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통신(通信)의 사전적 의미
2.발달과정
가. 전기통신이전
나. 전기통신이후
◎전화기
<자석식 전화기>
<공전식 전화기>
<자동식 전화기>
◎ 교환기의 발달
.
.
.
.
마. 앞으로의 발전 방향
◎ 성층권 무선중계 시스템
2.발달과정
가. 전기통신이전
나. 전기통신이후
◎전화기
<자석식 전화기>
<공전식 전화기>
<자동식 전화기>
◎ 교환기의 발달
.
.
.
.
마. 앞으로의 발전 방향
◎ 성층권 무선중계 시스템
본문내용
사되어 차량 전화의 벨이 울리는 방식이었다. 따라서 통화품질도 나쁘고, 이동전화 수요에도 충분히 대처할 수 없었다. 따라서 특별한 신분의 사용자만이 가입하고 이용, 가능한 상태였다.1973년 기계식 IMTS(Improved Mobile Telephone Sevice)를 1975년에 NMRS(New Mobile Radio System)을 도입하였고, 1976년에는 반전자식 IMTS를 도입하여 서비스를 실시했다. 1984년 3월, 한국통신의 자회사인 한국이동통신서비스주식회사가 설립되면서 그 해, 5월부터 AMPS(Advanced Mobile Phone Service) 셀룰러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주로 차량전화 서비스를 개시하여 실질적인 이동전화의 대중화가 시작되었다. 그후 1988년 7월부터 88올림픽의 영향때문에 이동전화의 보급 및 가입자가 급격히 증가하여 차량전화에서 실질적인 이동전화인 핸디폰(Handy Phone)의 개념으로 바뀌기 시작했다.
1996년 1월에는 미국 퀄컴(Qualcomm)사에서 1993년에 개발된 CDMA 방식을 도입하여 인천과 부천 지역에서 그리고 그 해 4월에 서울 전지역에 디지털 이동전화 서비스가 개시되었고, 1997년 10월 1일부터 한국통신프리텔, 한솔 PCS(現 한통엠닷컴), LG Telecom등 3개 사가 동시에 016, 018, 019 등의 번호로 PCS 상용서비스를 실시하였다.
또한 앞으로 2001년에는 유선, 무선 및 위성환경에서, 음성은 물론 고속데이터와 영상서비스까지 가능한 멀티미디어를 제공하고, 세계 어디서나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IMT-2000서비스가 제공될 예정이다.
마. 앞으로의 발전 방향
성층권 무선중계 시스템
현재까지의 무선통신 발달사를 살펴보면 1890년대의 지상 송전탑 사용으로부터 1960년대의 정지궤도 위성통신, 1980년대의 저궤도 이동위성통신 도입에 이르기까지 주로 지상 초고주파 통신 및 위성통신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기술 발전이 이루어져 왔다.
점차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개인 초고속 멀티미디어 이동 통신 등의 차세대 서비스 제공을 위해 미국, 일본 등 몇몇 기술 선진국을 중심으로 성층권에 통신중계기를 탑재한 비행선을 체공시켜 새로운 무선 통신 인프라로 활용하는 방안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성층권에 무선중계기지를 구축하여 통신에 이용하는 개념은 이미 오래 전부터 제안되어 왔지만 구현상 기술적 난이도가 높고, 타 통신방식에 비해 경제성이 낮아 그 동안 현실화되지 못했다. 그러나 최근 새로운 통신서비스에 대한 시대적 요구와 경량 고인장 강도의 피복재료, 고효율의 태양전지 및 연료전지, 강화 폴리에스터, GPS항법 시스템 등의 신기술 개발과 더불어 성층권 비행선을 이용한 무선통신 개념이 가시화되고 있다.
성층권 무선 중계 시스템은 위와 같이 대류권(Troposphere)과 전리층(Ionosphere) 사이의 성층권(Stratosphere, 지상 약 20 80km 상공)에 무선 중계기를 탑재한 비행선을 일정 위치에 유지시키고, 각종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서비스 대상 지역에 고정 및 이동 디지털 무선 채널들을 다양한 전송률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성층권 비행선은 헬륨 가스로 채워진 비행선으로, 성층권에서 바람 등의 영향에 대해 프로펠러를 사용하여 자세 및 위치를 유지하게 되며, 비행선과 중계기 동작에 요구되는 전력은 낮에는 비행선 표면에 장착된 태양 전지, 밤에는 연료 전지에 의해 공급된다.
