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개념
2) 개념프로젝트의 의의
3) 개념프로젝트의 연혁
4) 포스트 개놈프로젝트의 과제
5) 게놈프로젝트와 관련된 윤리적 쟁점
3. 참고문헌
2. 본론
1) 개념
2) 개념프로젝트의 의의
3) 개념프로젝트의 연혁
4) 포스트 개놈프로젝트의 과제
5) 게놈프로젝트와 관련된 윤리적 쟁점
3. 참고문헌
본문내용
용: 개인의 유전자정보는 고용기회에 중대한 영향을 줄 수 있다. 근로관계에서 중요한 것은 이미 걸려 있는 질병이 아니라 질병에 걸릴 확실하지 않은 소질과 위험에 있 다. 사용자는 원칙적으로 노동법 상 근로계약을 체결하기 전에 건강진단을 받게 할 수 있다. 그러나 고용을 위한 건강진단은 현재의 건강상태를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미래에 질병에 걸릴 수 있는 소질이나 위험에 목적으로 둔 유전자정보 에 의한 고용거부는 정당화될 수 없다. 다만, 비행기조종사, 버스운전자 등 특수한 직종에 있어서는 다수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유전적 소질의 공개가 유용하 게 사용될지도 모르겠다.
③범인색출: 범인을 확인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그 어떤 방법보다도 유전자정보는 보다 명확 한 증거를 제공한다. 그러나 아직 DNA지도는 범죄자 확정을 위한 통계적인 증 거 가치만을 가지기 때문에 보다 많은 검토가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범죄인의 유전자를 가졌다는 이유만으로 범죄행위를 하지도 않은 사람에 대해 범죄인으 로 취급하지 못하게 하는 방지책도 모색되어야 한다.
④프라이버시: 유전자정보는 친자확인과 관련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과연 누가 아이의 아버지인가를 확정하기 위한 유전자정보는 충분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유 전자정보는 결혼, 입양, 군입대 및 입학 등에서도 차별적 요소를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공부를 못하는 유전자를 가진 사람은 현재 공부를 잘 하더라도 결혼 상대자에서 우선적으로 배제될 가능성이 있다. 그렇다면 유전 자정보가 인터넷과 같은 공중망을 통해 공개돼 악용되지 않도록 프라이버시권 의 철저한 보호대책이 필요하다.
3) 특허와 관련된 분야
인간게놈 프로젝트에 대한 관심은 바이오 의약산업의 경제적 가치에 모아지고 있다. 다행히 미국과 영국의 정상은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연구성과와 결과를 무료로 공개하겠다는 원칙을 수행하였다. 유전정보를 인류공동의 유산이라고 보는 매우 타당한 행동이었다. 그러나 이를 바탕으로 개발되는 2차적 발명의 특허출원까지 막을 방법은 현재로서는 없다. 특허를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하려는 특허전쟁에 대비해 기술적으로나 법률적으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4) 위험성에 대한 대책
얼마 전 수업과제에도 있었지만 영화 '가타카'에서처럼 미래 사회는 우성유전자 인간들과 열성유전자의 인간들로 양분되고 우성 유전자를 가진 사람들이 지배하는 사회가 될지도 모른다. 인간복제 기술로 결혼하지 않고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 전통적인 가정이 붕괴되는 것이다. 인간 게놈 프로젝트가 인류사회를 어떤 혼란으로 내몰지 아무도 알 수 없다.
이와 같이 인간게놈을 잘못 사용하면 인류에게 위기를 줄 수도 있다는 우려가 있다. 그래서 1997년 11월 11일 파리에서 열린 유네스코 제 29차 총회에서는 '인간 게놈과 인권에 대한 보편적 선언'을 186개 회원국 전원의 찬성으로 채택했다. 이 선언문에는 유전 연구가 인간의 존엄성과 인권보다 우선할 수 없다고 명시돼 있다. 또한 인간게놈 연구와 그 응용에 따라 제기되는 윤리적 법적 사회적 문제를 평가하기 위해 각국은 윤리 위원회를 설치하고, 또 과학정책 책임자들에게 생명윤리 교육을 시키도록 권장하고 있다.
