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의 미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삼성의 미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삼성의 사장단회의

2. 삼성

3. 탄탄하고, 높은 경쟁력의 삼성

본문내용

이 때문에 메모리 가격이 하락하거나 반도체 경기가 좋지 않으면 회사도 치명타를 맞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삼성전자의 사정은 다르다. 6개 사업장을 통해서도 삼성전자의 포트폴리오를 읽을 수 있다.
삼성전자는 수원(디지털 미디어, 생활가전)을 비롯해 기흥(반도체), 구미 1ㆍ2(이동통신), 온양(반도체), 광주(냉장고) 등 전국 6개의 사업장을 두고 있으며 여기에 5만여명의 직원들이 일하고 있다.
IT산업 경기가 극도로 침체하고 반도체산업 불황이 심각했던 지난해에도 삼성전자는 2조9,469억원의 순이익을 냈다. 삼성전자의 매출 구성을 보면 메모리 부문은 전체의 15% 정도에 불과하다. 반도체 중에서도 메모리를 제외한 액정표시장치(LCD)와 고밀도 집적회로(LSI)가 10%를 차지한다.
또한 통신과 디지털 미디어가 각각 30%에 근접했고, 생활 가전과 기타부문의 비중도 10%를 넘었다. 매출만 본다면 삼성전자는 반도체 업체라기보다 통신업체라고 해야 옳다. 삼성전자의 강점은 지속적인 구조조정과 투자를 통해 이처럼 각 사업부문의 경쟁력이 고루 세계 수준에 다다랐다는 것이다.
\'1등 아니면 하지 않는다\'는 삼성만의 독특한 경영 방침도 빼 놓을 수 없는 비결이다. 실제로 삼성전자 CEO들에겐 일등주의가 뿌리깊이 배어 있다. 일등주의는 이건희 삼성 회장의 경영 스타일에서 비롯된다. 이 회장은 어느 그룹 총수 보다도 기본과 최고를 강조하는 오너로 잘 알려져 있다.
이건희 회장의 일등주의가 최고의 CEO 선발로 이어지고 이들이 일등주의의 사령탑을 맡고 있으니 제품 역시 시장에서 수위를 달릴 수 밖에 없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3.12.06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66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