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문
2. `레 미제라블`의 메시지
3. `레 미제라블`과 한국
4. 결 론
2. `레 미제라블`의 메시지
3. `레 미제라블`과 한국
4. 결 론
본문내용
용서하는 신부의 모습에 가슴을 쓸어내리면서도, 붉은 기를 흔들며 바리케이드를 쌓고 그 위에서 정부에 맞서 싸우는 혁명군들을 진정으로 이해하지 못한다. 이들이 이해하고 있는 수준은 차라리 학예회 연극정도 이다.
4. 결 론
'레 미제라블'은 우리에게 더 이상 동화 '장발장'으로서 한 인간의 불쌍한 생애와 등장인물들간에 펼쳐지는 낭만적인 이야기로 보여지는 것은 부족하다. 또한 자본주의로 포장되어진 뮤지컬, 영화를 단지 화려한 스펙터클로만 바라보는 것도 부족하다. 최소한 '레 미제라블'이 프랑스의 혁명정신을 담고 있는 작품이라고 바라보아질 때만이 그 진정한 의미가 있다. 물론 프랑스의 혁명정신을 담고 있다고 해서 우리와는 거리가 먼 남의 나라 얘기는 아니다. '레 미제라블'이 사회적 약자의 편에서 개혁에 대한 희망과 낙관을 얘기해 주기에 우리에게 '레 미제라블'은 아직 유효하다. 우리 사회의 한편에는 호의호식하며 화려함에 빠져있는 사회계층이 있는 반면, 아직 "남자들이 무지와 절망 속에서 신음"하고 "여자들이 빵을 얻기 위해서 몸을 내놓아야 하는" 곳에, 그리고 아이들이 "머리를 깨우고 마음을 덥힐 책을 구하기"는 커녕 점심 끼니마저 챙기지 못하는 곳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 사회에서 서구의 혁명정신과 한국역사속의 혁명들을 재조명하는 과정에서 우리 스스로에 대한 오리엔탈리즘에서 벗어나 새로운 인식을 통해 시민의식이 더욱 향상된다면 프랑스보다 더 이상적인 사회가 되리라 확신한다. 시민이 중심이 되고, 소외계층을 돌볼줄 아는, '레 미제라블'의 판틴의 분노와 마리우스의 총이 필요없는 사회로 말이다.
4. 결 론
'레 미제라블'은 우리에게 더 이상 동화 '장발장'으로서 한 인간의 불쌍한 생애와 등장인물들간에 펼쳐지는 낭만적인 이야기로 보여지는 것은 부족하다. 또한 자본주의로 포장되어진 뮤지컬, 영화를 단지 화려한 스펙터클로만 바라보는 것도 부족하다. 최소한 '레 미제라블'이 프랑스의 혁명정신을 담고 있는 작품이라고 바라보아질 때만이 그 진정한 의미가 있다. 물론 프랑스의 혁명정신을 담고 있다고 해서 우리와는 거리가 먼 남의 나라 얘기는 아니다. '레 미제라블'이 사회적 약자의 편에서 개혁에 대한 희망과 낙관을 얘기해 주기에 우리에게 '레 미제라블'은 아직 유효하다. 우리 사회의 한편에는 호의호식하며 화려함에 빠져있는 사회계층이 있는 반면, 아직 "남자들이 무지와 절망 속에서 신음"하고 "여자들이 빵을 얻기 위해서 몸을 내놓아야 하는" 곳에, 그리고 아이들이 "머리를 깨우고 마음을 덥힐 책을 구하기"는 커녕 점심 끼니마저 챙기지 못하는 곳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 사회에서 서구의 혁명정신과 한국역사속의 혁명들을 재조명하는 과정에서 우리 스스로에 대한 오리엔탈리즘에서 벗어나 새로운 인식을 통해 시민의식이 더욱 향상된다면 프랑스보다 더 이상적인 사회가 되리라 확신한다. 시민이 중심이 되고, 소외계층을 돌볼줄 아는, '레 미제라블'의 판틴의 분노와 마리우스의 총이 필요없는 사회로 말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