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에 대해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구온난화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지구온난화의 정의

2.본론
지구온난화에대한 여러가지영향과 그래프와 그림

3.결론
지구온난화의 방지책과 우리들이 해야할일,제거대책

본문내용

됩니다.
라) 가전제품
가전제품 구입시 에너지 소비효율이 높은 제품을 구입하고, 냉장고의 경우 가족수에 알맞은 크기를 선택하며, 전력소비량이 큰 구형냉장고는 교체합시다. 냉장고의 크기는 가족 1인당 50ℓ가 적당합니다. 냉장고의 문을 여닫는 횟수를 줄입시다. 1,300만 가구가 냉장고 문여는 횟수를 하루 한 번씩만 줄여도 전기는 연간 1천 6백만 kWh가 절약되고(연료비용: 16억 원 절감)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8천 8백 톤 정도 줄일 수 있습니다. 냉장고에 음식을 넣을 때 식혀서 넣을 경우 1,300만 가구에서 전기는 연간 2억 4천만 kWh가 절약되고(연료비용: 240억 원 절감)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13만 2천 톤 정도 줄일 수 있습니다. 가급적 손빨래를 하고 세탁기 사용시간을 줄입시다. 600만 대의 세탁기에서 세탁시간을 10분 이내로 하면 전기는 연간 430만 kWh가 절약되고(연료비용: 4억 3천만 원 절감)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2,391톤 정도 줄일 수 있습니다. 세탁물을 적당히 모은 후 세탁기를 사용하고, 세제는 세탁물에 맞게 적당량 사용합시다. 옷감은 모아서 한꺼번에 다림질하고 가급적 전력소비가 많은 시간은 피합시다. 1,300만 가구에서 다림질 시간을 1주일에 30분씩만 줄여도 전기는 연간 2억 kWh가 절약되고(연료비용: 200억 원 절감)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11만 2천 톤 정도 줄일 수 있습니다. 컴퓨터를 30분 이상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전원을 끕시다. TV를 보지 않을 경우 플러그를 뺍시다. 1,300만 가구에서 TV 시청시간 외에 플러그를 모두 빼면 전기는 연간 3억 8천만 kWh가 절약되고(연료비용: 380억 원 절감)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21만 톤 정도 줄일 수 있습니다. 1,300만 가구에서 모두 TV 시청을 1시간씩 줄이면 전기는 연간 3억 9천만 kWh가 절약되고(연료비용: 390억 원 절감)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21만 6천 톤 정도 줄일 수 있습니다.
마) 취 사
압력밥솥(냄비)을 사용하여 조리시간을 단축하고, 열흡수가 잘되는 밑바닥이 넓은 조리기를 사용합시다. 식탁은 여러 번 차리지 말고 온가족이 모여 같이 식사합시다. 1,300만 가구에서 매주 한 번만이라도 가족이 함께 식사를 하면 전기는 연간 4억 7천만 kWh가 절약되고(연료비용: 1,180억 원 절감)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25만 9천 톤 정도 줄일 수 있습니다. 조리기의 불꽃을 적절하게 조절할 경우, 1,300만 가구에서 불꽃조절로 열손실을 10%만 절감하여도 가스는 연간 3.1억㎥ 정도 절약됩니다. (가스비용: 1,370억 원 절감)
바) 기 타
나무를 심고 가꾸기를 생활화합시다. 나무는 광합성작용을 하여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저장합니다.
내고장 제품을 구입합시다. 지역생산품을 지역에서 우선 구매하면 트럭과 배로 운반할 때 사용되는 연료를 줄이고,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줄일 수 있습니다.
덜쓰고, 다시쓰고, 재활용하며 재활용제품을 구입합시다. 종이와 플라스틱을 재활용하여 생산할 경우 원재료로 제품을 생산할 때에 비해 에너지 소비와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절반으로 줄어듭니다. 1 회용품 사용의 경우, 종이컵 사용량을 절반으로 줄이면 펄프수입량을 연간 12,500톤 절감할 수 있고 펄프수입비용도 103억 원 정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펄프 제조를 위한 산림벌목을 막아 온실가스 흡수원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제거대책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로 분류되어 모색되고 있다. 화력발전소와 같은 이산화탄소의 대량발생원의 경우는 이산화탄소를 분리회수하여 심해나 폐유전에 폐기하여 제거하는 방법과 화석연료의 연소전에 탄소를 제거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또 하나의 제거방법은 이산화탄소를 분리회수하여 메탄올을 합성하는 방법인데, 이 방법은 이산화탄소의 억제 및 제거를 겸한 대책법으로서 주목되고 있는 방법이다. 다음 대기중의 희박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수단으로서 해양을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해양은 이산화탄소의 제거, 고정의 잠재적 능력이 있다. 대기중에는 탄소환산으로 약 7,000억톤의 이산화탄소가 존재하고 있으나, 해양에는 그 약 50배되는 양의 이산화탄소가 화학적으로 용해되어 있다. 지구표면의 71%를 점하는 해양은 증대하고 있는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를 충분히 흡수할 능력이 있다. 해양에는 프랑크톤, 해조, 산호등 여러 가지 생물이 있는데, 이러한 생물의 생화학적 작용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해양에서의 생물체의 광합성생산량은 탄소환산으로 연간 290억톤으로 추산되고 있다. 해양에서는 식물 프랑크톤에 의해 고정된 이산화탄소는 해양 깊이 운반되어 평균수심 3,800m의 해양 중 전체에 막대한 양이 흡수, 고정된다. 끝으로 해양에서는 태양, 해류, 조류, 파력, 온도차, 농도차 등의 풍부한 자연에너지의 이용이 가능하다. 1년간에 해양에 쏟아지는 태양에너지의 양은 인류가 매년 소비하는 양의 1만배나 된다. 물론 이러한 에너지를 수송 저장의 효율을 생각한다면 실현성이 매우 적지만 이러한 자연에너지를 이산화탄소의 고정에너지로서 해양이란 그 장소에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매우 효율이 높은 이용이 가능하다. 이산화탄소 외에 기타 GHG의 제거방법도 모색되고 있다. 프론가스는 한번 대기 중에 확산되면 분리회수는 매우 곤한하다. 따라서 프론대책으로서는 프론의 제거보다는 프론가스의 발생의 사전억제가 상책이다. 기타 메탄, 이산화질소등 온난화가스도 여러 가지 발생원이 있으나 거의가 인위적 활동에 의해 발생한다. 이렇듯 이러한 가스의 발생원이 다양하며 또 대기중의 농도는 매우 희박하므로 분리제거는 대단히 곤란하다. 따라서 이러한 가스대책은 발생자체를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참고 문헌:
http://www.junkscience.co.kr/
http://www.knef.or.kr/
http://www.z9.or.kr/
http://joono.x-y.net/c/w-menu.htm
http://my.dreamwiz.com/9745012/
http://www.climate.go.kr/
http://w3.kunsan.ac.kr/~haedong/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3.11.24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42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