성층권 무선 중계 통신망은 일반적인 위성 통신망 구성 개념과 유사하게 구성되는 것으로서 광역성, 동보성, 망 구성의 유연성, 광대역성 등 위성 통신의 장점을 보유하면서 수요에 따른 적기 공급, 시설의 유지보수 용이, 짧은 전송 거리로 인한 단말의 소형화/저전력화 및 짧은 전송 지연 시간 등 지상 이동 통신의 장점도 함께 보유한 시스템이다.
성층권 무선중계 시스템의 주요 특징 및 장점으로 차세대 통신 서비스로 제안되고 있는 고속 데이터, 화상 등을 포함한 초고속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를 가장 잘 지원할 수 있는 광대역 무선 통신 인프라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성층권 무선 중계 시스템은 다양한 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뿐 만 아니라 대도시를 중심으로 고속 광대역 무선 WAN(Wide Area Network) 및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시내 무선 전용선 등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환경 감시, 교통정보 수집 및 교통 제어, 항공제어, 복지 통신 등 새로운 공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무선 인프라의 제공 형태로 발전이 예상된다.
또한 ITU에서 현재 추진중인 세계 표준화가 완료되면 기존의 이동 통신에 버금가는 엄청난 시스템 및 단말 시장이 예상되며, 동구지역, 아프리카 지역 등 통신 인프라가 잘 구축되어 있지 않은 지역에 손쉽게 사업 진출과 수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통일후 북한 지역 통신 인프라 구축시 가장 신속하고 효율적인 망 구축 수단이 될 것이다.
References
■http://20c.itfind.or.kr
■http://event.kt.co.kr/kor/about_kt/public/pub01_03_03.html
■http://vod-server.kookmin.ac.kr/gal_htm/vod14/index.html
■http://www.kt.co.kr/kor/comm_park/comm_museum/history_comm/main1/main1a_02.html
■http://www.emic.go.kr/kids/his_mic.jsp
■http://20c.itfind.or.kr/20C/100/3_4_6_1.html
■http://brain.kongju.ac.kr/~std1538/2.htm
■http://jcrhie.pe.kr/index/2002_1(Class)/Base2.htm
■http://www.edumart.co.kr/davinci/031.
■http://www.114guide.com/tel-history09.htm
■(한국 전파 진흥협회)
■http://phps.snu.ac.kr/people/kslee/readings/ccr
1996년 1월에는 미국 퀄컴(Qualcomm)사에서 1993년에 개발된 CDMA 방식을 도입하여 인천과 부천 지역에서 그리고 그 해 4월에 서울 전지역에 디지털 이동전화 서비스가 개시되었고, 1997년 10월 1일부터 한국통신프리텔, 한솔 PCS(現 한통엠닷컴), LG Telecom등 3개 사가 동시에 016, 018, 019 등의 번호로 PCS 상용서비스를 실시하였다.
또한 앞으로 2001년에는 유선, 무선 및 위성환경에서, 음성은 물론 고속데이터와 영상서비스까지 가능한 멀티미디어를 제공하고, 세계 어디서나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IMT-2000서비스가 제공될 예정이다.
마. 앞으로의 발전 방향
성층권 무선중계 시스템
현재까지의 무선통신 발달사를 살펴보면 1890년대의 지상 송전탑 사용으로부터 1960년대의 정지궤도 위성통신, 1980년대의 저궤도 이동위성통신 도입에 이르기까지 주로 지상 초고주파 통신 및 위성통신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기술 발전이 이루어져 왔다.
점차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개인 초고속 멀티미디어 이동 통신 등의 차세대 서비스 제공을 위해 미국, 일본 등 몇몇 기술 선진국을 중심으로 성층권에 통신중계기를 탑재한 비행선을 체공시켜 새로운 무선 통신 인프라로 활용하는 방안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성층권에 무선중계기지를 구축하여 통신에 이용하는 개념은 이미 오래 전부터 제안되어 왔지만 구현상 기술적 난이도가 높고, 타 통신방식에 비해 경제성이 낮아 그 동안 현실화되지 못했다. 그러나 최근 새로운 통신서비스에 대한 시대적 요구와 경량 고인장 강도의 피복재료, 고효율의 태양전지 및 연료전지, 강화 폴리에스터, GPS항법 시스템 등의 신기술 개발과 더불어 성층권 비행선을 이용한 무선통신 개념이 가시화되고 있다.
