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잎혹파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솔잎혹파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솔잎혹파리란?

2. 솔잎혹파리의 형태와 생활사

3. 솔잎혹파리로 인한 피해

4. 방제법

5. 솔잎혹파리를 방제하기 어려운 이유

본문내용

군상 발생지
- 상수원, 하천, 양어장등에 약제유실 우려가 없는 임지
·사용약제 및 사용량 : 다수진 3%입제, ha당 150kg
·실행시기 : 11월 하순∼ 12월 상순
·실행방법
- 동력살포기의 노즐 구멍을 작게하고 반경 5m까지 약제가 살포되게 분사구의 높이를 조정한 후 느린 속도로 보행하며 지면에 살포한다.
- 보행속도, 약제분사량은 처리약량이 전면적에 고르게 뿌려질 수 있도록 조절한 후
작업을 실시한다.
- 치수가 밀생하여 약제살포가 불가능한 곳은 작업통로를 미리 만들어 놓고 살포한다.
- 효과(살충율) : 85∼88%
·주의사항
- 작업중 마스크를 착용하고 약제가 피부에 닿지 않도록 한다.
-작업중 흡연, 음주를 금지한다.
-포장지는 소각하고 사용한 용기는 비눗물로 씻어서 보관한다.
-처리지에는 사람의 입산이나 가축의 방목을 금지한다.
-그밖에 농약 안전사용기준을 준수한다.
(3) 기생봉
·종류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솔잎혹파리 천적(기생봉)은 총 4종(솔잎혹파리먹좀벌, 혹파리살이먹좀벌, 혹파리등뿔먹좀벌, 혹파리반뿔먹좀벌등)으로 조사되었으나 현재 인공으로 사육하여 이식하고 있는 천적은 솔잎혹파리먹좀벌과 혹파리살이먹좀벌 등 2종이다.
▲솔잎혹파리먹좀벌 ▲혹파리살이먹좀벌
구분
솔잎혹파리먹좀벌
혹파리살이먹좀벌
성충우화 시기
기주보다 늦다
기주보다 빠르다
다기생시 우화
1마리만 우화
여러마리 우화
분포
중부, 남부지방
남서부지방
◀성충우화
기생봉성충▶
구분
형태
몸색깔
몸길이
날개길이
솔잎혹파리
작은 파리와 같음
등황색
2.2mm내외
2.2mm(1쌍)
천적기생봉
작은 벌 종류
검은색
1.4mm내외
1.0mm(2쌍)
▲솔잎혹파리와 기생봉의 차이점
·천적방사
- 기생봉의 성충은 솔잎혹파리 산란기에 발생하여 솔잎혹파리의 알속이나 유충 몸속에 알을 낳는다.
- 기생봉의 유충은 솔잎혹파리의 유충 몸속에서 월동하고 5∼6월 중에 번데기가 되어 약20일 후에 성충이 된다.
- ll∼12월중 기생봉의 기생율이 높은 임지에서 유충을 채집하여 기생율이 낮은 임지에 ha당 2만마리씩 방사한다.
(4) 포식조류
·솔잎혹파리 낙하 유충을 잡아 먹는 새에는 박새, 진박새, 쑥새, 쇠박새 등이 있으며 이들 새들은 하루에 약 20∼100여 마리의 솔잎혹파리 유충을 잡아먹는다. 이들 유익 조류를 보호하여 피해를 억제한다.
▲박새 ▲땅에 떨어진 유충을 잡아먹는 진박새
(5) 피해목벌채
·대상지 : 솔잎혹파리 피해임지중 수확기에 도달한 임분을 우선하되 수확기 미달 임분도 피해가 심하여 소생가망이 없는 임지나 수종갱신 임지를 대상으로 한다.
·실행시기 : 성충의 우화와 산란이 끝나고 충영내와 유충이 어린시기인 6∼10월중에 실시한다.
·실행방법 : 피해목 벌채는 개벌위주로 실시하되 현지 실정에 따라 단목적 제벌이나 대상벌채(유령임분)도 병행 실시한다.
·주벌수확이나 수종갱신 사업등과 연계하여 추진한다.
(6) 항공엽면시비
·대상지 : 솔잎혹파리 집단피해지 중 주요 고속도로, 국·철도변과 관광사적지 등 피해 회복촉진을 요하는 지역
