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영화“해안선”과 “장미의 이름”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2. “해안선”과 “장미의 이름”에 대한 영화기호학적 분석을 마치면서...
2. “해안선”과 “장미의 이름”에 대한 영화기호학적 분석을 마치면서...
본문내용
으로서의 사랑'과 '계율을 파기한 마음 깊은 곳으로부터의 순수한 사랑'이 여기서 의미하는 사랑일 것이다.
그렇다면 영화제목에서 장미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장미는 일반적으로 아름다움과 사랑을 나타낸다. 그러나 장미는 '신'과 '우주'도 상징한다.
장미의 이름은 신의 이름이며, 그것은 바로 세계의 이름인 것이다. 다시 말해, 우리가 '인식'하는 신과 세계는 바로 '장미' 그 자체이다. 이 이야기에서 장미꽃 자체가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장미의 이름』이라는 제목이 붙여진 것은 어찌 보면 아주 당연한 것이다. 장미는'사랑'과 '우리 인식 속의 세계'라는 이중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니 말이다.
우리 인간은 이름을 통해 장미를 알 수밖에 없다. '장미' 그 자체는 결코 인식될 수 없는 그 무엇이지만, 우리는 '장미'라는 이름을 통해서, 그리고 그 '장미의 이름'이라는 기호를 통해서 우리는 장미를 인지한다.
에코가 이 모든 이야기를 마치면서, 아드소를 통해 읊어야 했던 베르나르의 시는 긴 여운을 남겼다. 과거의 장미는 이제 이름일 뿐, 우리에게는 공허한 이름이 남았을 뿐…
이 문장을 논리적으로 해석해 보면, 우리는 '과거라는 시간 속의 장미'와 '장미 그 자체', '이름으로만 인식하고 있는 현재의 우리', 그리고 '공허함' 자체라는 네 가지 개념으로 명제화 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우리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의미와 양상의 변화'를 찾아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름이란 기호에 대한 해석 및 논리 비약의 위험성도 바로 위 시에 나타나 있는 셈이다.
2. "해안선"과 "장미의 이름"에 대한 영화기호학적 분석을 마치면서...
우선 두 개의 작품이 모두 흥행과는 거리가 멀고 시나리오 진행이라든가 배경이 모두 한정이 되어있는 것이라 많이 지루할 것이라고 생각을 했다. 물론 상업적인 것을 목적으로 한 영화보다야 그랬지만 두 영화 모두 영화를 보았던 시간보다 보고 난 후의 그 여운이 차지하는 면이 컸던 것 같다. 두 영화를 선택할 때에는 가벼운 영화보다는 좀 더 얻는 것이 많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생각에 골랐지만 그 선택에는 후회가 없다.
이번 과제를 하면서 내가 영화기호학에 대해서 제대로 잡아냈는지는 모르겠지만 영화의 작은 면까지도 세세하게 보면서 평소대로라면 보지 못했을 진리를 보게된 것 같다.
그리고 여러 자료를 찾아보면서 나름대로 기호학에 대한 접근도 할 수 있었던 것 같아서 기쁘게 생각한다.
그렇다면 영화제목에서 장미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장미는 일반적으로 아름다움과 사랑을 나타낸다. 그러나 장미는 '신'과 '우주'도 상징한다.
장미의 이름은 신의 이름이며, 그것은 바로 세계의 이름인 것이다. 다시 말해, 우리가 '인식'하는 신과 세계는 바로 '장미' 그 자체이다. 이 이야기에서 장미꽃 자체가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장미의 이름』이라는 제목이 붙여진 것은 어찌 보면 아주 당연한 것이다. 장미는'사랑'과 '우리 인식 속의 세계'라는 이중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니 말이다.
우리 인간은 이름을 통해 장미를 알 수밖에 없다. '장미' 그 자체는 결코 인식될 수 없는 그 무엇이지만, 우리는 '장미'라는 이름을 통해서, 그리고 그 '장미의 이름'이라는 기호를 통해서 우리는 장미를 인지한다.
에코가 이 모든 이야기를 마치면서, 아드소를 통해 읊어야 했던 베르나르의 시는 긴 여운을 남겼다. 과거의 장미는 이제 이름일 뿐, 우리에게는 공허한 이름이 남았을 뿐…
이 문장을 논리적으로 해석해 보면, 우리는 '과거라는 시간 속의 장미'와 '장미 그 자체', '이름으로만 인식하고 있는 현재의 우리', 그리고 '공허함' 자체라는 네 가지 개념으로 명제화 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우리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의미와 양상의 변화'를 찾아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름이란 기호에 대한 해석 및 논리 비약의 위험성도 바로 위 시에 나타나 있는 셈이다.
2. "해안선"과 "장미의 이름"에 대한 영화기호학적 분석을 마치면서...
우선 두 개의 작품이 모두 흥행과는 거리가 멀고 시나리오 진행이라든가 배경이 모두 한정이 되어있는 것이라 많이 지루할 것이라고 생각을 했다. 물론 상업적인 것을 목적으로 한 영화보다야 그랬지만 두 영화 모두 영화를 보았던 시간보다 보고 난 후의 그 여운이 차지하는 면이 컸던 것 같다. 두 영화를 선택할 때에는 가벼운 영화보다는 좀 더 얻는 것이 많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생각에 골랐지만 그 선택에는 후회가 없다.
이번 과제를 하면서 내가 영화기호학에 대해서 제대로 잡아냈는지는 모르겠지만 영화의 작은 면까지도 세세하게 보면서 평소대로라면 보지 못했을 진리를 보게된 것 같다.
그리고 여러 자료를 찾아보면서 나름대로 기호학에 대한 접근도 할 수 있었던 것 같아서 기쁘게 생각한다.
추천자료
천사와악마의 종합적 평가및 감상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시와 이유 [김춘수-꽃]
소설 개미를 읽고.
로미오와 줄리엣 영화 분석
환상적인 가족만들기
영화' 마리 앙투아네트'를 보고
[공포영화의 특성][공포영화의 역사][공포영화에서 공포를 주는 요인][공포영화의 사례]공포...
영굿맨브라운(Young goodman brown) 감상 및 분석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과 그 소설에 대하여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과 그 소설에 대하여
탁발수도회를 중심으로 알아보는 중세의 수도원
생활속의 마케팅 중간고사 (1주차~7주차) 족보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