프로메테우스는 인간에게 불을 훔쳐다 준 대가로 가혹한 벌을 받았다. 이 이야기를 교훈
삼아 그 어느 대보다도 생명공학자의 윤리의식이 요구되는 때이다.
【 참고문헌 】
2000. 『인간게놈계획.』 장은성
2002. 『제4의 물결 바이오혁명.』 이주영
1998. 『인간 게놈 프로젝트.』 로버트 쿡-디간
2002. 『게놈이 세계를 지배한다.』 나카무라 유우스케, 나카무라 마사미
과학동아 2000년 7월호
③범인색출: 범인을 확인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그 어떤 방법보다도 유전자정보는 보다 명확 한 증거를 제공한다. 그러나 아직 DNA지도는 범죄자 확정을 위한 통계적인 증 거 가치만을 가지기 때문에 보다 많은 검토가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범죄인의 유전자를 가졌다는 이유만으로 범죄행위를 하지도 않은 사람에 대해 범죄인으 로 취급하지 못하게 하는 방지책도 모색되어야 한다.
④프라이버시: 유전자정보는 친자확인과 관련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과연 누가 아이의 아버지인가를 확정하기 위한 유전자정보는 충분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유 전자정보는 결혼, 입양, 군입대 및 입학 등에서도 차별적 요소를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공부를 못하는 유전자를 가진 사람은 현재 공부를 잘 하더라도 결혼 상대자에서 우선적으로 배제될 가능성이 있다. 그렇다면 유전 자정보가 인터넷과 같은 공중망을 통해 공개돼 악용되지 않도록 프라이버시권 의 철저한 보호대책이 필요하다.
3) 특허와 관련된 분야
인간게놈 프로젝트에 대한 관심은 바이오 의약산업의 경제적 가치에 모아지고 있다. 다행히 미국과 영국의 정상은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연구성과와 결과를 무료로 공개하겠다는 원칙을 수행하였다. 유전정보를 인류공동의 유산이라고 보는 매우 타당한 행동이었다. 그러나 이를 바탕으로 개발되는 2차적 발명의 특허출원까지 막을 방법은 현재로서는 없다. 특허를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하려는 특허전쟁에 대비해 기술적으로나 법률적으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4) 위험성에 대한 대책
얼마 전 수업과제에도 있었지만 영화 '가타카'에서처럼 미래 사회는 우성유전자 인간들과 열성유전자의 인간들로 양분되고 우성 유전자를 가진 사람들이 지배하는 사회가 될지도 모른다. 인간복제 기술로 결혼하지 않고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 전통적인 가정이 붕괴되는 것이다. 인간 게놈 프로젝트가 인류사회를 어떤 혼란으로 내몰지 아무도 알 수 없다.
이와 같이 인간게놈을 잘못 사용하면 인류에게 위기를 줄 수도 있다는 우려가 있다. 그래서 1997년 11월 11일 파리에서 열린 유네스코 제 29차 총회에서는 '인간 게놈과 인권에 대한 보편적 선언'을 186개 회원국 전원의 찬성으로 채택했다. 이 선언문에는 유전 연구가 인간의 존엄성과 인권보다 우선할 수 없다고 명시돼 있다. 또한 인간게놈 연구와 그 응용에 따라 제기되는 윤리적 법적 사회적 문제를 평가하기 위해 각국은 윤리 위원회를 설치하고, 또 과학정책 책임자들에게 생명윤리 교육을 시키도록 권장하고 있다.
프로메테우스는 인간에게 불을 훔쳐다 준 대가로 가혹한 벌을 받았다. 이 이야기를 교훈
삼아 그 어느 대보다도 생명공학자의 윤리의식이 요구되는 때이다.
【 참고문헌 】
2000. 『인간게놈계획.』 장은성
2002. 『제4의 물결 바이오혁명.』 이주영
1998. 『인간 게놈 프로젝트.』 로버트 쿡-디간
2002. 『게놈이 세계를 지배한다.』 나카무라 유우스케, 나카무라 마사미
과학동아 2000년 7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