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수는 없다. 안보와 균형개발을 지향하면서 멀리 통일 이후도 고려한 후보지를 찾는다면 한반도의 중심성이 있는 철원 정도를 적당하다고생각할 수 있다. 균형발전의 지름길은 얼마든지 있다. 중앙부처의 지리적 분산이 아니라 중앙권력의 지방분권이 바로 그것이다. 수도를 새로이 만들 돈이 있다면 수돗물 수질을 높이고 적자에 허덕이는 지방 지하철 재정을 돕는게 낫다.
추천자료
[도시개발] 주택수급과 수도권 정비전략
(한국경제) 국가균형발전과 수도권공장 신, 증설 허용기간연장 등의 규제완화에 대하여
행정법(행정상의 실효성 확보수단)
[행정][행정학][행정개혁][행정혁신][행정환경][행정학 문제점][행정학 과제][행정학 미래]행...
[정책][정책변화][국가정책]수도권 인구집중 억제정책의 변화(정책변화) 사례, 중국 대외정책...
[행정조직][행정]소방행정조직, 노동행정조직, 체육행정조직, 농업행정조직, 해양환경행정조...
[행정중심복합도시]행정중심복합도시(세종시) 원안 추진을 반대하는 이유 - 행정중심복합도시...
[행정중심복합도시]행정중심복합도시(세종시) 수정안을 반대하는 이유 - 행정중심복합도시 수...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계획의 진행여부를 둘러싸고행정중심복합도시원안과현정부에서제시하고...
[세정][세금 행정][세정변화][조세정책][벤처기업][경제활성화][세금][조세][경제]세정(세금 ...
[일본, 일본 종교입법, 일본 사회복지행정제도, 일본 종교입법 교훈, 일본 사회복지행정제도 ...
사회복지행정론 - 사회복지행정의 다양한 이론(고전이론, 인간관계이론, 구조주의이론, 체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