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엔트로피의 의미
2. 엔트로피의 일반화
3. 제레미 레프킨의 세계관
4. 엔트로피의 여러측면
5. 감상
2. 엔트로피의 일반화
3. 제레미 레프킨의 세계관
4. 엔트로피의 여러측면
5. 감상
본문내용
옮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과학적인 가정은 변화하는 것이며, 결국은 새로운 에너지 환경의 실정을 반영하고 있다."
저자는 새로운 에너지 환경을 역설하고 있다. 엔트로피를 줄이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다. 이 책의 놀라운 점은 앞에서도 언급되었지만, 사회, 역사, 심지어 종교에 이르기까지 모든 분야를 포괄하며 엔트로피의 법칙을 적용시키는 것이다. 물론 단점도 없지 않다. 우선 모든 부분에 이 법칙을 적용시키다 보니 약간은 어폐(語弊)가 있으며 또한 나의 상식으로는 이해가 되지 않는 어려운 글들이 많아 읽는데 많은 힘이 들었다.
마지막으로 저자의 결론을 보자. 결국 우리 개개인의 존재는 생명의 유지와 사회에 대한 집단적 정신이라는 형태를 통하여 영원히 존속되는 것이다. 우리에게 남겨진 유한한 재산을 되도록 잘 간수하고 생성 과정을 지배하는 자연의 리듬을 되도록 존중하려면, 우리보다 먼저 존재했고 또 나중에 존재할 모든 생명에 대해 본원적인 사랑을 나타내야만 한다. 이 두 가지 책임과 임무를 자각하는 것이야말로 에너지를 '식민형태'에서 '절정형태'로 인도하고 사회를 크게 전환시키기 위한 첫 걸음이다. 즉 우리 각자가 세계의 '보호자'라는 자각이 필요한 것이다.
저자는 새로운 에너지 환경을 역설하고 있다. 엔트로피를 줄이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다. 이 책의 놀라운 점은 앞에서도 언급되었지만, 사회, 역사, 심지어 종교에 이르기까지 모든 분야를 포괄하며 엔트로피의 법칙을 적용시키는 것이다. 물론 단점도 없지 않다. 우선 모든 부분에 이 법칙을 적용시키다 보니 약간은 어폐(語弊)가 있으며 또한 나의 상식으로는 이해가 되지 않는 어려운 글들이 많아 읽는데 많은 힘이 들었다.
마지막으로 저자의 결론을 보자. 결국 우리 개개인의 존재는 생명의 유지와 사회에 대한 집단적 정신이라는 형태를 통하여 영원히 존속되는 것이다. 우리에게 남겨진 유한한 재산을 되도록 잘 간수하고 생성 과정을 지배하는 자연의 리듬을 되도록 존중하려면, 우리보다 먼저 존재했고 또 나중에 존재할 모든 생명에 대해 본원적인 사랑을 나타내야만 한다. 이 두 가지 책임과 임무를 자각하는 것이야말로 에너지를 '식민형태'에서 '절정형태'로 인도하고 사회를 크게 전환시키기 위한 첫 걸음이다. 즉 우리 각자가 세계의 '보호자'라는 자각이 필요한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