성층권 무선 중계 시스템은 위와 같이 대류권(Troposphere)과 전리층(Ionosphere) 사이의 성층권(Stratosphere, 지상 약 20 80km 상공)에 무선 중계기를 탑재한 비행선을 일정 위치에 유지시키고, 각종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서비스 대상 지역에 고정 및 이동 디지털 무선 채널들을 다양한 전송률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성층권 비행선은 헬륨 가스로 채워진 비행선으로, 성층권에서 바람 등의 영향에 대해 프로펠러를 사용하여 자세 및 위치를 유지하게 되며, 비행선과 중계기 동작에 요구되는 전력은 낮에는 비행선 표면에 장착된 태양 전지, 밤에는 연료 전지에 의해 공급된다.
성층권 무선 중계 통신망은 일반적인 위성 통신망 구성 개념과 유사하게 구성되는 것으로서 광역성, 동보성, 망 구성의 유연성, 광대역성 등 위성 통신의 장점을 보유하면서 수요에 따른 적기 공급, 시설의 유지보수 용이, 짧은 전송 거리로 인한 단말의 소형화/저전력화 및 짧은 전송 지연 시간 등 지상 이동 통신의 장점도 함께 보유한 시스템이다.
성층권 무선중계 시스템의 주요 특징 및 장점으로 차세대 통신 서비스로 제안되고 있는 고속 데이터, 화상 등을 포함한 초고속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를 가장 잘 지원할 수 있는 광대역 무선 통신 인프라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성층권 무선 중계 시스템은 다양한 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뿐 만 아니라 대도시를 중심으로 고속 광대역 무선 WAN(Wide Area Network) 및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시내 무선 전용선 등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환경 감시, 교통정보 수집 및 교통 제어, 항공제어, 복지 통신 등 새로운 공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무선 인프라의 제공 형태로 발전이 예상된다.
또한 ITU에서 현재 추진중인 세계 표준화가 완료되면 기존의 이동 통신에 버금가는 엄청난 시스템 및 단말 시장이 예상되며, 동구지역, 아프리카 지역 등 통신 인프라가 잘 구축되어 있지 않은 지역에 손쉽게 사업 진출과 수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통일후 북한 지역 통신 인프라 구축시 가장 신속하고 효율적인 망 구축 수단이 될 것이다.
References
■http://20c.itfind.or.kr
■http://event.kt.co.kr/kor/about_kt/public/pub01_03_03.html
■http://vod-server.kookmin.ac.kr/gal_htm/vod14/index.html
■http://www.kt.co.kr/kor/comm_park/comm_museum/history_comm/main1/main1a_02.html
■http://www.emic.go.kr/kids/his_mic.jsp
■http://20c.itfind.or.kr/20C/100/3_4_6_1.html
■http://brain.kongju.ac.kr/~std1538/2.htm
■http://jcrhie.pe.kr/index/2002_1(Class)/Base2.htm
■http://www.edumart.co.kr/davinci/031.
■http://www.114guide.com/tel-history09.htm
■(한국 전파 진흥협회)
■http://phps.snu.ac.kr/people/kslee/readings/ccr
추천자료
[광섬유][광통신][광섬유 정의][광섬유 연혁][광섬유 이점][광통신 구현 전제조건][광통신시...
[정보통신산업][정보통신산업 SWOT 분석][정보통신산업 현황][정보통신산업 전망]정보통신산...
[전기통신사업규제][언론규제][방송규제][통신규제][광고규제][규제]전기통신사업규제, 언론...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ICT)의 특징, 목표, 필요성과 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ICT)...
국어과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의 목적, 분류, 필요성, 국어과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
초등학교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의 정의와 목표, 초등학교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의 ...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개념과 목적,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중요성, 국어과, 수학과...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사례 네덜란드와 미국,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사례 영국과 프...
학급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의 정의와 목적, 학급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의 활용원칙...
수학과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의 목적과 효과, 수학과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의 자료...
사회과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의 의의, 사회과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의 필요성, 사...
[정보통신기술][ICT]정보통신기술(ICT)의 의미, 정보통신기술(ICT)의 성격, 정보통신기술(ICT...
[통신산업 민영화][통신산업][민영화][통신산업 민영화 역사][통신산업 민영화 방침]통신산업...
[통신][한국방송통신][한국뉴스통신][한국이동통신][한국정보통신][방송통신][뉴스통신][이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