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1) 신상 공개 순기능
(2) 신상 공개 역기능
3. 결론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1) 신상 공개 순기능
(2) 신상 공개 역기능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69-83.
김성돈 (2016). 진실적시명예훼손죄 폐지론. <형사정책연구>, 27권 4호, 93-133.
김봉수 (2019, 6월). <피의사실공표의 허용한계에 관한 형법적 고찰>. 2019년 제8회 한국형사학대회. 인천: 인하대학교.
김옥조 (2004). 범죄보도와 언론윤리. <언론과 법> 3권1호, 175-224.
김재현 (2019). 사실적시 명예훼손죄의 존폐론. <고려법학>, 통권 93호, 143-193.
김정현 (2019, 6월). <범죄사건 언론보도의 한계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2019년 제8회 한국형사학대회. 인천:인하대학교.
박희봉·한동섭 (2020), 범죄보도에서 알 권리와 인격권의 조화 - 수사공보규정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중심으로 -. <언론과 법>, 19권 1호, 97-145
문재완 (2020). ‘형사사건 공개금지 등에 관한 규정’의 헌법적합성 검토. <외법논집>, 44권 1호, 101-124.
이경렬 (2020). 언론의 범죄보도와 피의사실공표의 문제. <피해자학연구>, 28권 3호, 59-91.
윤성옥 (2020). 온라인에서 피의자 신상정보 공개범위와 제한 - 디지털교도소 사건을 계기로 -. <미디어와 인격권>, 6권
이무선 (2010). 강력범죄 피의자의 얼굴(신상)공개의 정당성 여부. <법학연구> 통권 39
호, 223-246
이재진(2004). 국민의 알 권리에 대한 재고찰. <언론과 법>, 통권 31호, 2 5-25 .
이혜환·정지수 (2019). 강력범죄 피의자에 대한 신상공개 - 판단기준 분석과 정책변동론의 적용 -. <경찰학연구>, 19권 3호, 9-37.
김성돈 (2016). 진실적시명예훼손죄 폐지론. <형사정책연구>, 27권 4호, 93-133.
김봉수 (2019, 6월). <피의사실공표의 허용한계에 관한 형법적 고찰>. 2019년 제8회 한국형사학대회. 인천: 인하대학교.
김옥조 (2004). 범죄보도와 언론윤리. <언론과 법> 3권1호, 175-224.
김재현 (2019). 사실적시 명예훼손죄의 존폐론. <고려법학>, 통권 93호, 143-193.
김정현 (2019, 6월). <범죄사건 언론보도의 한계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2019년 제8회 한국형사학대회. 인천:인하대학교.
박희봉·한동섭 (2020), 범죄보도에서 알 권리와 인격권의 조화 - 수사공보규정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중심으로 -. <언론과 법>, 19권 1호, 97-145
문재완 (2020). ‘형사사건 공개금지 등에 관한 규정’의 헌법적합성 검토. <외법논집>, 44권 1호, 101-124.
이경렬 (2020). 언론의 범죄보도와 피의사실공표의 문제. <피해자학연구>, 28권 3호, 59-91.
윤성옥 (2020). 온라인에서 피의자 신상정보 공개범위와 제한 - 디지털교도소 사건을 계기로 -. <미디어와 인격권>, 6권
이무선 (2010). 강력범죄 피의자의 얼굴(신상)공개의 정당성 여부. <법학연구> 통권 39
호, 223-246
이재진(2004). 국민의 알 권리에 대한 재고찰. <언론과 법>, 통권 31호, 2 5-25 .
이혜환·정지수 (2019). 강력범죄 피의자에 대한 신상공개 - 판단기준 분석과 정책변동론의 적용 -. <경찰학연구>, 19권 3호, 9-3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