·사용재료 : 요소(질소질46%), 마그네슘
·실행시기 : 신초생장촉진과 피해회복을 위하여 5∼6월중에 실시
·실행방법
- 살포농도 : 요소 2%용액, 마그네슘 0.1%용액
- ha당 100리터를 헬기를 이용 공중살포
- 효과 : 엽장증가 30%
▲항공살포광경
▲항공시비효과
(7) 지상시비
·대상지 : 전년도 수간주사실행지로서 수세회복을 촉진시켜야할 임지
·실행시기
- 가을철보다 봄철에 주는것이 좋다.
- 봄철 : 3~4월
-가을철 : 10월하순~11월
·실행방법 : 임지여건에 따라 전면 또는 단목시비 방법으로 ha당 350kg(복합비료17-21-17)를 지표를 파고 ▲사전준비
넣은 다음 질소성분의 휘산방지를 위하여 흙으로 덮어 주어야 한다.
※ 비료주기의 효과
신초의 생장촉진 : 2cm내외
수세회복정도 : 약 30% 촉진
비료주기작업▶
(8) 천적미생물 백강균 살포
·대상지 : 피해도 50% 미만인 보습력이 좋고 가급적 북향인 임지
·실행시기
- 유충 낙하최성기 : 중부지방 11월
남부지방 11∼12월 중
- 월동 후 휴면 종료기 : 4월 초순
·실행방법
- ha당 살포량 : pellet 25kg(포자 24조개)
- 백강균 포자를 pellet태로 피해임지 지면에 살포한다.
- 백강균 포자를 물에 의석하여, 피해임지 지면에 살포한다.
《최근 5개년간 솔잎혹파리 발생 및 방제실적》
구 분
'97
'98
'99
2000
2001계획
산림면적
637,702
630,849
629,200
625,719
소나무면적
186,737
184,489
182,608
171,246
발생면적
71,111
67,798
67,710
61,127
방제면적
46,358
39,296
37,462
48,494
40,300
※ 발생상황은 당해 년도 말 기준이며 방제는 발생 다음 연도에 실시원칙
《방제방법별 효과》
방제 방법시기
방 법
㏊당
공정
효과
나무주사
(수간주사)
5∼6월
천공기로 구멍을 뚫고(직경1㎝,깊이5~10㎝)약제주입기로 약제주입
4인
살충율80~95%
항공엽면시비
5∼6월
헬기를 이용 요소+산화마그네슘을 혼합살포(㏊당 100ℓ살포)
헬기1대1일100㏊
새순생장촉진과
피해회복
피해목벌채
3∼11월
소생가망이 없는 임지(피해도 "중" 이상)로 집단피해지 우선
개벌 또는 대상벌채,단목적 제벌을 병행
10인 확산저지
위생간벌
3∼11월
나무주사 대상지를 우선 선정
본수율기준 30%미만 벌채
10인 건전임분
조성과 확산저지
천적방제
5∼6월
대상지 : 피해회복 임지 또는 천적기생율이저조한 임지
방 법
-성충태이식:2만마리/㏊기준
-충영태이식:소나무솔잎10㎏/㏊
-
생태.환경의보전
5. 솔잎혹파리를 방제하기 어려운 이유
알은 부화한 후 바로 소나무잎 속으로 들어가고, 솔잎 속에 있는 유충까지는 방제약제가 도달하기 어렵다. 11월 이후 유충이 나무에서 나와 토양 속으로 들어가지만, 월동 중 아무것도 먹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존 약제나 저온에 매우 강한 몸의 구조를 지니고 있다. 또한 성충의 수명이 매우 짧아 방제 시기가 제한되므로 솔잎혹파리를 방제하는 것은 힘이 든다.

키워드

솔잎혹파리,   솔잎,   혹파리,   파리,   충해,   관리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3.11.26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46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