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강의 현실태 및 개선방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금호강의 현실태 및 개선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 론.

본 론.
1. 금호강의 변화
2. 금호강의 강수량 및 이용
3. 금호강의 환경
1) 수변식물
2) 담수 조류(藻類, Algae)
3) 어류
4) 조류(鳥類)
4. 금호강의 현주소
5. 금호강 살리기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경북 경산시 경계지점

73.0
금호강중류
대구시와 경북경산시 경계지점 ∼ 신천합류전

23.0
금호강하류
신천합류후 ∼ 낙동강 합류전

22.0
신 천
전 구 간(가창호 제외)

32.5
유역내 환경기초시설(環境基礎施設)은 '87. 8월 대구시 달서천하수종말처리장이 최초로 가동되면서 '98년 현재 하수종말처리시설 4개소, 분뇨처리시설 2개소, 공단폐수종말처리시설 1개소, 농공단지 오·폐수처리시설 1개소가 건설되어 가동되고 있으며, 1일 처리능력은 1,390,200톤으로 1일 평균 984,050톤의 하·폐수를 처리하여 방류하고 있어 금호강 수질개선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앞으로 유역내 '99∼2001년까지 건설 또는 증설되는 환경기초시설은 대구광역시에 5개소(1,342,000톤/일), 경상북도 4개소(85,000톤/일) 등 9개소로 1,427,000톤/일로 이중 5개소(152,000톤/일)는 신규 또는 증설되는 처리장이며, 4개소(1,275,000톤/일)에 대하여는 질소, 인 제거를 위한 고도처리시설을 설치중에 있어 이들 고도처리시설과 금호강 중·상류 및 지류에 건설되는 처리장이 가동되는 2001년 이후 금호강의 수질은 한층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결 론.
우리가 알아본 바에 의하면 금호강은 대구지역에 사는 모든 사람들의 젖줄이다. 식수로 사용 할 뿐 아니라 생활용수, 농업용수, 공업용수 등으로 사용되고 있고, 또 한 동식물들도 이 금호강을 이용하고 있다. 사람이 물 없이 살 수 없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일 것이다. 그런 것을 아는지 모르는지 우리는 우리의 목을 점점 조이고 있는 것이다. 이것을 알고 여러기관들이 발벗고 나서서 금호강을 살리자는 명목으로 여러 활동을 하게됨에 따라 금호강은 점차 살아나고 있는 것이다.
'99년 현재 금호강 강창교지점의 수질이 BOD기준 5.1㎎/ 인점을 감안해 볼 때, "낙동강물관리종합대책"이 시행되어 완료되는 시점인 2005년경에는 금호강 수질이 더욱 개선되어 환경기준(環境基準) Ⅱ등급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리고 2001. 6월경 달서하수처리장의 색도처리를 위한 고도처리시설(오존산화법)이 완공되면 현재의 약 150∼200도의 색도가 40전후로 개선될 전망이어서 금호강이 낙동강 본류와 합류하는 모습을 예전에는 색도로서 구분할 수 있었으나 앞으로는 낙동강 본류수계의 물과 색깔로는 더이상 구분하기가 어려울 전망이다. 금호강 수질개선과 더불어 금호강 하류지역에 물고기가 노닐고 수중 동·식물이 왕성하게 서식(棲息)하게 되면 생태계가 변모하여 철새들의 낙원으로 그 모습이 바뀌어갈 것이다. 아울러 금호강이 예전의 모습을 되찾게 되면 낙동강 합류점 이후의 수질도 한층더 개선되어 낙동강(洛東江) 전체 수질개선에도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금호강을 살리기 위해선 1차적으로 우리들의 노력이다. 물을 아껴쓰고, 음식물쓰레기를 그냥 하천에 흘려보내지 말고, 합성세제를 줄임으로써 1차적으로 수질오염을 막을 수 있다. 그 다음으로 기관에서 정책을 폄으로써 수질을 개선할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3.12.05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65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