 주제를 바꾸게 되었다. 경희궁은 현재 복원이 되고 있다고는 하나 아직도 참담한 실정이었다. 예전 건물이 그렇게나 많았다던 모습은 온데간데없고 단지 건물 몇 개로 궁궐의 이름을 이어가고 있는 실정이었다. 경희궁은 우리나라의 5대 고궁이라 할 만큼 그 명성과 아름다움이 대단했다고 했다. 그러나 본래 5대 고궁에 들어가 있어야 할 경희궁의 이름대신 사람들은 종묘를 집어넣어 5대 고궁 역할의 빠진 부분을 자리 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종묘는 본래 사당이지 궁궐이 아니다. 이렇게 사람들에게 푸대접을 받고 있는 경희궁의 보이지 않는 아름다운 모습이 언젠가는 보이길 기대하고 싶다. 경희궁에 대해 조사하면서 한가지 또 놀라움을 금치 못한 것은 우리 조상들의 건축 기술은 참으로 대단했다는 것이다. 경희궁이 다 지어지면 확연히 드러나겠지만 경희궁이 세워진 곳은 원래 경사진 언덕이다. 그러나 우리 조상들은 그 언덕을 월대로 아주 훌륭하게 극복해 냈다. 이번 기회의 궁궐에 대해 많이 알게 되면서 서양 건물에 못지 않은 우리의 궁궐을 보고 자부심을 느끼게 되었다. 나중에 교사가 되면 아이들을 궁궐로 자주 데리고 가서 우리 궁궐의 아름다움과 훌륭함을 깨닫게 해주어야 겠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3.11.22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40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