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다음은 아파트 단지 쓰레기의 성분별 물성을 나타낸 것이다.
2. 1,000가구가 살고 있는 주거 지역의 쓰레기 수거 시스템을 아래 조건에서 설계하라 . 단, 수거 인부는 2명이다.
3. 다음 조건에서 4곳의 최종처분장으로 보내야 할 폐기물의 단위수를 정하라.
4. 연습문제 풀이
2. 1,000가구가 살고 있는 주거 지역의 쓰레기 수거 시스템을 아래 조건에서 설계하라 . 단, 수거 인부는 2명이다.
3. 다음 조건에서 4곳의 최종처분장으로 보내야 할 폐기물의 단위수를 정하라.
4. 연습문제 풀이
본문내용
.08h/trip + 0.025h/㎞(x)
5) 운반비용= 16000원/h
요약: a. 중계처리장에서 처분장으로 할당량
중계처리장
처분장
D
D
D
D
T
0
0
2
0
T
0
0
4
0
T
0
0
0
3
T
2
0
0
0
운반조건
운반비용
총계장
처분장
단위수
단위당비용(원)
총비용(원)
T
D
2
6080
12160
T
D
4
5280
21120
T
D
3
10880
32640
T
D
2
9280
18560
총계
84480
b. 가격평가
♠연습문제 풀이
1) 미국의 33/50 project 에 대하여 설명하고 그 필요성을 논하라.
33/50 : 유독성 물질 감량화 계획
1988년 11,000사업소에서 1,400백만 lb(7십만 톤) 발생되는 유해폐기물의 양을 1992
년 까지 는33%를,1995년 까지는 50%를 감량화시키는 것이 목표이다. 현재 150개 회사가 이를 위하여 동참하고 있으며, 100개 회사 이상이 관심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전력 에너지 절약을 통한 폐기물의 감량화를 위하여 green lights program도 자발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17개 우선화학 물질
: 벤젠 , 카드뮴 , 사염화탄소 , 클로로포름 , 크롬 신안 디클로로메탄 , 납 , 수은 , 메틸.에틸케톤 , 니켈 , 테트라클로로에틸렌 , 톨루엔 , 1.1.1트리클로로에틸렌 , 트리클로로에틸렌 , 크실렌
2) 미국의 최근의 감량화 정책 방향에 대하여 논하고 우리나라와 비교 고찰하라.
;미국 정부의 1991년도 환경백서에 의하면 정부의 중요한 환경 정책으로는 오염 예방.규제 강화 . 환경 위해 감소 천연 자원의 보호 및 회복 .국제환경 및 기술개발이고 그 중 오염예방(preventing pollution )즉발생원 감소를 가장 우선으로 하고 있다. 또한 오염예방법 (pollution preventing Act 1990년)을 제정한 바 있다.
이보다 앞서 미국에서는 SARAⅢ, 즉 비상 계획 및 알 권리 (emergence planning and community right to know, 1986년 ) 에 의하여 각 사업자은 사업장에서 발생되는 유해폐기물의 종류나 발생량을 주민들에게 알리게 되어 있다. 즉 , ①10명 이상을 고용한 회사, ②SIC COde 20~39(주화학 제조 업종), ③ 유독물 배출 목록(Toxic Release Inventory, T,R,I 를)대상 화학 물질 (약 300여종) 을 10,000lb를 사용하거나 25,000lb 를 제조하는 경우 TRI를 작성하여 공개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각종 유해폐기물의 발생량이 명확해지고 또한 각 기업체마다 자발적으로 발생 억제를 추진하고자 하는 노력을 자구적으로 행하게 되므로 훨씬 효과적일 수 있다. 1990년의 경우 대상 사업장이 20,000여 개가 넘었다.
4). 청정기술의 정의와 개발단계를 제시하라.
청정기술은 공정에서의 오염물질 저감기술로 Non and Low Pollution
Technology(NLPT)라고도 하며, 계획단계 → 평가단계 → 가능성 분석단계 → 실행단계로 추진된다.
5) 운반비용= 16000원/h
요약: a. 중계처리장에서 처분장으로 할당량
중계처리장
처분장
D
D
D
D
T
0
0
2
0
T
0
0
4
0
T
0
0
0
3
T
2
0
0
0
운반조건
운반비용
총계장
처분장
단위수
단위당비용(원)
총비용(원)
T
D
2
6080
12160
T
D
4
5280
21120
T
D
3
10880
32640
T
D
2
9280
18560
총계
84480
b. 가격평가
♠연습문제 풀이
1) 미국의 33/50 project 에 대하여 설명하고 그 필요성을 논하라.
33/50 : 유독성 물질 감량화 계획
1988년 11,000사업소에서 1,400백만 lb(7십만 톤) 발생되는 유해폐기물의 양을 1992
년 까지 는33%를,1995년 까지는 50%를 감량화시키는 것이 목표이다. 현재 150개 회사가 이를 위하여 동참하고 있으며, 100개 회사 이상이 관심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전력 에너지 절약을 통한 폐기물의 감량화를 위하여 green lights program도 자발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17개 우선화학 물질
: 벤젠 , 카드뮴 , 사염화탄소 , 클로로포름 , 크롬 신안 디클로로메탄 , 납 , 수은 , 메틸.에틸케톤 , 니켈 , 테트라클로로에틸렌 , 톨루엔 , 1.1.1트리클로로에틸렌 , 트리클로로에틸렌 , 크실렌
2) 미국의 최근의 감량화 정책 방향에 대하여 논하고 우리나라와 비교 고찰하라.
;미국 정부의 1991년도 환경백서에 의하면 정부의 중요한 환경 정책으로는 오염 예방.규제 강화 . 환경 위해 감소 천연 자원의 보호 및 회복 .국제환경 및 기술개발이고 그 중 오염예방(preventing pollution )즉발생원 감소를 가장 우선으로 하고 있다. 또한 오염예방법 (pollution preventing Act 1990년)을 제정한 바 있다.
이보다 앞서 미국에서는 SARAⅢ, 즉 비상 계획 및 알 권리 (emergence planning and community right to know, 1986년 ) 에 의하여 각 사업자은 사업장에서 발생되는 유해폐기물의 종류나 발생량을 주민들에게 알리게 되어 있다. 즉 , ①10명 이상을 고용한 회사, ②SIC COde 20~39(주화학 제조 업종), ③ 유독물 배출 목록(Toxic Release Inventory, T,R,I 를)대상 화학 물질 (약 300여종) 을 10,000lb를 사용하거나 25,000lb 를 제조하는 경우 TRI를 작성하여 공개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각종 유해폐기물의 발생량이 명확해지고 또한 각 기업체마다 자발적으로 발생 억제를 추진하고자 하는 노력을 자구적으로 행하게 되므로 훨씬 효과적일 수 있다. 1990년의 경우 대상 사업장이 20,000여 개가 넘었다.
4). 청정기술의 정의와 개발단계를 제시하라.
청정기술은 공정에서의 오염물질 저감기술로 Non and Low Pollution
Technology(NLPT)라고도 하며, 계획단계 → 평가단계 → 가능성 분석단계 → 실행단계로 추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