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우스트의 문화사적 의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들어가며

(2)괴테에 대해

(3)괴테문학의 특징과 문학사적 위치

(4)파우스트

(5)파우스트 전설

(6)줄거리 및 내용 분석

(7)파우스트의 구원의 의미

(8)파우스트의 의의와 교훈

(9)맺음말

본문내용

일으키는 커다란 공감의 원인은 우리 인간자신이 이원적 존재이기 때문이다.
극단적으로 양자가 대립하는 파우스트와 같은 인간이야말로 신의 존재이다. 신을 향하여 끊임없이 달리는 파우스트의 정신은 고귀한 인간의 정신이고, 창조의 정신이다. 파우스트처럼 어떤 고난이라도 극복해 나가는 인간상은 오히려 신을 능가한다. 파우스트적인 인간은 유한을 알면서 무한을 향하여 부단히 노력하는 인간인 것이다.
이렇게 인간의 내부에는 신과 악마가 함께 살고 있으며 특히 파우스트에게는 두 요소가 극단적으로 나타난다. 파우스트는 메피스토인 동시에 신적 존재이다. 이것은 부단한 노력하는 인간이기 때문에 일어나는 어쩔 수 없는 갈등이고 방황이며 무언가를 찾는 한은 방황과 환희를 동시에 겪는 위대한 인간의 과정이기도 하다.
파우스트의 영(靈)은 지상의 삶을 마치고 천상계에 올라 그 곳을 주재하는 성모의 말 “자, 어서 보다 높은 곳으로 오르라! 저 사람은 네가 있는 것을 알게 되면 따라올 테니”에 인도되어 승천하는 그레트헨의 영에 이끌리어 성모의 구원을 받는다. 여기에서 성모상은 이상 ·완전 ·영원의 상으로서, 지고애(至高愛)의 상징이며, 또한 그리스도교적인 배경을 넘어서서 이 지고애를 사모하는 인간 일반의 보편적인 감정을 표현한다. 즉‘영원한 여성’은 신의 사랑을 구현하는 이상적인 여성이다. 괴테는 이 영원한 상징으로서 마리아를, 지상적인 상징으로서 그레트헨을 표현하였다.
(8)파우스트의 의의와 교훈
지식에 대한 회의, 인간 존재에 대한 번민으로 괴로워하는 파우스트의 모습은 많은 부분 공감을 느끼게 한다. 사랑이나 가정이 줄 수 있는 따뜻함도 영원한 것은 못 되어 상실되어질 허상이라면, 모든 역경을 감내하고 운명과 맞서 싸워서 이뤄낸 가치야말로 영구히 지속될 것임에 감동하는 파우스트. "자유도 생명도 날마다 싸워서 얻는 자만이 그것을 누릴 자격이 있는 것이다"라는 대사가 의미심장하다. 인간의 최고선은 문명을 일궈냈다는 것일까? 인간은 노력하는 한 방황하지만, 착한 인간은 아무리 어두운 충동 속에서도 무엇이 올바른 길인지 알고 있다는 주님의 믿음이 관철되는 결말이 마음에 와 닿았다.
(9)맺음말
처음 교수님이 파우스트의 문화사적 의미에 대해 알아보라고 하셨을 때 가슴이 철렁했다. 한번도 파우스트를 읽어보지 않았고 잡지 같은것만 즐겨보던 내가 어떻게 그 어려운 문학작품을 읽을 수 있을까 걱정했다. 하지만 하루에 조금씩 조금씩 용기를 내어 읽어 보았더니 내 나름대로 뿌듯함을 느꼈다. 비록 아주 세세하게 파우스트의 의미를 완전히 알지는 못했지만 한번에 모든 것을 얻기 어려운 것처럼 내가 나중에 조금 더커서 진정한 어른이 되었을때는 그 땐 또 다르게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악마에게 영혼을 팔만큼 내 자신의 지식에 대한 욕망이 컸으면 좋겠다. 아직은 1학년이라 배울 것이 너무나도 많다. 많은 사람들을 만나 서로 다른 다양한 생각들도 공유하고 싶고, 또 앞으로 여러 가지를 배우며 부단히 노력해 고등학생 때와는 다른 정신적으로 더 성숙한 어른이 되고 싶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3.11.29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53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