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일반현황

2. 석유산업
1) 석유 파이프라인
2) 하류/정제부문

3. 천연가스산업

4. 석탄산업

5. 전력산업

6. 환경분야

본문내용

계획이다. 이것은 CNPC나 Sinopec 설립과 유사한 방식이 될 것이며, 통합된 기업들은 해외 기업공개 등의 방법을 통하여 해외자금을 유치하게 될 것이다.
중국은 석탄액화 기술에 상당한 관심을 표명했으며, 수송용 석유수요 일부를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최초의 석탄액화 파일럿 공장이 2001년말 석탄이 풍부한 山西省에서 가동될 계획이다.
중국은 또한 석탄수출 확대도 바라고 있다. 러시아의 전력회사 UES는 극동지역의 전력부족을 메꾸기 위하여 소량의 발전용 중국석탄 구입계획을 발표했다. 인도나 독일도 잠재적으로는 중국석탄 수입국으로 보여진다.
5.전력산업
항 목
규 모
년도
-설비용량
277GW
화 력 210GW
75.8%
1999
수 력 65GW
23.5%
원자력 2GW
0.7%
-발 전 량
1,178BkWh
화 력 936.5BkWh
79.5%
1999
수 력 222.8BkWh
18.9%
원자력 14.1BkWh
1.2%
석탄부문과 함께 중국의 전력사업도 1998-99기간 공급과잉 문제를 경험하였는데, 그 이유는 부분적으로 중국의 경제성장 하강, 한편으로는 주요 전력소비자였던 비효율적 국영기업체의 폐쇄로 인한 수요 감소 때문이었다. 중국 정부는 단기적인 공급과잉 사태에 대해 소규모 화력발전소를 폐쇄시키거나 신규 발전소 건설 승인을 일시중지(모라토리엄) 시키는 방법으로 대응했으며, 건설중지는 2002. 1월까지 계속 유효하다. 폐쇄된 소규모 발전소의 대부분은 디젤 또는 석탄화력으로서 1980년대 전력수요가 증가하자 지방정부가 건설한 것으로서 상대적으로 효율이 떨어지고 오염배출이 심하다. 신규 건설승인의 일시중지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신규발전소가 가동되기 시작하고 있는데, 중지기간 이전에 허가가 난 발전소이다. 모라토리엄의 발효로 건설 중지된 총 70GW의 설비가 다시 건설될 경우 초과설비가 또 다시 문제가 될 것이다. 현재 진행중인 최대 규모의 건설프로젝트는 三峽댐으로서 2009년에 완성되는데, 700MW급 26기로서 총 18.2GW의 설비가 된다.
또 하나의 대규모 수력프로젝트는 황하강 상류에 다수의 댐 공사인데, 완성되면 25개의 발전소 총 15.8GW의 설비가 들어서며, 이중 7개가 이미 건설중이거나 운영되고 있다.
다수의 원자력 프로젝트가 러시아, 프랑스, 캐나다가 참여한 가운데 건설 중이다. 1997. 10월 미국은 미국제 원자로의 중국 수출을 승인했는데, 중국이 원자력기술을 이란에 넘겨주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이루어졌다. 다수의 추가 프로젝트를 중국의 廣東省, 浙江省 및 山東省에 들어설 것으로 보인다. 검토중인 하나의 프로젝트는 廣東省 대아만 원전에 2개의 원자로 즉, 2GW를 추가 설치하는 것이다. 또 하나는 廣東省 Yanjiang에 6GW의 원전단지를 건설하는 것이다. 현재 중국은 2GW의 원전설비를 가동하고 있으며, 600MW가 건설 중이다. 중국 원전의 연간 발전량은 전체의 1%를 약간 넘는 수준이다.
중국 전력산업의 또 하나의 주요 이슈는 발전소간의 생산전기를 공급하는 문제이다. 중국의 종국적인 목표는 통합국가전력망을 건설하는 것과 전력시장을 현대화하여 발전회사들이 시장가격으로 송전회사에 판매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단기적으로는 전통적인 방식이 좌우할 것이고, 국영발전소가 민간발전소보다 송전선 이용에 우선권을 가질 것이다. 또한, "take-or-pay" 방식으로 계약된 일부 민간발전소들이 최소 판매량을 보장받았지만, 지역송전망을 운영하는 지방자치정부의 허가를 얻는데 애로를 겪고 있다.
단기적으로 공급과잉과 불확실성은 중국의 전력부문 외국투자를 감소시킬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전력수요 성장이 2020년까지 연간 5.5%로 예상된다. 앞으로 연료구성비에서 가장 크게 증가할 부분은 천연가스로서 급속히 산업화하고 있는 해안지방의 환경문제 때문이다. 계획대로 전력부문에 완전경쟁시장이 도입되면, 중국시장은 다시 한번 외국인 투자에 인기를 얻게 될 것이다. 현재는 해외직접투자가 발전부문에만 허용되지만, 일부 송전프로젝트에 차관금융(loan financing) 방식이 이용되었다.
6. 환경분야
중국은 주요 에너지관련 환경문제로 고통을 겪고 있다. 세계보건기구 WHO의 보고에 따르면, 세계의 10대 오염도시 중 7개가 중국에 있다. 非세척탄의 과도한 이용은 대량의 SO2와 분진문제를 일으킨다. 중국은 또한 온실가스배출을 억제하는 노력이 중요한데, 지금부터 2020년간 CO2 배출량 증가가 세계 최고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end

키워드

  • 가격1,6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3.12.04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63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