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Ⅰ. 사회문제란
1. 사회문제의 정의
2. 사회문제 정의의 유형
3. 사회문제의 특성
Ⅱ. 사회문제에 대한 사회과학적 인식
1. 왜 사회문제를 연구하는가
2. 사회문제의 인식에는 가치가 개입된다
3. 사회문제를 규정하는 기준은 항시 변화한다
4. 사회문제는 문화적 상대성에 기초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5. 사회문제가 사회규범을 바꿀 수 있다
6. 사회문제는 체계론적 사고로 이해되어야 한다
7. 사회문제에 대한 과학적 인식이 결핍된 이유
Ⅲ. 사회문제의 원인
1. 기능주의 이론
2. 갈등주의 이론
3. 상호작용주의 이론 및 교환주의 이론
3. 결론
2. 본론
Ⅰ. 사회문제란
1. 사회문제의 정의
2. 사회문제 정의의 유형
3. 사회문제의 특성
Ⅱ. 사회문제에 대한 사회과학적 인식
1. 왜 사회문제를 연구하는가
2. 사회문제의 인식에는 가치가 개입된다
3. 사회문제를 규정하는 기준은 항시 변화한다
4. 사회문제는 문화적 상대성에 기초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5. 사회문제가 사회규범을 바꿀 수 있다
6. 사회문제는 체계론적 사고로 이해되어야 한다
7. 사회문제에 대한 과학적 인식이 결핍된 이유
Ⅲ. 사회문제의 원인
1. 기능주의 이론
2. 갈등주의 이론
3. 상호작용주의 이론 및 교환주의 이론
3. 결론
본문내용
양 집단과 접촉하게되고 이러한 접촉과정에서 개인이 사회적 규범에 위배되는 집단의 정의와 행위에 의한 영향을 더 크게 받음으로써 그들의 규범과 상황규정을 배우게 된다.
- 접촉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반도, 지속기간, 강도 등이다.
2. 갈등주의 이론
① 가치 갈등주의
- 현대 갈등주의와 같은 지적인 배경을 가지고 있다.
- 사회의 다양한 가치를 지닌 집단들의 가치차이로부터 사회문제가 발생한다.
- 사회문제는 사회의 권력적 우위를 점하는 집단이 공유하는 가치관에 의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판단된 형상일 뿐이다.
- 어떤 행위를 하는 사회의 한 집단의 가치가 다른 집단의 가치와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보고 사회의 지배적인 집단의 가치와 양립할 수 없는 것을 사회문제로 정의한다.
② 사회긴장론
- 사회적 관계에는 개인간, 개인과 집단 간, 그리고 집단 간에 불화, 대립, 알력, 투쟁 등이 계속되는 긴장상태가 발생하는 것을 보고 이러한 긴장상태를 사회문제로 본다.
- 사회적 긴장에는 여러 형태가 있고 그 원인도 다양하다.
- 문화적 갈등에 의한 사회긴장론으로, 이질적인 문화와 접촉이 있을 때 그러한 문화에 인간 행동의 핵심적인 가치규범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반하는 가치규범으로 인한 갈등이 생기고 갈등이 계속되면 긴장상태가 발생하게 된다는 것이다.
3. 상호작용주의 이론 및 교환주의 이론
① 관심의 초점을 개인간의 상호작용과정과 상호작용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결과에 두는 이론적 시각이다.
② 낙인이론
- 상징적인 상호작용 이론을 사회적 일탈행위로 설명하는데 적용한 것이다.
- 현상이나 행위가 일반대중이나 사회통제간의 관심의 대상이 되기 시작하여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됨으로써 문제가 된다는 것이다.
- 최초에 낙인찍는 일탈행동을 일차적 일탈행동이라 한다.
- 최초에 낙인으로 인해 유발된 일탈행동을 이차적 일탈행동이라 한다.
※ 이론에 의하면 문제를 보다 논리적이고 합리적으로 원인을 규명할 수 있다.
※ 한 이론적 시각이든 여러 이론적 시각이든 문제의 원인이 거시적인지 아니면 미시적인지 또는 양쪽에 다 있는지 규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결 론 ☜
사회문제에 대한 사회복지학적 접근은 문제를 해결하는데 초점을 두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그러나 문제의 해결도 다양한 차원이 존재한다. 즉, 사회문제의 최종적인 해결의 차원, 사회문제의 근본적인 원인 제거의 차원, 그리고 그 문제로 인하여 파생되는 부작용이나 고통을 최소화하는 차원 등으로 나눌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문제해결의 차원 중에서 어디까지가 사회복지학이 개입해야 하는 차원인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 지금 사회복지학을 배우는 과정에 있는 우리로서는 많은 학문적인 논의를 통하여 그에 대한 해답을 찾아야 할 것이다.
♣ 참 고 문 헌 ♣
- 사회문제론. 원석조. 양서원 2002년
-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최선화외 4인 공저 양서원 1999년
- 사회복지학 연구 송정부 법지사 1999년
-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최일섭·최성재 나남출판 1999년
- 접촉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반도, 지속기간, 강도 등이다.
2. 갈등주의 이론
① 가치 갈등주의
- 현대 갈등주의와 같은 지적인 배경을 가지고 있다.
- 사회의 다양한 가치를 지닌 집단들의 가치차이로부터 사회문제가 발생한다.
- 사회문제는 사회의 권력적 우위를 점하는 집단이 공유하는 가치관에 의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판단된 형상일 뿐이다.
- 어떤 행위를 하는 사회의 한 집단의 가치가 다른 집단의 가치와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보고 사회의 지배적인 집단의 가치와 양립할 수 없는 것을 사회문제로 정의한다.
② 사회긴장론
- 사회적 관계에는 개인간, 개인과 집단 간, 그리고 집단 간에 불화, 대립, 알력, 투쟁 등이 계속되는 긴장상태가 발생하는 것을 보고 이러한 긴장상태를 사회문제로 본다.
- 사회적 긴장에는 여러 형태가 있고 그 원인도 다양하다.
- 문화적 갈등에 의한 사회긴장론으로, 이질적인 문화와 접촉이 있을 때 그러한 문화에 인간 행동의 핵심적인 가치규범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반하는 가치규범으로 인한 갈등이 생기고 갈등이 계속되면 긴장상태가 발생하게 된다는 것이다.
3. 상호작용주의 이론 및 교환주의 이론
① 관심의 초점을 개인간의 상호작용과정과 상호작용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결과에 두는 이론적 시각이다.
② 낙인이론
- 상징적인 상호작용 이론을 사회적 일탈행위로 설명하는데 적용한 것이다.
- 현상이나 행위가 일반대중이나 사회통제간의 관심의 대상이 되기 시작하여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됨으로써 문제가 된다는 것이다.
- 최초에 낙인찍는 일탈행동을 일차적 일탈행동이라 한다.
- 최초에 낙인으로 인해 유발된 일탈행동을 이차적 일탈행동이라 한다.
※ 이론에 의하면 문제를 보다 논리적이고 합리적으로 원인을 규명할 수 있다.
※ 한 이론적 시각이든 여러 이론적 시각이든 문제의 원인이 거시적인지 아니면 미시적인지 또는 양쪽에 다 있는지 규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결 론 ☜
사회문제에 대한 사회복지학적 접근은 문제를 해결하는데 초점을 두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그러나 문제의 해결도 다양한 차원이 존재한다. 즉, 사회문제의 최종적인 해결의 차원, 사회문제의 근본적인 원인 제거의 차원, 그리고 그 문제로 인하여 파생되는 부작용이나 고통을 최소화하는 차원 등으로 나눌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문제해결의 차원 중에서 어디까지가 사회복지학이 개입해야 하는 차원인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 지금 사회복지학을 배우는 과정에 있는 우리로서는 많은 학문적인 논의를 통하여 그에 대한 해답을 찾아야 할 것이다.
♣ 참 고 문 헌 ♣
- 사회문제론. 원석조. 양서원 2002년
-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최선화외 4인 공저 양서원 1999년
- 사회복지학 연구 송정부 법지사 1999년
-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최일섭·최성재 나남출판 1999년
추천자료
존 롤즈 (John Rawls)의 `사회 정의론`
`교육`에 대한 여러 교육학자들의 정의
(A+ 독후감) 마이클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
(A+ 독후감) 마이클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를 읽고
[최신A+자료]소셜커머스(social commerce)의 정의및 유형과경영원리[소셜커머스의장단점및문...
[독후감/서평] (A+) 마이클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를 읽고
[독후감] 마이클 샌델(Michael Sandel)의 정의란 무엇인가를 읽고 (A+)
GMO의 개념 및 현황,GMO의 정의 및 LMO,GMO와 육종의 차이점,국내 주요 작물의 자급률,GMO가 ...
태권도장경영론 - 나의 SWOT분석 (swot 정의, 분석, 보안점)
[독후감] 마이클 샌델(Michael Sandel)의 <정의란 무엇인가>를 읽고
[관광학원론] 중국 투자자들을 위한 리조트 기획안 (리조트의 정의, 리조트의 유형, 리조트와...
호주제 폐지가 가족에 가져온 변화,호주제의 정의,우리나라 호주제도의 변화,호주제 폐지를 ...
방통대 중간과제 철학의 이해 E형 신, 정의, 사랑, 아름다움
[노인복지의 개념] 노인인구의 변화, 노인복지의 정의와 원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